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화주(火酒)에 대하여...

조회 수 7404 추천 수 20 2008.07.28 21:51:44
화주(火酒)라고 하는 것은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동의보감>에는 소주가 “원나라 때부터 나온 술인데 맛이 아주 독하다.”라는 기록이 남아 있고, 1450년대 <산가요록>에는 목맥소주 제조법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당연히 수 많은 문헌속에 소주 제조법이 한 두 개씩은 들어 있습니다.

또한, 소주를 몇 번 더 내렸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봐서는 알코올 도수 70% 이상 되는 소주도 마셨던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소주를 세 번에 걸쳐 내리게 되면 술의 양은 적어지겠지만 알코올 도수는 아주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추론하면, 여러 번 소주를 내리게 되면 독한 술이 나온 다는 것을 선조들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도 최소 700년 전에 아주 독한 소주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이 있었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박보경님께서 질문하신 내용은 위의 글과 같은 알코올 도수가 높은 화주가 아니죠.^^

1915년 <부인필지> 음식총론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밥 먹기는 봄 같이 하고, 국 먹기는 여름 같이 하고, 장 먹기는 가을 같이 하고, 술 먹기는 겨울 같이 하라. 밥은 따뜻하게 하고, 국은 뜨겁고, 장은 서늘하고, 술은 차갑게] 먹으라는 뜻입니다.

한국의 음식은 대부분 따뜻하게 하여 먹기 때문에 술은 차갑게 먹는 것이고요. 일본의 음식은 대부분 차갑기 때문에 술은 따뜻하게 마시는 것입니다. 우리의 온돌 문화도 영향이 있었겠죠. 몸이 열하기 때문에 술(술 또한 열한 기운)까지 따뜻하게 마시면 몸에 화기가 넘치겠죠. 그래서 한국에서는 예부터 술은 차갑게 마셨던 것입니다. 반대로 일본의 음식은 차갑기 때문에 열이 강한 술을 한 번 더 데워서 먹었던 것이죠.

그렇다고 우리나라에 따뜻하게 마시던 술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1540년대 <수운잡방>에 기록되어 있는 도인주(복숭아씨를 이용한 술)에는 “매일 아침 데워서 한 종지씩 마신다.”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즉, 술을 따뜻하게 마신 것입니다. 그러나 이 글도 박보경님께서 원하시는 답변은 아니죠. ^^

본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 우리나라 고문헌 속에 불을 붙여 마신다는 술은 없습니다. 물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기록에는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없다고 말씀을 드린 것이고요. 혹시라도 그러한 기록을 찾게 되면 바로 글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인삼주는 물론 대부분의 청주들은 불을 붙여 마실 수 있습니다. 얼핏 생각하기에 알코올 도수가 높아야만 불이 붙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작은 잔에 술을 붓고 계속해서 열을 가하게 되면 불이 붙게 되는 것입니다.

1. 잔에 술을 붓는다.
2. 잔 위나 아래에서 열을 가한다.
3. 잔의 술이 온도가 올라가면서 전체에 퍼져 있던 에탄올이 위로 올라온다.
4. 에탄올이 위에 모이게 되고 열에 의해 술에 불이 붙는다.

증류주처럼 바로 불이 붙지는 않지만 열을 가하면 에탄올이 위로 올라오기 때문에 불이 붙을 수 밖에 없습니다. 술에 불을 붙이는 것은 보는 재미도 있겠지만 에탄올을 날려 버려 술의 알코올 도수가 확연히 낮아지게 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입니다.

답변이 됐는지 모르겠네요. 부족한 것은 우리 회원님들께서 채워 주시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921 누룩의 발효력 확인 [1] 시골술쟁이 2018-10-29 2842
920 삼선주에 관한 질문 [1] 케이원 2014-09-12 2849
919 딸내미와 아들녀석이... file [2] 보리콩 2010-09-11 2865
918 술독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1-28 2866
917 질문드립니다. [1] 아나테스 2010-09-11 2875
916 신도주 질문입니다 file [1] 시골술쟁이 2017-06-08 2890
915 알코올 발효 질문있습니다. [2] 술빚는요리사 2020-05-06 2893
914 고맙습니다 [1] yk 2014-03-20 2902
913 이런것도 질문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1] 공대생 2014-09-24 2902
912 백세후 완전건조된 쌀 [1] KoreanBrewers 2019-04-03 2913
911 불패주 밑술할때 찹쌀로 하면 주방문을 수정해야될까요? [1] 준우 2020-06-06 2913
910 밑술후 초코색?층이 져요 [1] 호박654 2020-04-17 2923
909 우리밀로 막걸리를 만들고 싶습니다 [2] 삶을사랑한다 2017-03-31 2928
908 술빚기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1] 강곤 2019-12-09 2929
907 저희집의 술을 복원하고 싶습니다 [1] 이도마 2010-09-09 2941
906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밑술 끓은지 36시간후에 덧술) [2] 瑞香 2017-03-26 2942
905 삼양주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1] 와이즈먼 2024-01-18 2957
904 누룩 관련 질문입니다 [1] 김우치 2020-09-01 2958
903 반갑습니다 비퀸 2017-11-24 2971
902 술이 되어가는 과정에 대해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7-10 2974
901 <b>완성된 "쑥술" 병입완료</b> file 酒人 2006-05-16 2975
900 술로 술 빚기? [1] 케이원 2014-05-27 2985
899 술을 빚을때 과일을 첨가했을경우 [1] 동백나무 2018-12-09 2986
898 여과를할려면,, [1] 이승욱 2007-01-24 2989
897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ㅜㅠㅜㅠ file [2] 루덴스 2019-05-12 2990
896 온도조절? [2] mekookbrewer 2020-06-09 2990
895 술을 잘 빚으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1] 원삼규 2006-12-08 2992
894 석탄주 덧술발효과정에서 혼란스러운 부분 [1] 레오몬 2020-02-12 2997
893 안녕하세요~질문이있습니다 [1] 레오몬 2020-06-24 2998
892 전통주 되살리기 백제주 2010-09-02 3015
891 삼양주 담는중입니다. [1] 소라 2014-07-25 3019
890 술을 처음 빚어봅니다~!! 질문 있습니다. [2] 준우 2019-04-26 3020
889 소주내리기위해 술을빚을때 쓰는 주방이 따로있나요? [1] synop 2019-10-01 3023
888 술만드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너무 궁금해서 이렇게 글을 써봅니다!!!!!(술이랑 관련) [1] 술수리 2010-04-04 3025
887 발효에 관한 질문입니다! [2] 술을 빚어보자 2018-07-03 3030
886 안녕하세요 이양주와 삼양주를 담아보려고 하는데요 [1] 플라타너스 2020-09-04 3030
885 <b>약주란 무엇인가.</b> 酒人 2006-07-28 3039
884 송순주 [1] yk 2014-08-02 3041
883 주인님 추가질문입니다ㅜ,ㅜ [1] 강하주 2014-03-22 3048
882 쌀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1] 할매 2010-06-09 305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