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더블엑스님 보세요. ^^

조회 수 4753 추천 수 41 2008.04.15 22:29:23
혹시나 쪽지를 보지못하면 어쩌나 해서 여기에도 글을 올립니다.

더블엑스님 질문......................................................


귀찮게 계속 질문을 드립니다. ㅜㅜ

그냥 글을 읽다가 보니 1차로 걸르고 2차로 걸르고 하셔서
그 걸른 술의 용도를 알고 싶습니다.

1차로 거를때 20일 정도 냉장보관하여 위에 맑은 부분은 증류주를 하기 위해서 하는건가요? 아니면 그렇게 맑은 부분만 마시면 되나요?

처음 거를때 남은 지꺼기를 이용하여 같은 비율의 물로 5일 숙성후 2차로 걸러서 먹는게 막걸리입니까?

아니면 그냥 1차로 거른걸 흔들어서 마시면 막걸리 입니까?
(2차는 그냥 양을 늘리기 위한 보충 술입니까?)



답변..................................................................................


귀찮긴요..^^ 좋습니다.

막걸리는 물을 혼합해서 막 걸렀다 해서 막걸리입니다.
즉, 날짜와 상관 없이 술에 물 타서 걸러 마시면 막걸리가
되는 것입니다.

용수 : 용수를 이용하게 되면 용수 안에 맑은 술이 고이게 됩니다. 이것을 떠 내고 나면 술 보다는 지게미가 많이 남게 되죠. 대부분 이것에 물을 타 막걸리로 마시게 됩니다.

탁주 : 탁주는 말 그대로 술이 맑지 못하고 '탁하다'하여 탁주가 되는 것입니다. 막걸리도 색깔이 흐리니까 탁주가 되겠죠. 즉, 탁주는 흐린 술을 탁주라고 하고, 맑은 술은 청주라고 하죠.

용수를 이용하지 않고 많들어진 술을 짜서 냉장고에 보관하는 이유는 "맑은 술" 청주를 더 많이 얻기 위함입니다. 용수를 박아 떠내는 술 보다 짜서 냉장고에 보관하게 되면 더 많은 양의 청주를 얻을 수 있어요.

그치만 단점도 있죠. 용수를 박을 때는 떠 내고 남은 것에 물을 혼합해서 막걸리로 만들면 맛이 좋지만, 용수를 이용하지 않고 얇은 천에 걸러서 냉장고에 보관하게 되면 청주를 많이 얻는 대신 막걸리를 만들기 어려워 집니다. (꿀 같은 것을 타면 달라지겠지만요.)

용어에 너무 신경쓰지 마시고요.

막걸리는 막 걸러서 마시면 막걸리, 맑지 않은 술은 탁주, 맑은 술은 청주, 용수를 넣어 맑은 술을 떠 내고 남은 지게미에 물을 타서 막걸리를 만들면 맛이 괜찮지만, 처음부터 걸러서 보관하면 막걸리가 맛이 덜한 대신 청주는 많이 얻을 수 있답니다.

무엇을 선택하냐는 개인의 몫이죠. 청주를 많이 얻고자 한다면 용수를 이용하지 마시고요. 막걸리와 청주를 다 얻고자 한다면 용수를 이용하면 됩니다.


더블엑스

2008.04.16 18:07:44
*.248.234.27

항상 ^^* 감사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42 현미죽으로 만든 밑술, 천막(^^)이 생겼어요.. file [2] anakii 2013-11-25 5655
241 덧술시기... [2] 바람따라.. 2014-11-05 5657
240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원삼규 2006-12-27 5659
239 씨앗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3 5665
238 물의 양에 관한 질문 [1] 북성 2014-01-24 5667
237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2] mekookbrewer 2021-01-19 5667
236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酒人 2008-09-18 5675
235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민속주 2013-05-05 5682
234 오양주 밀가루 넣는방법 [2] mekookbrewer 2020-08-18 5682
233 발효기간? 궁금합니다. [4] 김정옥 2007-05-18 5693
232 밑술의 적정온도와 포도주빚기입니다. [4] 酒人 2006-09-15 5695
231 범벅에 사용하는 쌀가루 습식? 건식? [3] 연필꽂이 2020-09-29 5697
230 술거르는 시기? file [2] 나이스박 2014-04-03 5705
229 밑술과 덧술시 재료에 대하여 [2] 우리술이좋아 2010-01-27 5726
228 단양주 질문있습니다. [1] hctor 2023-10-11 5727
227 씨앗술 만들기. [2] 창힐 2012-08-14 5735
226 주모를 빚는 과정에서 [1] mumu 2013-08-15 5739
225 고구마술 담그기 1(재료준비) file [1] 도사 2008-10-22 5768
224 이화곡으로 현미술을 만들때... [2] sul4u 2013-07-16 5801
223 전통주 기초강의 3. 효소와 효모 酒人 2006-03-17 5807
222 삼지구엽주 ? 녹야 2008-08-08 5808
221 막걸리가 셔요 ㅜ [1] 막걸리조 2010-02-16 5808
220 술이새콤하네요 file [4] 향온주만들어보고싶다 2009-05-04 5820
219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이탁배기 2019-05-30 5820
218 <b>술을 빚는 세 가지 방법</b> [2] 酒人 2008-04-07 5821
217 [re] <b>밑술의 맛은 ?</b> 酒人 2006-11-03 5822
216 생막걸리 장기보관을 위한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1] Jack39 2023-10-21 5835
215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5839
214 밀가루 사용에 관하여 [2] 우정 2007-07-04 5840
213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9-03 5842
212 효모에 대해... [2] sul4u 2013-06-28 5849
211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얄리야리 2021-02-09 5850
210 밑술 쌀가루에 대해서 [1] 조영철 2008-04-16 5868
209 안녕하세요!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 [1] 희진 2023-10-09 5884
208 발효와 온도 [2] 포수 2013-06-24 5907
207 게시판 성격이랑 맞지 않는 질문일수도 있는데요 [1] 반야 2011-11-21 5922
206 안녕하세요 전통주 초보자인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2] 마늘이 2022-05-26 5925
205 누룩 메달아놓기 [2] hedge 2011-04-26 5928
204 밥으로 술을 빚을때....물의양은? [4] 아리랑 2012-03-12 5929
203 술 쉰내 [2] mekookbrewer 2021-06-02 59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