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화주(火酒)에 대하여...

조회 수 7615 추천 수 20 2008.07.28 21:51:44
화주(火酒)라고 하는 것은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동의보감>에는 소주가 “원나라 때부터 나온 술인데 맛이 아주 독하다.”라는 기록이 남아 있고, 1450년대 <산가요록>에는 목맥소주 제조법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당연히 수 많은 문헌속에 소주 제조법이 한 두 개씩은 들어 있습니다.

또한, 소주를 몇 번 더 내렸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봐서는 알코올 도수 70% 이상 되는 소주도 마셨던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소주를 세 번에 걸쳐 내리게 되면 술의 양은 적어지겠지만 알코올 도수는 아주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추론하면, 여러 번 소주를 내리게 되면 독한 술이 나온 다는 것을 선조들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도 최소 700년 전에 아주 독한 소주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이 있었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박보경님께서 질문하신 내용은 위의 글과 같은 알코올 도수가 높은 화주가 아니죠.^^

1915년 <부인필지> 음식총론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밥 먹기는 봄 같이 하고, 국 먹기는 여름 같이 하고, 장 먹기는 가을 같이 하고, 술 먹기는 겨울 같이 하라. 밥은 따뜻하게 하고, 국은 뜨겁고, 장은 서늘하고, 술은 차갑게] 먹으라는 뜻입니다.

한국의 음식은 대부분 따뜻하게 하여 먹기 때문에 술은 차갑게 먹는 것이고요. 일본의 음식은 대부분 차갑기 때문에 술은 따뜻하게 마시는 것입니다. 우리의 온돌 문화도 영향이 있었겠죠. 몸이 열하기 때문에 술(술 또한 열한 기운)까지 따뜻하게 마시면 몸에 화기가 넘치겠죠. 그래서 한국에서는 예부터 술은 차갑게 마셨던 것입니다. 반대로 일본의 음식은 차갑기 때문에 열이 강한 술을 한 번 더 데워서 먹었던 것이죠.

그렇다고 우리나라에 따뜻하게 마시던 술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1540년대 <수운잡방>에 기록되어 있는 도인주(복숭아씨를 이용한 술)에는 “매일 아침 데워서 한 종지씩 마신다.”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즉, 술을 따뜻하게 마신 것입니다. 그러나 이 글도 박보경님께서 원하시는 답변은 아니죠. ^^

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 우리나라 고문헌 속에 불을 붙여 마신다는 술은 없습니다. 물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기록에는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없다고 말씀을 드린 것이고요. 혹시라도 그러한 기록을 찾게 되면 바로 글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인삼주는 물론 대부분의 청주들은 불을 붙여 마실 수 있습니다. 얼핏 생각하기에 알코올 도수가 높아야만 불이 붙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작은 잔에 술을 붓고 계속해서 열을 가하게 되면 불이 붙게 되는 것입니다.

1. 잔에 술을 붓는다.
2. 잔 위나 아래에서 열을 가한다.
3. 잔의 술이 온도가 올라가면서 전체에 퍼져 있던 에탄올이 위로 올라온다.
4. 에탄올이 위에 모이게 되고 열에 의해 술에 불이 붙는다.

증류주처럼 바로 불이 붙지는 않지만 열을 가하면 에탄올이 위로 올라오기 때문에 불이 붙을 수 밖에 없습니다. 술에 불을 붙이는 것은 보는 재미도 있겠지만 에탄올을 날려 버려 술의 알코올 도수가 확연히 낮아지게 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입니다.

답변이 됐는지 모르겠네요. 부족한 것은 우리 회원님들께서 채워 주시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963 약주라는 명칭의 유래 酒人 2005-09-06 5393
962 전통주 발효과정에서의 술독 내부의 변화 酒人 2005-11-19 6169
961 누룩만으로 술이 될까? 酒人 2006-01-12 5129
960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酒人 2006-01-12 5521
959 집에서 술 빚는 것이 힘든가요?? 酒人 2006-01-12 5240
958 술을 사먹지 왜 만들어 먹어요?? 酒人 2006-01-13 5098
957 일반 가정에의 항아리 소독법은??(증기법) 酒人 2006-01-21 18568
956 집에서 술을 재조해서 팔면 법에 저촉되나요? [3] 관리자 2006-02-07 6064
955 전통주, 기능주 영업을하고 싶습니다. [3] 酒人 2006-02-17 4947
954 당화인가 발효인가?? [2] 酒人 2006-02-20 7747
953 술 끓어 오른 자국이 생기는 이유와 의미 [1] 酒人 2006-02-28 6312
952 정신없이 글을 쓰다보니... [2] 酒人 2006-03-03 4139
951 술을 빚다 보면 이런일도 있지요. file [2] 酒人 2006-03-04 6099
950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577
949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싶습니다. 관리자 2006-03-11 3879
948 소나무에 막걸리를 주면 잘자란다? [2] 酒人 2006-03-12 10931
947 전통주 기초강의 1. 술이란 酒人 2006-03-17 4095
946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625
945 전통주 기초강의 3. 효소와 효모 酒人 2006-03-17 5913
944 전통주 기초강의 4. 단발효와 복발효 酒人 2006-03-17 7104
943 전통주 기초강의 5. 누룩의 역활 酒人 2006-03-18 5311
942 전통주 기초강의 6. 발효주와 증류주 酒人 2006-03-18 5225
941 전통주 기초강의 8. 양조의 공정 酒人 2006-03-27 4724
940 전통주 기초강의 9. 단양주와 이양주 [1] 酒人 2006-03-30 7317
939 전통주 기초강의 10. 전통주란 무엇인가. 酒人 2006-03-31 4416
938 술빚기 기초강의 1. 술의 선택 酒人 2006-04-04 4964
937 술빚기 기초강의 2. 도구의 선택 酒人 2006-04-04 4202
936 김병덕님 보세요. 쌀 5되로 술빚기입니다. 酒人 2006-04-07 4236
935 술빚기 기초강의 3. 쌀씻어 물에 담그기 酒人 2006-04-08 4627
934 오늘 진달래술(두견주)과 쑥술(애주) 밑술을 빚습니다. file 酒人 2006-04-12 4243
933 전통주 기초강의 4. 쌀을 불리는 이유 酒人 2006-04-18 7510
932 <b>생쌀 발효법 그 진실은</b> 酒人 2006-04-19 9467
931 질문 드립니다. [2] 김강훈 2006-04-24 4643
930 궁금한 점 몇 가지... 김태원 2006-04-25 4041
929 [re] 김태원님 보세요.~ [5] 酒人 2006-04-25 5481
928 현미 쌀 타피오카 절감 등의 전분가 file 酒人 2006-04-27 4196
927 인사동 축제에 사용할 유리병 file [5] 酒人 2006-04-29 5065
926 <b>효모랑 대화하면 술빚는게 즐겁다.</b> [1] 酒人 2006-05-02 11669
925 전통주 중급강의 1. 효모의 증식과 발효. 酒人 2006-05-04 4206
924 <b>전통주 중급강의 2. 야생효모와 배양효모</b> 酒人 2006-05-08 460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