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술을 빚는 세 가지 방법</b>

조회 수 5808 추천 수 70 2008.04.07 23:16:13
술을 빚는 세 가지 방법

길동이추운 겨울이면 술을 빚어 따뜻한 온돌에 술독을 놓고 이불로 감싸 발효를 시킵니다. 혹, 낮은 온도 때문에 당 생성이 잘 되지 않을 것을 염려해 당화가 잘 이뤄지도록 따뜻하게 발효를 시키는 것입니다.

말순이추운 겨울이면 술을 빚어 실온에 놓고 그대로 발효를 시킵니다. 시간이 좀 오래 걸리기는 하지만 술이 다 되었을 때 깔끔하고 단맛이 적어 술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똘똘이추운 겨울이면 술 빚는 횟수를 늘려 미생물의 수를 최대로 끓어 올리는 방법으로 술을 빚습니다. 낮은 온도 때문에 당 생성이 잘 되지 않을 것을 염려해 당화와 알코올 발효가 잘 이뤄질 수 있도록 미생물의 수를 늘려 술을 빚는 것입니다.

이 친구들의 제조법 중에서 여러분은 어떠한 방법으로 술을 빚는지요. 어떤 분은 길동이가 하는 방식 처럼 인위적으로 술독의 온도를 높여 술을 빚고, 어떤 분들은 말순이가 하는 방식으로 술을 빚을 것입니다. 어떤 방식으로 빚던지 자신에게 맞는 제조법을 찾으면 되겠죠.^^

그럼 개인적으로는 어떤 방식을 가장 선호하냐고 물어 주신다면…

바로 똘똘이의 방법입니다. 여러분들은 삼양주라고 하면 단지 술을 세 번에 걸쳐 빚는 술로만 알고 계신데요. 사실은 삼양주라는 술이 그렇게 간단하게 설명되어지는 제조법이 아닙니다. 똘똘이의 제조법을 잘 이해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똘똘이는 좀 더 적극적인 방법으로 술을 빚습니다. 겨울이면 낮은 온도 때문에 혹시나 발효가 잘 안될 것을 염려하여 주모를 두 번에 걸쳐 만들어 미생물의 수를 증가 시킵니다. 즉, 온도를 높여 발효를 돕는 것이 아니라 미생물의 수를 높여 술을 빚는 것입니다. 인위적인 방법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발효를 시키게 되는 것입니다. 똘똘이는 이러한 이치를 잘 알고 있는 것이지요.

한국의 전통 가양주 제조법을 살펴 보면 대부분은 똘똘이가 가진 방법으로 술을 빚습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를 거쳐 밀주시대를 지나 오면서 길동이 제조법이 널리 퍼지게 됩니다. 술을 한 번 더 빚는 번거로움을 없애 버리고 온도를 높여 술을 빨리 빚는 방법이 우리의 제조법으로 자리를 잡게 된 것입니다.

길동이 = 온도가 낮으니 온도를 높여 발효를 돕겠다.
말순이 = 온도가 낮아 시간이 걸리지만 낮은 온도에서 그냥 빚겠다.
똘똘이 = 온도가 낮으니 미생물의 수를 최대한 늘려 발효를 돕겠다.


똘똘이는 봄과 가을이 되면 추운 겨울 세 번에 걸쳐 빚던 술을 두 번(밑술, 덧술)에 걸쳐 술을 빚습니다. 또한, 여름이 되면 한 번에 술을 빚습니다. 즉, 각 계절의 실내 온도에 따라 술 빚는 횟수를 조절해 가면서 술을 빚는 것입니다. 이렇듯 한국의 전통 가양주 제조법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인위적으로 술독의 온도를 관리하기 보다는 술 빚는 횟수를 조절해(미생물의 수) 술을 빚었던 것입니다.

대부분의 삼양주들이 겨울에 빚어졌다는 사실과 대부분의 이양주들이 봄과 가을과 같은 따뜻한 계절에 빚어졌다는 사실, 대부분의 단양주들이 여름과 같이 날씨가 더울 때 빚어졌다는 사실, 한국의 전통 가양주 제조법입니다.

이제는 술을 빨리 빚기 위해 단양주를 빚는다거나, 좋은 술을 빚기 위해 삼양주를 빚는다거나,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양주)으로 술을 빚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모든 것은 자연의 순리대로 최대한 자연과 더불어 술을 빚는 것이 한국의 전통 가양주 제조법이라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길 바랍니다.

