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화주(火酒)에 대하여...

조회 수 7380 추천 수 20 2008.07.28 21:51:44
화주(火酒)라고 하는 것은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동의보감>에는 소주가 “원나라 때부터 나온 술인데 맛이 아주 독하다.”라는 기록이 남아 있고, 1450년대 <산가요록>에는 목맥소주 제조법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당연히 수 많은 문헌속에 소주 제조법이 한 두 개씩은 들어 있습니다.

또한, 소주를 몇 번 더 내렸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봐서는 알코올 도수 70% 이상 되는 소주도 마셨던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소주를 세 번에 걸쳐 내리게 되면 술의 양은 적어지겠지만 알코올 도수는 아주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추론하면, 여러 번 소주를 내리게 되면 독한 술이 나온 다는 것을 선조들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도 최소 700년 전에 아주 독한 소주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이 있었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박보경님께서 질문하신 내용은 위의 글과 같은 알코올 도수가 높은 화주가 아니죠.^^

1915년 <부인필지> 음식총론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밥 먹기는 봄 같이 하고, 국 먹기는 여름 같이 하고, 장 먹기는 가을 같이 하고, 술 먹기는 겨울 같이 하라. 밥은 따뜻하게 하고, 국은 뜨겁고, 장은 서늘하고, 술은 차갑게] 먹으라는 뜻입니다.

한국의 음식은 대부분 따뜻하게 하여 먹기 때문에 술은 차갑게 먹는 것이고요. 일본의 음식은 대부분 차갑기 때문에 술은 따뜻하게 마시는 것입니다. 우리의 온돌 문화도 영향이 있었겠죠. 몸이 열하기 때문에 술(술 또한 열한 기운)까지 따뜻하게 마시면 몸에 화기가 넘치겠죠. 그래서 한국에서는 예부터 술은 차갑게 마셨던 것입니다. 반대로 일본의 음식은 차갑기 때문에 열이 강한 술을 한 번 더 데워서 먹었던 것이죠.

그렇다고 우리나라에 따뜻하게 마시던 술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1540년대 <수운잡방>에 기록되어 있는 도인주(복숭아씨를 이용한 술)에는 “매일 아침 데워서 한 종지씩 마신다.”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즉, 술을 따뜻하게 마신 것입니다. 그러나 이 글도 박보경님께서 원하시는 답변은 아니죠. ^^

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 우리나라 고문헌 속에 불을 붙여 마신다는 술은 없습니다. 물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기록에는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없다고 말씀을 드린 것이고요. 혹시라도 그러한 기록을 찾게 되면 바로 글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인삼주는 물론 대부분의 청주들은 불을 붙여 마실 수 있습니다. 얼핏 생각하기에 알코올 도수가 높아야만 불이 붙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작은 잔에 술을 붓고 계속해서 열을 가하게 되면 불이 붙게 되는 것입니다.

1. 잔에 술을 붓는다.
2. 잔 위나 아래에서 열을 가한다.
3. 잔의 술이 온도가 올라가면서 전체에 퍼져 있던 에탄올이 위로 올라온다.
4. 에탄올이 위에 모이게 되고 열에 의해 술에 불이 붙는다.

증류주처럼 바로 불이 붙지는 않지만 열을 가하면 에탄올이 위로 올라오기 때문에 불이 붙을 수 밖에 없습니다. 술에 불을 붙이는 것은 보는 재미도 있겠지만 에탄올을 날려 버려 술의 알코올 도수가 확연히 낮아지게 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입니다.

답변이 됐는지 모르겠네요. 부족한 것은 우리 회원님들께서 채워 주시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761 막걸리의 냄새가 이상해요 찐찐 2018-12-09 4074
760 술을 빚을때 과일을 첨가했을경우 [1] 동백나무 2018-12-09 2924
759 약주 거름의 법적 기준.. [1] 오씨 2018-12-01 3635
758 법적으로 이렇게 만든 술도 탁주일까요? [1] 오씨 2018-11-30 3299
757 당화 효소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1] 교반기 2018-11-19 4723
756 발효 온도 [1] 상자 2018-11-18 3939
755 막걸리의 걸쮹함 [2] ilovetapuy 2018-11-06 4323
754 누룩의 발효력 확인 [1] 시골술쟁이 2018-10-29 2775
753 고두밥 나눠 넣기의 시기 [1] 케팔로스 2018-10-26 3221
752 덧술 후 과정... [1] 케팔로스 2018-10-22 4201
751 이양주 질문입니다. 도와주세요.. [2] 케팔로스 2018-10-17 4581
750 막걸리에 탄산이 없어요 [2] 오씨 2018-10-14 7225
749 불패주 주방문 수정가능할까요...ㅠ [2] 케팔로스 2018-10-12 3054
748 밑술,덧술 둘다 찹쌀써도 되나요?? [2] 찰리와막걸리공장 2018-10-04 4108
747 전통주 빚을 때 알코올 도수 공식 좀 알려주세요. [1] 연이김 2018-09-30 3323
746 단양주와 이양주 보관에 대하여.... (병과 플라스틱통) [2] 서련 2018-09-29 5024
745 밑술을 고두밥으로 했습니다. [1] 두더지 2018-09-28 3678
744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 [1] 케팔로스 2018-09-18 4880
743 단양주 신맛 [1] 시골술쟁이 2018-09-15 4926
742 술이 뻑뻑해요ㅠ.ㅠ [2] 술을 빚어보자 2018-07-20 2994
741 발효에 관한 질문입니다! [2] 술을 빚어보자 2018-07-03 2970
740 술이 너무 달아요! [3] cocomumu 2018-06-26 5100
739 이양주 질문입니다. [1] 시골술쟁이 2018-06-26 3051
738 이양주가 익는중 문제가 생겨 문의 드립니다! file [5] 이규민 2018-06-05 5750
737 삼양주 술 거르는 시기? file [2] cocomumu 2018-05-30 5992
736 급합니다. 우리아이좀 살려주세요. file [1] 치어스 2018-04-30 3433
735 보쌈이 무엇인가요 [1] 무등산 2018-04-12 3626
734 알코올 향이 튀는 이유와 해결법이 어떻게 되나요? [1] Heron 2018-03-01 2724
733 증류주 보관법에 관해서 알고 싶습니다. [3] 키 작은 사랑 2018-03-01 4388
732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5357
731 소규모주류제조 면허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 글 올립니다. [1] Heron 2017-12-17 4414
730 누룩 대신 생막걸리를 써도 될까요? [1] anakii 2017-12-07 4493
729 반갑습니다 비퀸 2017-11-24 2904
728 오디주를 빚어보고 싶어요 [1] 선02 2017-09-18 2980
727 질문 드립니다. [1] 팬더팬 2017-09-07 2374
726 담금주에 대해 여쭤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5 3836
725 친절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몇가지 더 여쭤 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5 2671
724 안녕하세요. 벌꿀주 미드를 만들어 보려 합니다! 궁금한 것 들 여쭤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3 4268
723 신도주 질문입니다 file [1] 시골술쟁이 2017-06-08 2823
722 막걸리 병입후에 4-5일후에 생기는 현상 궁금합니다. file [1] 아이다호 2017-04-23 400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