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지황주" 네 가지 제조법</b>

조회 수 4064 추천 수 22 2008.07.27 23:09:28
지황주를 말하다.

술을 어떻게 빚든 상관없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술을 빚을 때 들어가는 재료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술을 빚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약재가 들어가는 술은 약재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제조법으로 술을 빚어야 술이 술 다워지는 것이다.

지황주는 1540년대 <수운잡방>을 시작으로 9종류의 고문헌에 등장하지만 제조법은 단 네 가지 뿐이며 1540년대 <수운잡방>, 1611년의 <동의보감>, 1800년대 초의 <주찬>에 기록되어 있는 술들을 살펴보면 선조들이 이 술에서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이었는지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수운잡방>

굵은 지황 1말(큰 되)를 썰어 찹쌀 5되와 함께 찐다. 누룩 1되(큰 되)를 준비한다. 이 세가지 맛을 가진 것들을 잘 주물러 항아리에 담고 진흙으로 봉한다. 봄, 여름이면 세이레(21일), 가을, 겨울이면 다섯이레(35일)가 되어 술이 익으면 한 잔씩 먹는다.

- 맨 위에 뜨는 술이 가장 좋으니 먼저 마시고 나머지는 천으로 짜서 저장해 두고 마신다. 그 맛이 조청과 같이 매우 달다.



<동의보감>

찹쌀 1말과 생지황 3근을 잘게 뜯어 함께 무른 고두밥을 짓고 보통 술 빚는 것처럼 빚어서 익으면 마신다.

- 술이 다 된 뒤에 마음대로 먹으면 혈이 고르로워지므로 얼굴 빛이 좋아진다.[입문]



<주찬> 1

백미 1말을 아주 깨끗하게 씻어 가루 내어 찐다. 여기에 누룩가루 5되를 넣어 밑술을 빚는다.
국화 말린 것 5근을 가루 낸다. 생지황 5근을 찧어 포대에 넣고 즙을 짠다. 지골피 5근을 물 10말에 넣어 5말이 될 때까지 졸인 후에 다시 지황즙을  넣고 끓인다.
찹쌀 5말을 아주 깨끗하게 씻어 생지황즙과 지골피 졸인 물을 약간 뿌려가며 쪄서 차게 식힌 후에 밑술과 생지황즙, 지골피 달인 물, 국화가루를 함께 잘 혼합하여 아주 찬 곳에 둔다.
술독을 싸지 않고 찬 곳에 두었다가 다섯이레(35일) 후에 용수를 박는다.
이 술은 서왕모가 한의 무왕에게 바친 술이다.


<주찬> 2

생지황은 즙을 짜고 같은 양의 누룩과 쌀을 섞어 담아 단단히 봉해 둔다. 5-7일 후에 개봉하면 즙이 우러나와 있는데 이것이 진국이다. 먼저 이것을 마시고 거른 것은 저장해 둔다. 우슬즙을 넣으면 효과가 더욱 빠르다.


이상 네 가지 제조법을 살펴보면 마지막 <주찬>의 제조법이 많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단, <주찬>의 제조법을 남겨두고 <수운잡방>과 <동의보감>의 제조법을 살펴보면 두 제조법의 공통된 특징을 알 수 있다.

첫째, 지황은 고두밥과 함께 쪄서 술을 빚는다.
둘째, 물을 따로 사용하지 않는 대신 묽은 고두밥을 지어 술을 빚는다.
셋째, 지황주는 단맛이 매우 강한 술이다.


<주찬>에는 두 가지 제조법이 등장합니다. 서왕모가 한의 무왕에게 바친 술과 다른 한 가지 제조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술에도 공통점이 있는데요. 바로 생지황의 즙을 이용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총 네 가지의 제조법을 살펴보면 지황을 어떻게 이용해왔는지 알 수 있습니다.

