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술을 빚는 세 가지 방법</b>

조회 수 5801 추천 수 70 2008.04.07 23:16:13
술을 빚는 세 가지 방법

길동이추운 겨울이면 술을 빚어 따뜻한 온돌에 술독을 놓고 이불로 감싸 발효를 시킵니다. 혹, 낮은 온도 때문에 당 생성이 잘 되지 않을 것을 염려해 당화가 잘 이뤄지도록 따뜻하게 발효를 시키는 것입니다.

말순이추운 겨울이면 술을 빚어 실온에 놓고 그대로 발효를 시킵니다. 시간이 좀 오래 걸리기는 하지만 술이 다 되었을 때 깔끔하고 단맛이 적어 술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똘똘이추운 겨울이면 술 빚는 횟수를 늘려 미생물의 수를 최대로 끓어 올리는 방법으로 술을 빚습니다. 낮은 온도 때문에 당 생성이 잘 되지 않을 것을 염려해 당화와 알코올 발효가 잘 이뤄질 수 있도록 미생물의 수를 늘려 술을 빚는 것입니다.

이 친구들의 제조법 중에서 여러분은 어떠한 방법으로 술을 빚는지요. 어떤 분은 길동이가 하는 방식 처럼 인위적으로 술독의 온도를 높여 술을 빚고, 어떤 분들은 말순이가 하는 방식으로 술을 빚을 것입니다. 어떤 방식으로 빚던지 자신에게 맞는 제조법을 찾으면 되겠죠.^^

그럼 개인적으로는 어떤 방식을 가장 선호하냐고 물어 주신다면…

바로 똘똘이의 방법입니다. 여러분들은 삼양주라고 하면 단지 술을 세 번에 걸쳐 빚는 술로만 알고 계신데요. 사실은 삼양주라는 술이 그렇게 간단하게 설명되어지는 제조법이 아닙니다. 똘똘이의 제조법을 잘 이해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똘똘이는 좀 더 적극적인 방법으로 술을 빚습니다. 겨울이면 낮은 온도 때문에 혹시나 발효가 잘 안될 것을 염려하여 주모를 두 번에 걸쳐 만들어 미생물의 수를 증가 시킵니다. 즉, 온도를 높여 발효를 돕는 것이 아니라 미생물의 수를 높여 술을 빚는 것입니다. 인위적인 방법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발효를 시키게 되는 것입니다. 똘똘이는 이러한 이치를 잘 알고 있는 것이지요.

한국의 전통 가양주 제조법을 살펴 보면 대부분은 똘똘이가 가진 방법으로 술을 빚습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를 거쳐 밀주시대를 지나 오면서 길동이 제조법이 널리 퍼지게 됩니다. 술을 한 번 더 빚는 번거로움을 없애 버리고 온도를 높여 술을 빨리 빚는 방법이 우리의 제조법으로 자리를 잡게 된 것입니다.

길동이 = 온도가 낮으니 온도를 높여 발효를 돕겠다.
말순이 = 온도가 낮아 시간이 걸리지만 낮은 온도에서 그냥 빚겠다.
똘똘이 = 온도가 낮으니 미생물의 수를 최대한 늘려 발효를 돕겠다.


똘똘이는 봄과 가을이 되면 추운 겨울 세 번에 걸쳐 빚던 술을 두 번(밑술, 덧술)에 걸쳐 술을 빚습니다. 또한, 여름이 되면 한 번에 술을 빚습니다. 즉, 각 계절의 실내 온도에 따라 술 빚는 횟수를 조절해 가면서 술을 빚는 것입니다. 이렇듯 한국의 전통 가양주 제조법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인위적으로 술독의 온도를 관리하기 보다는 술 빚는 횟수를 조절해(미생물의 수) 술을 빚었던 것입니다.

대부분의 삼양주들이 겨울에 빚어졌다는 사실과 대부분의 이양주들이 봄과 가을과 같은 따뜻한 계절에 빚어졌다는 사실, 대부분의 단양주들이 여름과 같이 날씨가 더울 때 빚어졌다는 사실, 한국의 전통 가양주 제조법입니다.

이제는 술을 빨리 빚기 위해 단양주를 빚는다거나, 좋은 술을 빚기 위해 삼양주를 빚는다거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양주)으로 술을 빚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모든 것은 자연의 순리대로 최대한 자연과 더불어 술을 빚는 것이 한국의 전통 가양주 제조법이라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길 바랍니다.

이불이나 전기 장판 같은 것, 이제는 이런 거 사용하지 마시고요. 좀 더 자연스럽고 자연과 닮아 가는 한국의 전통 가양주 제조법으로 술을 빚어 보시지요.

