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화주(火酒)에 대하여...

조회 수 7486 추천 수 20 2008.07.28 21:51:44
화주(火酒)라고 하는 것은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동의보감>에는 소주가 “원나라 때부터 나온 술인데 맛이 아주 독하다.”라는 기록이 남아 있고, 1450년대 <산가요록>에는 목맥소주 제조법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당연히 수 많은 문헌속에 소주 제조법이 한 두 개씩은 들어 있습니다.

또한, 소주를 몇 번 더 내렸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봐서는 알코올 도수 70% 이상 되는 소주도 마셨던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소주를 세 번에 걸쳐 내리게 되면 술의 양은 적어지겠지만 알코올 도수는 아주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추론하면, 여러 번 소주를 내리게 되면 독한 술이 나온 다는 것을 선조들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도 최소 700년 전에 아주 독한 소주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이 있었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박보경님께서 질문하신 내용은 위의 글과 같은 알코올 도수가 높은 화주가 아니죠.^^

1915년 <부인필지> 음식총론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밥 먹기는 봄 같이 하고, 국 먹기는 여름 같이 하고, 장 먹기는 가을 같이 하고, 술 먹기는 겨울 같이 하라. 밥은 따뜻하게 하고, 국은 뜨겁고, 장은 서늘하고, 술은 차갑게] 먹으라는 뜻입니다.

한국의 음식은 대부분 따뜻하게 하여 먹기 때문에 술은 차갑게 먹는 것이고요. 일본의 음식은 대부분 차갑기 때문에 술은 따뜻하게 마시는 것입니다. 우리의 온돌 문화도 영향이 있었겠죠. 몸이 열하기 때문에 술(술 또한 열한 기운)까지 따뜻하게 마시면 몸에 화기가 넘치겠죠. 그래서 한국에서는 예부터 술은 차갑게 마셨던 것입니다. 반대로 일본의 음식은 차갑기 때문에 열이 강한 술을 한 번 더 데워서 먹었던 것이죠.

그렇다고 우리나라에 따뜻하게 마시던 술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1540년대 <수운잡방>에 기록되어 있는 도인주(복숭아씨를 이용한 술)에는 “매일 아침 데워서 한 종지씩 마신다.”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즉, 술을 따뜻하게 마신 것입니다. 그러나 이 글도 박보경님께서 원하시는 답변은 아니죠. ^^

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 우리나라 고문헌 속에 불을 붙여 마신다는 술은 없습니다. 물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기록에는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없다고 말씀을 드린 것이고요. 혹시라도 그러한 기록을 찾게 되면 바로 글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인삼주는 물론 대부분의 청주들은 불을 붙여 마실 수 있습니다. 얼핏 생각하기에 알코올 도수가 높아야만 불이 붙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작은 잔에 술을 붓고 계속해서 열을 가하게 되면 불이 붙게 되는 것입니다.

1. 잔에 술을 붓는다.
2. 잔 위나 아래에서 열을 가한다.
3. 잔의 술이 온도가 올라가면서 전체에 퍼져 있던 에탄올이 위로 올라온다.
4. 에탄올이 위에 모이게 되고 열에 의해 술에 불이 붙는다.

증류주처럼 바로 불이 붙지는 않지만 열을 가하면 에탄올이 위로 올라오기 때문에 불이 붙을 수 밖에 없습니다. 술에 불을 붙이는 것은 보는 재미도 있겠지만 에탄올을 날려 버려 술의 알코올 도수가 확연히 낮아지게 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입니다.

답변이 됐는지 모르겠네요. 부족한 것은 우리 회원님들께서 채워 주시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921 삼선주에 관한 질문 [1] 케이원 2014-09-12 3146
920 누룩의 발효력 확인 [1] 시골술쟁이 2018-10-29 3153
919 쌀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1] 할매 2010-06-09 3155
918 술에 가향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원삼규 2006-12-15 3167
917 첫 술 만들기시도 [2] 천사 2010-02-20 3168
916 밑술후 초코색?층이 져요 [1] 호박654 2020-04-17 3168
915 불패주 밑술할때 찹쌀로 하면 주방문을 수정해야될까요? [1] 준우 2020-06-06 3174
914 고맙습니다 [1] yk 2014-03-20 3181
913 이런것도 질문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1] 공대생 2014-09-24 3184
912 신도주 질문입니다 file [1] 시골술쟁이 2017-06-08 3194
911 [re] 구정에 먹을 술 어떤게 좋을까요.? [2] 酒人 2007-01-01 3197
910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밑술 끓은지 36시간후에 덧술) [2] 瑞香 2017-03-26 3205
909 약전에 관하여(이한수님의 질문입니다. ) 酒人 2006-10-31 3207
908 누룩 관련 질문입니다 [1] 김우치 2020-09-01 3208
907 우리밀로 막걸리를 만들고 싶습니다 [2] 삶을사랑한다 2017-03-31 3210
906 술빚기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1] 강곤 2019-12-09 3216
905 자료 요청합니다. [1] [3] 엄대장 2012-12-17 3233
904 백세후 완전건조된 쌀 [1] KoreanBrewers 2019-04-03 3233
903 술이 되어가는 과정에 대해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7-10 3241
902 안녕하세요~질문이있습니다 [1] 레오몬 2020-06-24 3244
901 온도조절? [2] mekookbrewer 2020-06-09 3261
900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ㅜㅠㅜㅠ file [2] 루덴스 2019-05-12 3263
899 술로 술 빚기? [1] 케이원 2014-05-27 3266
898 물에 담근 누룩 어떻게 하나요? [1] 눈사람 2010-03-05 3269
897 누룩 띄울 때 꽃을 넣을 수 있나요? 민속주 2012-06-23 3272
896 반갑습니다 비퀸 2017-11-24 3272
895 술을 빚을때 과일을 첨가했을경우 [1] 동백나무 2018-12-09 3298
894 안녕하세요 이양주와 삼양주를 담아보려고 하는데요 [1] 플라타너스 2020-09-04 3299
893 삼양주 담는중입니다. [1] 소라 2014-07-25 3300
892 석탄주 덧술발효과정에서 혼란스러운 부분 [1] 레오몬 2020-02-12 3301
891 술을 처음 빚어봅니다~!! 질문 있습니다. [2] 준우 2019-04-26 3303
890 훗~^^ 궁금증 좀 풀어주세요~ 어화둥둥 2007-06-02 3312
889 혹시.. 전통주 배우는 프로그램은 없는지요...? 이선아 2008-10-01 3312
888 주인님 추가질문입니다ㅜ,ㅜ [1] 강하주 2014-03-22 3315
887 <b>겨울 술빚기의 기본</b> 酒人 2007-01-23 3322
886 백미로만.. 술을 담을 경우 [2] 산에살다 2016-06-01 3327
885 송순주 [1] yk 2014-08-02 3343
884 술 량이 적은것 같아서요~ [2] 두메 2010-02-05 3345
883 서태를 포함한 7곡으로 범벅하여 밑술하였는데.. 솔버덩 2010-04-10 3346
882 소주내리기위해 술을빚을때 쓰는 주방이 따로있나요? [1] synop 2019-10-01 334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