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화주(火酒)에 대하여...

조회 수 7482 추천 수 20 2008.07.28 21:51:44
화주(火酒)라고 하는 것은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동의보감>에는 소주가 “원나라 때부터 나온 술인데 맛이 아주 독하다.”라는 기록이 남아 있고, 1450년대 <산가요록>에는 목맥소주 제조법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당연히 수 많은 문헌속에 소주 제조법이 한 두 개씩은 들어 있습니다.

또한, 소주를 몇 번 더 내렸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봐서는 알코올 도수 70% 이상 되는 소주도 마셨던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소주를 세 번에 걸쳐 내리게 되면 술의 양은 적어지겠지만 알코올 도수는 아주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추론하면, 여러 번 소주를 내리게 되면 독한 술이 나온 다는 것을 선조들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도 최소 700년 전에 아주 독한 소주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이 있었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박보경님께서 질문하신 내용은 위의 글과 같은 알코올 도수가 높은 화주가 아니죠.^^

1915년 <부인필지> 음식총론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밥 먹기는 봄 같이 하고, 국 먹기는 여름 같이 하고, 장 먹기는 가을 같이 하고, 술 먹기는 겨울 같이 하라. 밥은 따뜻하게 하고, 국은 뜨겁고, 장은 서늘하고, 술은 차갑게] 먹으라는 뜻입니다.

한국의 음식은 대부분 따뜻하게 하여 먹기 때문에 술은 차갑게 먹는 것이고요. 일본의 음식은 대부분 차갑기 때문에 술은 따뜻하게 마시는 것입니다. 우리의 온돌 문화도 영향이 있었겠죠. 몸이 열하기 때문에 술(술 또한 열한 기운)까지 따뜻하게 마시면 몸에 화기가 넘치겠죠. 그래서 한국에서는 예부터 술은 차갑게 마셨던 것입니다. 반대로 일본의 음식은 차갑기 때문에 열이 강한 술을 한 번 더 데워서 먹었던 것이죠.

그렇다고 우리나라에 따뜻하게 마시던 술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1540년대 <수운잡방>에 기록되어 있는 도인주(복숭아씨를 이용한 술)에는 “매일 아침 데워서 한 종지씩 마신다.”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즉, 술을 따뜻하게 마신 것입니다. 그러나 이 글도 박보경님께서 원하시는 답변은 아니죠. ^^

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 우리나라 고문헌 속에 불을 붙여 마신다는 술은 없습니다. 물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기록에는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없다고 말씀을 드린 것이고요. 혹시라도 그러한 기록을 찾게 되면 바로 글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인삼주는 물론 대부분의 청주들은 불을 붙여 마실 수 있습니다. 얼핏 생각하기에 알코올 도수가 높아야만 불이 붙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작은 잔에 술을 붓고 계속해서 열을 가하게 되면 불이 붙게 되는 것입니다.

1. 잔에 술을 붓는다.
2. 잔 위나 아래에서 열을 가한다.
3. 잔의 술이 온도가 올라가면서 전체에 퍼져 있던 에탄올이 위로 올라온다.
4. 에탄올이 위에 모이게 되고 열에 의해 술에 불이 붙는다.

증류주처럼 바로 불이 붙지는 않지만 열을 가하면 에탄올이 위로 올라오기 때문에 불이 붙을 수 밖에 없습니다. 술에 불을 붙이는 것은 보는 재미도 있겠지만 에탄올을 날려 버려 술의 알코올 도수가 확연히 낮아지게 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입니다.

답변이 됐는지 모르겠네요. 부족한 것은 우리 회원님들께서 채워 주시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921 맑은 술 증류 후 [3] 방구석신선 2023-02-06 3980
920 이런 노란게 생겼는데 곰팡이 일까요? file [1] 끼옹이 2023-02-01 4412
919 석탄주 발효 문의(3주차) file [1] 막린이 2023-01-08 4197
918 덧술 발효 2일차 발효 색깔 문의 file [1] 청청화 2023-01-03 4161
917 수곡 [1] 설화곡 2022-12-29 3700
916 초록색 곰팡이 같은게 좀 보입니다. file [1] 김세용 2022-12-23 4659
915 저온 발효에관하여 여쭤 봅니다. 오작교 2022-10-29 4385
914 채주시기 관련 질문있습니다! 성진2 2022-10-16 4108
913 이상한 맛과 향의 고구마 막걸리 질문입니다. 곡차 2022-10-02 3835
912 단맛이 너무 강하고 알콜이 전혀 없습니다. [1] 레옹이누나 2022-06-14 5474
911 안녕하세요 전통주 초보자인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2] 마늘이 2022-05-26 5862
910 딸기 및 다른 부재료 넣기 mekookbrewer 2022-04-11 4832
909 쌀씻는 방법 여쭙니다 월출도가 2022-03-07 4926
908 걸려 내는 시기 이미 걸러낸 술 단맛 탄산 첨가 방법 file [1] 오오오오오오어오 2022-01-23 5397
907 호산춘 표면의 노란 부유물 질문입니다. file charlie 2022-01-14 5303
906 삼양주빗기-층분리가 잘 안되고 청주가 잘 안만들어지네요. file 할배 2022-01-05 7743
905 삼양주 언제 걸러야 할까요? file [2] 준파파 2022-01-03 6835
904 탁도가 아주 맑은 전통주를 얻으려면 뿌기뿌기 2021-12-21 5463
903 건조 연잎 사용 질문드립니다. 뿌기뿌기 2021-12-21 4113
902 덧술이 끓지 않습니다. 막걸리를 살려주세요. file [1] 리볼트 2021-11-28 6952
901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mekookbrewer 2021-11-18 5301
900 석탄주 덧술 후 발효가 잘 안되는 문제 file [2] charlie 2021-11-07 6495
899 술에 쓴맛은 어떤 요인떄문에 생기는건가요 ?? [2] 연필꽂이 2021-10-28 7053
898 양조와 숙취에 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1] 양조가궁금해 2021-10-24 5030
897 이번 여름에 누룩을 디뎠어요 file [2] 바나나메론 2021-10-11 6780
896 발효통 뚜껑은 밀폐하나요?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6 5415
895 씨앗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3 5595
894 한국 전통주 교과서 내용 질문입니다. [2] 신바람 2021-09-28 7746
893 전통주 교과서 이양주 레시피 질문드립니다. [1] 뿌기뿌기 2021-08-26 6365
892 이양주 덧술 문의드립니다 [1] 막이 2021-08-26 5264
891 석탄주 덧술을 설익은 고두밥으로 했는데, 고두밥을 추가해야 할까요? [2] 메밀우유 2021-08-06 6695
890 당화/발효 관련 문의. [1] 생기발랄 2021-07-21 5948
889 탄산이 강한 막걸리 만드는 방법이 어떻게 될까요? [3] 후아랴 2021-07-21 10697
888 단양주 발효 중 표면에 흰 곰팡이 file [2] 우리몽이씨 2021-07-05 6726
887 곡자(麯子,曲子)는 왜 曲자를 쓰나요? [2] 선선 2021-06-22 4951
886 누룩에도 알코올이 있나요? 빨간콩 2021-06-18 5165
885 삼양주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2] 에어컨 2021-06-17 6300
884 막걸리 제조장 환경은 어떻게 해야될까요? 에옹데옹 2021-06-11 5241
883 술 쉰내 [2] mekookbrewer 2021-06-02 5867
882 삼양주 발효 5일차, 곰팡이 인가요? file [1] 쩡이님 2021-05-14 696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