생지황을 찌거나 즙을 내 술을 빚은 것입니다. 네 가지 제조법을 살펴 봤을 때 <동의보감>과 <수운잡방>의 제조법은 단맛이 강해 몸이 매우 좋지 않은 사람들에게 좋은 술이 될 것 같고 <주찬>에 기록된 술은 미리 몸을 보호할 수 있는 술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수운잡방>, <동의보감> : 술을 좋아하지 않거나 병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좋은 술 제조법
<주찬> : 술을 즐기거나 미리 건강을 챙기는 사람에게 좋은 술 제조법




마치면서…

총 네 가지 술의 특징이 달라 자신에게 맞는 제조법을 찾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독한 것 보다 단 맛을 좋아하는 사람은 <수운잡방>, <동의보감>의 제조법을 사용하고 술을 즐기며 건강을 생각하는 사람들은 <주찬>의 제조법을 이용해 술을 빚으면 될 것입니다.



가장 좋은 술이란 자신에게 맞는 술이다. "술독" www.suldoc.com

酒人

2008.07.28 00:41:11
*.66.164.248

윤숙자 교수님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대학교수와 연구소에서 낸 책들이 많은 실책을 범하고 있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책들을 한 번 읽어보면 책을 참 쉽게 쓰는구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틀린 부분이 너무 많아요.

원문과 비교도 하지 않고 다른 사람이 번역해 놓은 것을 자신이 번역한 것처럼 책을 내는 것이 현실입니다. 교수님들이 바쁘셔서 책을 쉽게 쓰는 것 같습니다.



봇뜰

2008.07.28 15:50:59
*.159.250.22

우리의 전통주 알면 알수록 어렵네요.^^

주인님~ 머리가 부서질것 같아요...오늘 또 어려운걸 배웠습니다. 아직도 걸음마 하는 마음 입니다.

앞으로 더 열심히 열공 해야 겠어요...
"전통주" 머리가 복잡해서 힘 듭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61 술이 자꾸 걸쭉하게 나오는 이유;;; file [4] 연필꽂이 2020-10-31 5591
760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원삼규 2006-12-27 5582
759 술 쉰내 [2] mekookbrewer 2021-06-02 5580
758 죽으로 밑술을 했는데요 혹시 산막이 생긴걸까요? file [1] 류슈뮤 2023-04-05 5574
757 밑술에서 쌀죽과 범벅에 가수량? [1] 오렌지컴 2014-09-14 5562
756 삼양주 고두밥 덧술 후 22일 째 강한 알콜향 [1] 감금중 2020-12-20 5550
755 씨앗술 만들기. [2] 창힐 2012-08-14 5536
754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민속주 2013-05-05 5534
753 안녕하세요 전통주 초보자인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2] 마늘이 2022-05-26 5508
752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 file [3] aladinn 2015-02-26 5498
751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495
750 삼양주를 만드는데 문제가 생긴듯 하여 여쭤봅니다 file [1] 희진 2023-03-10 5494
749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얄리야리 2021-02-09 5490
748 술독의 진정성...밥으로 만드는 술은? [4] 아리랑 2012-03-04 5450
747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9-03 5440
746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438
745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이탁배기 2019-05-30 5421
744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420
743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415
742 향온주 빚을때... file [2] 보리콩 2011-02-01 5412
741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5394
740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비설 2008-12-05 5389
739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석탄주 2008-09-22 5386
738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386
737 제맘대로 단양주? [2] 오야봉 2009-03-20 5384
736 발효와 온도 [2] 포수 2013-06-24 5377
735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나이스박 2012-03-13 5372
734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368
733 이양주 덧술 후 기포가 사라진 문제 ㅠㅠ file [1] 오포 2023-04-16 5366
732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363
731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350
730 <b>누룩만들기 제 3장 &#8211; 성형하기</b> [1] 酒人 2007-10-23 5348
729 <b>누룩만들기 제 4장 &#8211; 누룩 밟기</b> [5] 酒人 2007-10-24 5346
728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웃는구야 2012-08-29 5327
727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2] mekookbrewer 2021-01-19 5317
726 술거르는 시기? file [2] 나이스박 2014-04-03 5316
725 냉장보관 유통기한 및 동전춘 만들기 [1] 엄대장 2012-04-06 5309
724 술끓는 소리의 차이점 file [2] 바람의딸 2012-04-22 5301
723 증류기 파는곳 없을까요. [2] 호랭이 2009-09-15 5299
722 효모에 대해... [2] sul4u 2013-06-28 529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