술빚기 질문과 답변

호박막걸리-호박잼 만들기

조회 수 8010 추천 수 38 2008.09.18 14:41:45
[ 호박잼 만들기 ]

1.호박 고르기
크고 무거운 놈이 일찌감치 열려서 호박포기가 싱싱하게 활력이 넘칠 때 천천히 익은 탓인지 과육이 붉고 단단하며 단맛이 많았다. 작고 가벼운 놈은 과육이 얇고 육색이 진하지 못하고 호박풋내를 비쳤다.멧돌호박 세통을 갈라보니 위와 같은 결과가 나와 두통은 버리고 큼지막한 한통만 골랐다.

2.토막내기
우선 호박을 여러 조각으로 갈라 씨와 속을 긁어내고 겉껍질을 깍아냈다.
겉껍질이 꽤 딱딱하여 자칫 손을 다치기 쉬워 면장갑을 끼고 연필깍듯이 칼을 밖으로 내치는 방향으로 깍으면 비교적 쉽게 깍였다.
다 깍았으면 솥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토막을 낸다.

3.삶기
바닥이 타거나 눌지않는 코팅처리된 솥은 괜찮으나 일반 솥의 경우는 물을 적당히 부어서 눌거나 타지않도록 한 후 센불에서 삶는다.

4.풀기
삶는 동안 호박이 저절로 풀어지나 나무주걱으로 저어주면서 으깨주는 것도 괜찮다.으깬후 그냥 졸이면 호박 고유의 섬유질같은 모양이 남는다. 이 것을 싫어할 경우에는 따로 믹서기로 갈아서 졸이면 된다. 그러나 고유의 섬유질이 그대로 살아있는 잼이 한결 운치가 있다.

5.맛내기
양이 많을 때는 큰 솥에서 삶은 후 코팅처리된 냄비나 솥에-용량이 작은 것이 대부분인-졸이는 것이 자주 젓지않아도 눌거나 탈 염려가 없어 여러모로 효과적이고 안전하다.호박이 충분히 익고 으깨어졌으면 졸인다. (취향에 따라 설탕을 호박량의 1/4정도 타고 레몬즙을 가미하는 경우도 있으나 우리는 쓰고 남은 계피가루가 있어 계피가루 두 작은 술을 첨가했다.)

6.졸이기
가스레인지의 가장 약한 불에 오래 달여 풀을 쑬 때 처럼 끓는 분화구(?)를 통해 물기가 흐르지않을 정도로 뻑뻑해졌으면 식힌다. 식힌후 물이 많이 생겨 다시 졸여주었다.코팅냄비를 사용했더니 크게 저어주지않아도 밑바닥이 타거나 눌지않았다.

7.보관
식은 후 병에 담아 냉장고에 넣어 두었다가 막걸리를 내리고 난 다음 1사발 (1리터 ~ 1.8리터)를 타서 만든다.



(인터넷 사이트에 있는 호박잼 만들기 자료를 이송옥님의 호박잼만들기 방법으로 약간 변형하였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41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웃는구야 2012-08-29 5358
240 <b>누룩만들기 제 3장 &#8211; 성형하기</b> [1] 酒人 2007-10-23 5360
239 범벅에 사용하는 쌀가루 습식? 건식? [3] 연필꽂이 2020-09-29 5363
238 술거르는 시기? file [2] 나이스박 2014-04-03 5375
237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376
236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381
235 효모에 대해... [2] sul4u 2013-06-28 5388
234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2] mekookbrewer 2021-01-19 5389
233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석탄주 2008-09-22 5398
232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나이스박 2012-03-13 5400
231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401
230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비설 2008-12-05 5402
229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403
228 제맘대로 단양주? [2] 오야봉 2009-03-20 5407
227 저온숙성중 맛의 변화 [2] Kimeric 2023-06-29 5420
226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427
225 향온주 빚을때... file [2] 보리콩 2011-02-01 5440
224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444
223 누룩 보관기간 [1] 파랑보라 2023-05-31 5447
222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453
221 발효와 온도 [2] 포수 2013-06-24 5466
220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5474
219 술독의 진정성...밥으로 만드는 술은? [4] 아리랑 2012-03-04 5481
218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이탁배기 2019-05-30 5497
217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515
216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9-03 5535
215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얄리야리 2021-02-09 5551
214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민속주 2013-05-05 5565
213 씨앗술 만들기. [2] 창힐 2012-08-14 5569
212 안녕하세요 전통주 초보자인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2] 마늘이 2022-05-26 5573
211 층분리가 안되는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file [1] 주미 2023-05-30 5584
210 술 다 익은 정도 확인 방법 [1] 난소녀다 2023-02-14 5595
209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원삼규 2006-12-27 5601
208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 file [3] aladinn 2015-02-26 5606
207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酒人 2008-09-18 5608
206 발효기간? 궁금합니다. [4] 김정옥 2007-05-18 5622
205 삼양주 고두밥 덧술 후 22일 째 강한 알콜향 [1] 감금중 2020-12-20 5628
204 밑술과 덧술시 재료에 대하여 [2] 우리술이좋아 2010-01-27 5638
203 밑술의 적정온도와 포도주빚기입니다. [4] 酒人 2006-09-15 5641
202 술 쉰내 [2] mekookbrewer 2021-06-02 564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