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지황주" 네 가지 제조법</b>

조회 수 4169 추천 수 22 2008.07.27 23:09:28
지황주를 말하다.

술을 어떻게 빚든 상관없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술을 빚을 때 들어가는 재료의 특성을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술을 빚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약재가 들어가는 술은 약재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그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제조법으로 술을 빚어야 술이 술 다워지는 것이다.

지황주는 1540년대 <수운잡방>을 시작으로 9종류의 고문헌에 등장하지만 제조법은 단 네 가지 뿐이며 1540년대 <수운잡방>, 1611년의 <동의보감>, 1800년대 초의 <주찬>에 기록되어 있는 술들을 살펴보면 선조들이 이 술에서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이었는지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수운잡방>

굵은 지황 1말(큰 되)를 썰어 찹쌀 5되와 함께 찐다. 누룩 1되(큰 되)를 준비한다. 이 세가지 맛을 가진 것들을 잘 주물러 항아리에 담고 진흙으로 봉한다. 봄, 여름이면 세이레(21일), 가을, 겨울이면 다섯이레(35일)가 되어 술이 익으면 한 잔씩 먹는다.

- 맨 위에 뜨는 술이 가장 좋으니 먼저 마시고 나머지는 천으로 짜서 저장해 두고 마신다. 그 맛이 조청과 같이 매우 달다.



<동의보감>

찹쌀 1말과 생지황 3근을 잘게 뜯어 함께 무른 고두밥을 짓고 보통 술 빚는 것처럼 빚어서 익으면 마신다.

- 술이 다 된 뒤에 마음대로 먹으면 혈이 고르로워지므로 얼굴 빛이 좋아진다.[입문]



<주찬> 1

백미 1말을 아주 깨끗하게 씻어 가루 내어 찐다. 여기에 누룩가루 5되를 넣어 밑술을 빚는다.
국화 말린 것 5근을 가루 낸다. 생지황 5근을 찧어 포대에 넣고 즙을 짠다. 지골피 5근을 물 10말에 넣어 5말이 될 때까지 졸인 후에 다시 지황즙을  넣고 끓인다.
찹쌀 5말을 아주 깨끗하게 씻어 생지황즙과 지골피 졸인 물을 약간 뿌려가며 쪄서 차게 식힌 후에 밑술과 생지황즙, 지골피 달인 물, 국화가루를 함께 잘 혼합하여 아주 찬 곳에 둔다.
술독을 싸지 않고 찬 곳에 두었다가 다섯이레(35일) 후에 용수를 박는다.
이 술은 서왕모가 한의 무왕에게 바친 술이다.


<주찬> 2

생지황은 즙을 짜고 같은 양의 누룩과 쌀을 섞어 담아 단단히 봉해 둔다. 5-7일 후에 개봉하면 즙이 우러나와 있는데 이것이 진국이다. 먼저 이것을 마시고 거른 것은 저장해 둔다. 우슬즙을 넣으면 효과가 더욱 빠르다.


이상 네 가지 제조법을 살펴보면 마지막 <주찬>의 제조법이 많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단, <주찬>의 제조법을 남겨두고 <수운잡방>과 <동의보감>의 제조법을 살펴보면 두 제조법의 공통된 특징을 알 수 있다.

첫째, 지황은 고두밥과 함께 쪄서 술을 빚는다.
둘째, 물을 따로 사용하지 않는 대신 묽은 고두밥을 지어 술을 빚는다.
셋째, 지황주는 단맛이 매우 강한 술이다.


<주찬>에는 두 가지 제조법이 등장합니다. 서왕모가 한의 무왕에게 바친 술과 다른 한 가지 제조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술에도 공통점이 있는데요. 바로 생지황의 즙을 이용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총 네 가지의 제조법을 살펴보면 지황을 어떻게 이용해왔는지 알 수 있습니다.

생지황을 찌거나 즙을 내 술을 빚은 것입니다. 네 가지 제조법을 살펴 봤을 때 <동의보감>과 <수운잡방>의 제조법은 단맛이 강해 몸이 매우 좋지 않은 사람들에게 좋은 술이 될 것 같고 <주찬>에 기록된 술은 미리 몸을 보호할 수 있는 술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수운잡방>, <동의보감> : 술을 좋아하지 않거나 병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좋은 술 제조법
<주찬> : 술을 즐기거나 미리 건강을 챙기는 사람에게 좋은 술 제조법




마치면서…

총 네 가지 술의 특징이 달라 자신에게 맞는 제조법을 찾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독한 것 보다 단 맛을 좋아하는 사람은 <수운잡방>, <동의보감>의 제조법을 사용하고 술을 즐기며 건강을 생각하는 사람들은 <주찬>의 제조법을 이용해 술을 빚으면 될 것입니다.



