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더블엑스님 보세요. ^^

조회 수 4831 추천 수 41 2008.04.15 22:29:23
혹시나 쪽지를 보지못하면 어쩌나 해서 여기에도 글을 올립니다.

더블엑스님 질문......................................................


귀찮게 계속 질문을 드립니다. ㅜㅜ

그냥 글을 읽다가 보니 1차로 걸르고 2차로 걸르고 하셔서
그 걸른 술의 용도를 알고 싶습니다.

1차로 거를때 20일 정도 냉장보관하여 위에 맑은 부분은 증류주를 하기 위해서 하는건가요? 아니면 그렇게 맑은 부분만 마시면 되나요?

처음 거를때 남은 지꺼기를 이용하여 같은 비율의 물로 5일 숙성후 2차로 걸러서 먹는게 막걸리입니까?

아니면 그냥 1차로 거른걸 흔들어서 마시면 막걸리 입니까?
(2차는 그냥 양을 늘리기 위한 보충 술입니까?)



답변..................................................................................


귀찮긴요..^^ 좋습니다.

막걸리는 물을 혼합해서 막 걸렀다 해서 막걸리입니다.
즉, 날짜와 상관 없이 술에 물 타서 걸러 마시면 막걸리가
되는 것입니다.

용수 : 용수를 이용하게 되면 용수 안에 맑은 술이 고이게 됩니다. 이것을 떠 내고 나면 술 보다는 지게미가 많이 남게 되죠. 대부분 이것에 물을 타 막걸리로 마시게 됩니다.

탁주 : 탁주는 말 그대로 술이 맑지 못하고 '탁하다'하여 탁주가 되는 것입니다. 막걸리도 색깔이 흐리니까 탁주가 되겠죠. 즉, 탁주는 흐린 술을 탁주라고 하고, 맑은 술은 청주라고 하죠.

용수를 이용하지 않고 많들어진 술을 짜서 냉장고에 보관하는 이유는 "맑은 술" 청주를 더 많이 얻기 위함입니다. 용수를 박아 떠내는 술 보다 짜서 냉장고에 보관하게 되면 더 많은 양의 청주를 얻을 수 있어요.

그치만 단점도 있죠. 용수를 박을 때는 떠 내고 남은 것에 물을 혼합해서 막걸리로 만들면 맛이 좋지만, 용수를 이용하지 않고 얇은 천에 걸러서 냉장고에 보관하게 되면 청주를 많이 얻는 대신 막걸리를 만들기 어려워 집니다. (꿀 같은 것을 타면 달라지겠지만요.)

용어에 너무 신경쓰지 마시고요.

막걸리는 막 걸러서 마시면 막걸리, 맑지 않은 술은 탁주, 맑은 술은 청주, 용수를 넣어 맑은 술을 떠 내고 남은 지게미에 물을 타서 막걸리를 만들면 맛이 괜찮지만, 처음부터 걸러서 보관하면 막걸리가 맛이 덜한 대신 청주는 많이 얻을 수 있답니다.

무엇을 선택하냐는 개인의 몫이죠. 청주를 많이 얻고자 한다면 용수를 이용하지 마시고요. 막걸리와 청주를 다 얻고자 한다면 용수를 이용하면 됩니다.


더블엑스

2008.04.16 18:07:44
*.248.234.27

항상 ^^* 감사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03 고두밥 문의 드립니다 [3] 대암 2007-02-06 4522
402 안녕하세요. [1] sul4u 2013-08-27 4521
401 밑에쓴 질문이요 반애주가 2013-05-20 4518
400 <b>내부비전국(內腐秘傳麴)에 대해서</b> [3] 酒人 2007-05-09 4502
399 술 거를때 받침대 문의 file [1] 잠자는뮤 2019-04-01 4499
398 시작하기 전에 준비물이요. [2] 술똑다컴 2009-01-28 4498
397 술거를때 용수를 꼭 써야하나요? [1] 곰티 2020-03-11 4487
396 맞있는 술이 너무 진하고 독해요. [1] 신원철 2007-04-10 4482
395 조하주에대해서 질문 [1] 반애주가 2013-09-30 4479
394 발효가 덜된 걸죽한 술을 망으로 걸렀는데... [2] 허허술 2009-12-18 4479
393 [re] 답변입니다. [2] 酒人 2008-10-10 4479
392 쑥술을 빚었습니다...^^ file [3] 봇뜰 2008-05-25 4465
391 <b>내 술은 왜 투명하지 못한가. </b> 酒人 2007-04-08 4454
390 석탄주 발효 문의(3주차) file [1] 막린이 2023-01-08 4452
389 발효통 크기 정하는법 [1] 반애주가 2013-02-04 4452
388 호산춘 도전중 .. [2] 장락 2013-03-10 4451
387 정말 이해 안가는 내용. 1 [2] 민속주 2012-06-24 4441
386 첫 작품 호산춘 때문에 ....... ^^ [1] 장락 2013-04-25 4437
385 채주시기 관련 질문있습니다! 성진2 2022-10-16 4434
384 단호박술 [1] 돌돌이 2008-10-20 4430
383 주경야독? [2] 농부의 아내 2009-03-21 4426
382 술빚기 Q&A. 5페이지 "379. 청주를 거르고 난 후"에서 질문 글.. [2] [3] 민속주 2012-08-31 4425
381 석탄주 빚고 싶네요. [1] 지량 2014-09-08 4419
380 당과 알코올 도수의 차이 [1] 민속주 2012-08-31 4419
379 소주를 만들려고 하는데요~ [3] 두메 2009-01-23 4413
378 술의 신맛잡기2 [1] 우리술이좋아 2010-10-18 4411
377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접속 하였습니다 청주의 보관법에 대해서 여쭤볼려구요 [1] 건강=행복의 밑거름 2014-02-16 4409
376 발효통(플라스틱)내부 습기를 어찌하면 좋을까요? [1] 이미남 2020-02-11 4401
375 덧술 발효 2일차 발효 색깔 문의 file [1] 청청화 2023-01-03 4399
374 식초용 막걸리를 담았읍니다 [1] mumu 2014-07-30 4398
373 전통주 기초강의 10. 전통주란 무엇인가. 酒人 2006-03-31 4395
372 국내산 쌀과 외국산 쌀로 빚은 술의 차이? [1] 아랫마을 2010-03-27 4391
371 청주에 감미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7-27 4389
370 [re] 답변입니다. ^^ [2] 酒人 2008-12-12 4385
369 전통주 여과방식에 질문있습니다!! [5] 술빚는요리사 2020-05-26 4382
368 <b>술 제조해서 팔다 걸리면 어떻게..??</b> [1] 酒人 2006-07-06 4379
367 발효후 위에 고인 물에 대한 문의 [1] 잠자는뮤 2019-04-02 4377
366 현미찹쌀로도 술을 빚을 수있나요? [2] 새로미 2010-01-24 4366
365 침출주를 증류하면... [2] 김기욱 2006-06-16 4362
364 용수를 박으면 튀어 올라오는데요..... [4] 고망고망 2009-08-21 435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