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지황주" 네 가지 제조법</b>

조회 수 4063 추천 수 22 2008.07.27 23:09:28
지황주를 말하다.

술을 어떻게 빚든 상관없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술을 빚을 때 들어가는 재료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술을 빚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약재가 들어가는 술은 약재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제조법으로 술을 빚어야 술이 술 다워지는 것이다.

지황주는 1540년대 <수운잡방>을 시작으로 9종류의 고문헌에 등장하지만 제조법은 단 네 가지 뿐이며 1540년대 <수운잡방>, 1611년의 <동의보감>, 1800년대 초의 <주찬>에 기록되어 있는 술들을 살펴보면 선조들이 이 술에서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이었는지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수운잡방>

굵은 지황 1말(큰 되)를 썰어 찹쌀 5되와 함께 찐다. 누룩 1되(큰 되)를 준비한다. 이 세가지 맛을 가진 것들을 잘 주물러 항아리에 담고 진흙으로 봉한다. 봄, 여름이면 세이레(21일), 가을, 겨울이면 다섯이레(35일)가 되어 술이 익으면 한 잔씩 먹는다.

- 맨 위에 뜨는 술이 가장 좋으니 먼저 마시고 나머지는 천으로 짜서 저장해 두고 마신다. 그 맛이 조청과 같이 매우 달다.



<동의보감>

찹쌀 1말과 생지황 3근을 잘게 뜯어 함께 무른 고두밥을 짓고 보통 술 빚는 것처럼 빚어서 익으면 마신다.

- 술이 다 된 뒤에 마음대로 먹으면 혈이 고르로워지므로 얼굴 빛이 좋아진다.[입문]



<주찬> 1

백미 1말을 아주 깨끗하게 씻어 가루 내어 찐다. 여기에 누룩가루 5되를 넣어 밑술을 빚는다.
국화 말린 것 5근을 가루 낸다. 생지황 5근을 찧어 포대에 넣고 즙을 짠다. 지골피 5근을 물 10말에 넣어 5말이 될 때까지 졸인 후에 다시 지황즙을  넣고 끓인다.
찹쌀 5말을 아주 깨끗하게 씻어 생지황즙과 지골피 졸인 물을 약간 뿌려가며 쪄서 차게 식힌 후에 밑술과 생지황즙, 지골피 달인 물, 국화가루를 함께 잘 혼합하여 아주 찬 곳에 둔다.
술독을 싸지 않고 찬 곳에 두었다가 다섯이레(35일) 후에 용수를 박는다.
이 술은 서왕모가 한의 무왕에게 바친 술이다.


<주찬> 2

생지황은 즙을 짜고 같은 양의 누룩과 쌀을 섞어 담아 단단히 봉해 둔다. 5-7일 후에 개봉하면 즙이 우러나와 있는데 이것이 진국이다. 먼저 이것을 마시고 거른 것은 저장해 둔다. 우슬즙을 넣으면 효과가 더욱 빠르다.


이상 네 가지 제조법을 살펴보면 마지막 <주찬>의 제조법이 많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단, <주찬>의 제조법을 남겨두고 <수운잡방>과 <동의보감>의 제조법을 살펴보면 두 제조법의 공통된 특징을 알 수 있다.

첫째, 지황은 고두밥과 함께 쪄서 술을 빚는다.
둘째, 물을 따로 사용하지 않는 대신 묽은 고두밥을 지어 술을 빚는다.
셋째, 지황주는 단맛이 매우 강한 술이다.


<주찬>에는 두 가지 제조법이 등장합니다. 서왕모가 한의 무왕에게 바친 술과 다른 한 가지 제조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술에도 공통점이 있는데요. 바로 생지황의 즙을 이용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총 네 가지의 제조법을 살펴보면 지황을 어떻게 이용해왔는지 알 수 있습니다.

생지황을 찌거나 즙을 내 술을 빚은 것입니다. 네 가지 제조법을 살펴 봤을 때 <동의보감>과 <수운잡방>의 제조법은 단맛이 강해 몸이 매우 좋지 않은 사람들에게 좋은 술이 될 것 같고 <주찬>에 기록된 술은 미리 몸을 보호할 수 있는 술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수운잡방>, <동의보감> : 술을 좋아하지 않거나 병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좋은 술 제조법
<주찬> : 술을 즐기거나 미리 건강을 챙기는 사람에게 좋은 술 제조법




마치면서…

총 네 가지 술의 특징이 달라 자신에게 맞는 제조법을 찾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독한 것 보다 단 맛을 좋아하는 사람은 <수운잡방>, <동의보감>의 제조법을 사용하고 술을 즐기며 건강을 생각하는 사람들은 <주찬>의 제조법을 이용해 술을 빚으면 될 것입니다.