가장 좋은 술이란 자신에게 맞는 술이다. "술독" www.suldoc.com

酒人

2008.07.28 00:41:11
*.66.164.248

윤숙자 교수님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대학교수와 연구소에서 낸 책들이 많은 실책을 범하고 있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책들을 한 번 읽어보면 책을 참 쉽게 쓰는구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틀린 부분이 너무 많아요.

원문과 비교도 하지 않고 다른 사람이 번역해 놓은 것을 자신이 번역한 것처럼 책을 내는 것이 현실입니다. 교수님들이 바쁘셔서 책을 쉽게 쓰는 것 같습니다.



봇뜰

2008.07.28 15:50:59
*.159.250.22

우리의 전통주 알면 알수록 어렵네요.^^

주인님~ 머리가 부서질것 같아요...오늘 또 어려운걸 배웠습니다. 아직도 걸음마 하는 마음 입니다.

앞으로 더 열심히 열공 해야 겠어요...
"전통주" 머리가 복잡해서 힘 듭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43 씨앗술 만들기. [2] 창힐 2012-08-14 5806
242 고구마술 담그기 1(재료준비) file [1] 도사 2008-10-22 5813
241 덧술시기... [2] 바람따라.. 2014-11-05 5824
240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2] mekookbrewer 2021-01-19 5827
239 씨앗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3 5827
238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2) file [2] aladinn 2015-03-03 5837
237 더운 날씨 술빗기 [2] sul4u 2013-07-26 5845
236 현미죽으로 만든 밑술, 천막(^^)이 생겼어요.. file [2] anakii 2013-11-25 5857
235 술 걸르다보면 걸죽한 요구르트같은것일때,쉰맛,쌀맛에 대해서 [1] 창힐 2013-09-09 5860
234 전통주 기초강의 3. 효소와 효모 酒人 2006-03-17 5864
233 삼지구엽주 ? 녹야 2008-08-08 5864
232 술이새콤하네요 file [4] 향온주만들어보고싶다 2009-05-04 5873
231 [re] <b>밑술의 맛은 ?</b> 酒人 2006-11-03 5877
230 씨앗술과 밑술의 차이가 뭘까요 [1] PJC0405 2023-12-04 5881
229 <b>술을 빚는 세 가지 방법</b> [2] 酒人 2008-04-07 5882
228 오양주 밀가루 넣는방법 [2] mekookbrewer 2020-08-18 5884
227 막걸리가 셔요 ㅜ [1] 막걸리조 2010-02-16 5885
226 삼양주 만들고 있는데 질문 드립니다. [1] 썬연료 2023-11-22 5886
225 범벅에 사용하는 쌀가루 습식? 건식? [3] 연필꽂이 2020-09-29 5889
224 술거르는 시기? file [2] 나이스박 2014-04-03 5896
223 밀가루 사용에 관하여 [2] 우정 2007-07-04 5900
222 백국 관련해서 여쭤봅니다. [1] cheeze 2023-10-27 5900
221 밑술 쌀가루에 대해서 [1] 조영철 2008-04-16 5916
220 물의 양에 관한 질문 [1] 북성 2014-01-24 5931
219 주모를 빚는 과정에서 [1] mumu 2013-08-15 5955
218 밥으로 술을 빚을때....물의양은? [4] 아리랑 2012-03-12 5991
217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9-03 5994
216 게시판 성격이랑 맞지 않는 질문일수도 있는데요 [1] 반야 2011-11-21 5997
215 이화곡으로 현미술을 만들때... [2] sul4u 2013-07-16 5997
214 알콜 70% 감홍로주 file [6] 酒人 2006-05-14 5999
213 누룩 메달아놓기 [2] hedge 2011-04-26 5999
212 이 막은 무엇인가요? file [1] 미고자라드 2007-06-14 6000
211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이탁배기 2019-05-30 6013
210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얄리야리 2021-02-09 6020
209 집에서 술을 재조해서 팔면 법에 저촉되나요? [3] 관리자 2006-02-07 6025
208 술을 빚다 보면 이런일도 있지요. file [2] 酒人 2006-03-04 6039
207 단호박술을 담어 보고 싶은데요 [1] 보리알맹이 2011-09-29 6040
206 석탄주 덧술시기와 저어주기관한 질문... [1] 나무그늘 2009-11-12 6041
205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6042
204 밑술 냄새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1] 비니 2010-12-15 604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