참고 : 최대한 따뜻하게 술을 빚는 방법이 한국의 전통 가양주 제조법에 없는 것이 아닙니다. 많은 문헌에 이불이나 온돌에서 따뜻하게 술을 빚으라는 내용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 수가 너무 적습니다. 전체 술 제조법의 5% 정도를 차지하고 있을 뿐입니다.



진실을 말한다는 것, 욕먹는 길입니다. ^^ www.suldoc.com

최 원

2008.04.08 02:15:16
*.208.254.19

good!!!! 16일 이사 합니다. 그때부터 신나게 술 빚어봅시다 ㅋㅋㅋㅋㅋㅋㅋ

酒人

2008.04.08 08:17:36
*.212.132.34

이사할때 불러주세요. 짬뽕 먹으러 가겠습니다. ㅋㅋ
그런데 16일이 수요일이네요. 주말에 하시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01 전통주 [1] yk 2014-07-25 3670
200 주인님, 아래 제 글 "청주 보관에 대한 문의" 에 대한 답변 좀... 해난 2010-06-08 3668
199 법적으로 이렇게 만든 술도 탁주일까요? [1] 오씨 2018-11-30 3664
198 쌀과 누룩 질문 [1] 식초나라 2013-03-06 3663
197 누룩 띄우기 Jtracey 2020-07-24 3662
196 여러가지 의문 점 [2] 민속주 2012-10-31 3659
195 바닥 찌꺼기를 [1] 박창수 2007-01-16 3659
194 [re] 답변입니다. [1] 酒人 2010-10-17 3658
193 초일주 문의 [1] 대암 2007-02-01 3658
192 주인님이 가르쳐준 방법 중 의문사항 질의 ㅎㅎ~ [4] 두메 2007-02-23 3657
191 멥쌀 삼양주 채주 시기 file [2] 술빚기가좋아 2024-03-27 3656
190 오늘 술빚기에 들어갑니다. 비설 2008-12-12 3656
189 삼양주 제조 및 채주 관련으로 질문드립니다. [1] 꿈길 2024-02-28 3654
188 이양주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2-10-29 3654
187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5-05-19 3648
186 청주 빨리 생기게 하는 방법? [2] 오렌지컴 2016-06-24 3647
185 오랜만에 복분자 주를 만들려고 하는데 비율을 잘 모르겠습니다 ㅎ [2] 술도하가 2012-09-13 3644
184 1. 2차 덧술할때 누룩과 항아리 [1] 두영 2010-05-14 3643
183 석탄주에대한질문입니다 [1] 0심이 2010-09-30 3637
182 긴급 질문입니다. [3] 보리콩 2010-09-04 3632
181 청주만들기2 [2] 우리술이좋아 2010-01-22 3628
180 술빚기 Q&A 20페이지. 120번 빚은 청주에서 탄산가스가 생기면? 의문점 [2] 민속주 2012-10-22 3624
179 떡으로 막걸리 빚을 수 있나요? [1] 백프로찹쌀 2016-05-01 3620
178 <b>여름에는 술을 어떻게 빚나요.??</b> 酒人 2006-07-10 3618
177 탁주 만드는데 궁굼한게있어요. [1] 보해미안 2009-11-06 3616
176 전통주에 쓰이는 재료비율에 대해서 질문좀요 [2] 바나나우유 2010-08-10 3615
175 술이 너무 빨리 끓은것 같습니다 [1] 문석호 2010-03-25 3614
174 안녕하세요 술을 빚어보려 합니다. [4] 루덴스 2019-05-01 3610
173 가입인사 드립니다. [1] jun 2015-01-31 3610
172 고두밥과 밀가루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이미남 2019-12-08 3608
171 [re] <b>가향하는 방법에 대하여...,</b> 酒人 2006-12-15 3597
170 <b>증류주 만들때 꼭 알아야 할 것</b> 酒人 2006-06-08 3591
169 호산춘레서피 질문이 있어요 [2] 버지니아 2020-01-26 3584
168 아랫 술... file [1] 고망고망 2009-09-02 3584
167 삼양주 씨앗술 사용양 [4] mekookbrewer 2020-07-30 3582
166 달콤한 술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1] 酒人 2006-06-01 3579
165 안녕하세요! 문의드립니다! ^^ [1] 살몬 2012-04-11 3577
164 술에 넣을 물로... [2] 아침이슬 2007-02-20 3563
163 <b>술을 언제 걸러야 하나요.? </b> 酒人 2006-12-12 3563
162 삼양주를 도전해 보는중.... 창힐 2012-06-24 355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