가장 좋은 술이란 자신에게 맞는 술이다. "술독" www.suldoc.com

酒人

2008.07.28 00:41:11
*.66.164.248

윤숙자 교수님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대학교수와 연구소에서 낸 책들이 많은 실책을 범하고 있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책들을 한 번 읽어보면 책을 참 쉽게 쓰는구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틀린 부분이 너무 많아요.

원문과 비교도 하지 않고 다른 사람이 번역해 놓은 것을 자신이 번역한 것처럼 책을 내는 것이 현실입니다. 교수님들이 바쁘셔서 책을 쉽게 쓰는 것 같습니다.



봇뜰

2008.07.28 15:50:59
*.159.250.22

우리의 전통주 알면 알수록 어렵네요.^^

주인님~ 머리가 부서질것 같아요...오늘 또 어려운걸 배웠습니다. 아직도 걸음마 하는 마음 입니다.

앞으로 더 열심히 열공 해야 겠어요...
"전통주" 머리가 복잡해서 힘 듭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761 막걸리의 냄새가 이상해요 찐찐 2018-12-09 4106
760 술을 빚을때 과일을 첨가했을경우 [1] 동백나무 2018-12-09 2947
759 약주 거름의 법적 기준.. [1] 오씨 2018-12-01 3655
758 법적으로 이렇게 만든 술도 탁주일까요? [1] 오씨 2018-11-30 3329
757 당화 효소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1] 교반기 2018-11-19 4750
756 발효 온도 [1] 상자 2018-11-18 3971
755 막걸리의 걸쮹함 [2] ilovetapuy 2018-11-06 4359
754 누룩의 발효력 확인 [1] 시골술쟁이 2018-10-29 2805
753 고두밥 나눠 넣기의 시기 [1] 케팔로스 2018-10-26 3250
752 덧술 후 과정... [1] 케팔로스 2018-10-22 4230
751 이양주 질문입니다. 도와주세요.. [2] 케팔로스 2018-10-17 4609
750 막걸리에 탄산이 없어요 [2] 오씨 2018-10-14 7248
749 불패주 주방문 수정가능할까요...ㅠ [2] 케팔로스 2018-10-12 3086
748 밑술,덧술 둘다 찹쌀써도 되나요?? [2] 찰리와막걸리공장 2018-10-04 4133
747 전통주 빚을 때 알코올 도수 공식 좀 알려주세요. [1] 연이김 2018-09-30 3346
746 단양주와 이양주 보관에 대하여.... (병과 플라스틱통) [2] 서련 2018-09-29 5052
745 밑술을 고두밥으로 했습니다. [1] 두더지 2018-09-28 3704
744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 [1] 케팔로스 2018-09-18 4906
743 단양주 신맛 [1] 시골술쟁이 2018-09-15 4956
742 술이 뻑뻑해요ㅠ.ㅠ [2] 술을 빚어보자 2018-07-20 3018
741 발효에 관한 질문입니다! [2] 술을 빚어보자 2018-07-03 2995
740 술이 너무 달아요! [3] cocomumu 2018-06-26 5133
739 이양주 질문입니다. [1] 시골술쟁이 2018-06-26 3075
738 이양주가 익는중 문제가 생겨 문의 드립니다! file [5] 이규민 2018-06-05 5776
737 삼양주 술 거르는 시기? file [2] cocomumu 2018-05-30 6019
736 급합니다. 우리아이좀 살려주세요. file [1] 치어스 2018-04-30 3459
735 보쌈이 무엇인가요 [1] 무등산 2018-04-12 3652
734 알코올 향이 튀는 이유와 해결법이 어떻게 되나요? [1] Heron 2018-03-01 2752
733 증류주 보관법에 관해서 알고 싶습니다. [3] 키 작은 사랑 2018-03-01 4421
732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5386
731 소규모주류제조 면허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 글 올립니다. [1] Heron 2017-12-17 4443
730 누룩 대신 생막걸리를 써도 될까요? [1] anakii 2017-12-07 4522
729 반갑습니다 비퀸 2017-11-24 2931
728 오디주를 빚어보고 싶어요 [1] 선02 2017-09-18 3010
727 질문 드립니다. [1] 팬더팬 2017-09-07 2406
726 담금주에 대해 여쭤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5 3865
725 친절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몇가지 더 여쭤 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5 2703
724 안녕하세요. 벌꿀주 미드를 만들어 보려 합니다! 궁금한 것 들 여쭤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3 4287
723 신도주 질문입니다 file [1] 시골술쟁이 2017-06-08 2855
722 막걸리 병입후에 4-5일후에 생기는 현상 궁금합니다. file [1] 아이다호 2017-04-23 403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