이불이나 전기 장판 같은 것, 이제는 이런 거 사용하지 마시고요. 좀 더 자연스럽고 자연과 닮아 가는 한국의 전통 가양주 제조법으로 술을 빚어 보시지요.

참고 : 최대한 따뜻하게 술을 빚는 방법이 한국의 전통 가양주 제조법에 없는 것이 아닙니다. 많은 문헌에 이불이나 온돌에서 따뜻하게 술을 빚으라는 내용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 수가 너무 적습니다. 전체 술 제조법의 5% 정도를 차지하고 있을 뿐입니다.



진실을 말한다는 것, 욕먹는 길입니다. ^^ www.suldoc.com

최 원

2008.04.08 02:15:16
*.208.254.19

good!!!! 16일 이사 합니다. 그때부터 신나게 술 빚어봅시다 ㅋㅋㅋㅋㅋㅋㅋ

酒人

2008.04.08 08:17:36
*.212.132.34

이사할때 불러주세요. 짬뽕 먹으러 가겠습니다. ㅋㅋ
그런데 16일이 수요일이네요. 주말에 하시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81 서태를 포함한 7곡으로 범벅하여 밑술하였는데.. 솔버덩 2010-04-10 3341
880 발효중 끓어오를때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7-12 3348
879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원삼규 2006-12-21 3350
878 삼백주가 궁금합니다. [3] 허허술 2009-12-22 3354
877 문의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3-21 3360
876 문의드립니다. [1] 나무그늘 2009-10-22 3361
875 질문) 초일주 만들고 있는데요^^ [3] 두메 2007-02-13 3363
874 술이 뻑뻑해요ㅠ.ㅠ [2] 술을 빚어보자 2018-07-20 3365
873 감주에 대한 질문이요~ [1] 도리버섯 2016-05-26 3365
872 인녕하세요. [1] sul4u 2014-05-08 3366
871 오디주를 빚어보고 싶어요 [1] 선02 2017-09-18 3367
870 酒人님께 여쭙니다. [1] 갈매기 2010-01-04 3370
869 또 질문합니다. [2] 고망고망 2009-08-18 3372
868 쌀가루를 낼때도 침미과정은 필수인지요 [1] KoreanBrewers 2019-04-03 3372
867 올 추석에는 [1] 애주가 2008-07-30 3375
866 주인님이 못봐서 지나간 질문. 3 [2] 민속주 2012-06-24 3384
865 [re] 답변입니다. [1] 酒人 2006-10-31 3391
864 문의 드립니다 [1] 녹야 2009-10-14 3391
863 술은 담았는디 [1] 애주가 2007-05-08 3392
862 막걸리를 만들고싶어요 [1] 새벽바람 2010-02-14 3392
861 항아리 내부가 너무 조용합니다 [1] 해난 2010-05-13 3402
860 안녕하세요. [2] sul4u 2014-04-02 3404
859 밑에 자료요청한사람입니다 [2] [1] 엄대장 2012-12-26 3405
858 진상주 문의 드립니다. [4] 술향 2010-01-27 3407
857 끓인물과 그렇치 않은 물의 차이가 있나요? [1] 잠자는뮤 2019-04-08 3409
856 고맙습니다 [1] yk 2014-02-06 3414
855 전통주의 기본적인 맛? 궁금합니다. 김정옥 2006-08-02 3416
854 소주를 어떻게 내리는지 ??(박수덕님) 酒人 2006-08-17 3416
853 날씨가 갑자기 더워져서 걱정입니다. [1] 랄랄 2012-05-02 3418
852 이양주 질문입니다. [1] 시골술쟁이 2018-06-26 3419
851 하수오주? 강신규 2006-12-21 3422
850 [re] 걱정했는데... 마중물 2008-12-17 3422
849 석탄주 빚을때... [2] 보리콩 2010-08-25 3429
848 호산춘 처방 [1] yk 2014-04-03 3430
847 불패주 주방문 수정가능할까요...ㅠ [2] 케팔로스 2018-10-12 3432
846 발효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이해력이 부족해서... [3] 김군 2009-12-19 3439
845 한 여름에 진상주를 - - - [2] 광이 2010-07-28 3441
844 이야기 마당 - 사진게시판 [2] 민속주 2012-06-20 3441
843 막걸리 이양주 진행상황 검토부탁 드립니다. [1] Emiju 2020-05-24 3443
842 술에 과일껍질을 넣고 싶으면 언제 넣어야 하나요? [1] 청주조아 2024-04-23 344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