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쓴술맛을 부드럽게 하는 방법을?

조회 수 8981 추천 수 52 2008.04.04 21:59:06
주인님 안녕하십니까?
오랫만에 글을씁니다.
자주는 들러도 글은쓰지 않고 둘러만 보곤 하였지요. 모임이나 행사에는
참석하고 싶은데 한번도 참석을 못하고 마는군요.

오늘은 물음이 있답니다.
작년 겨울 술을빚어 지금은 거의 100일이 다 되어가는데요.
술을 먹어보니 쓴맛이 강해서요. 마시고나면 얼굴이 찡그려지네요.
별다른 잡맛은 없구 깔끔한데 쓴맛이 좀 덜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들어
좋은  방법이 없나 하고 조언을 듣고자 합니다.
참고로
누룩은 원료미의 20%정도 넣었던것 같구요. 용수는120%쯤였던 같습니다.
실내온도는 밑술과 1차덧술에서는 20도정도였으나(최고품온28) 2차덧술2일뒤부터는 실내가 18도이하에서 계속내려갔답니다. 1,2월은 10도정도 실내였습니다. 술독은 이불로 세겹정도 싸 놓았지요.
술은 두견주, 연잎주, 소곡주, 로 빚엇는데 그래도 두견주는 그중 쓴맛이 덜하고
그다음 소곡주, 연잎주 순으로 쓴맛이 강합니다.
술의 쓴맛이 강한 원인은 왜일까요?
제생각은 너무 품온이낮아 당화가 덜돼서 그러는가 생각이 들기도하는데
제 지식으론 한계가 있어서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지금이라도 부드러운맛으로 고칠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좋은조언 부탁드립니다.

김정옥

2008.04.04 22:14:56
*.136.43.68

저는 채주하여 찹쌀고두밥을 지어 엿기름과 버무려 넣어줄까, 아님 식혜(농도를 짖게)를 해서 넣어줄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현재 알콜농도를 잴수없어 모르나 알콜돗수도 이상 높은것 같습니다.15%이상은 되지 않을까 짐작합니다.

최 원

2008.04.05 01:34:01
*.208.254.19

저는 주인께서 따로 설명을 하시겠지만, 저도 .....

청주에서 쓴 맛이 나는 경우

1, 멥쌀로 술 빚을 때
2, 쓴 맛나는 약재가 과다하게 들어갔을 때
3, 찹쌀술 이라 하더라도 쌀의 양에 비해 물의 양이 많을 때
4, 누룩이 과도하게 들어갔을 때

반대로 술이 단 맛이 강할 때는 위와 반대입니다.
항상 그런것은 아니겠지만,

누룩이 많이 들어가면, 술은 잘 될지라도, 냄새가 많이 나거나 술맛이 써질수가 있겠습니다.

보통 그런 경우에 고두밥을 쪄서 술에 섞어 한 번 더 발효시키면 좀 달아지는 수가 있겠고요, 확실한 것은 아니지만 예전 저의 경우 신맛이 강해서 쓰다고 느낀 적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잡맛이 없다는 것을 보니 신것은 아니네요.

아시겠지만,
쓴 술이 안주와 먹기에는 더 좋은 경우가 있습니다.

예전에 제가 여러 주당들을 모아놓고 쓴 술과 단술을 내놓은 적이 있었습니다. 물론 여러종의 안주와 함께요.
처음에는 다들 단술을 마셨지만 마지막까지 다 마신 술은 쓴 맛의 술이었습니다.

개인적 의견이었습니다.

酒人

2008.04.07 23:29:22
*.46.14.63

최원선생님께서 잘 말씀해 주셔서 저는 몇 글자만 적겠습니다. ^^

1. 품온이 낮은 것과 당화와는 다르게 봐야 합니다. 품온이 낮다고 해서 당화가 잘 안되는 것은 아닙니다. 날씨가 추워 품온이 낮을 것을 염려 하셨다면 미생물의 수를 더 늘려 술을 빚으면 되기 때문입니다.

2. 잡맛이 없고 깔끔한데 쓴맛이 걱정이시라고 하셨는데요. 여기에 식혜를 넣게 되면 쓴맛은 사라질 지 모르지만 잡맛과 깔끔한 맛은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그러니 맛을 봐 가면서 적당히 넣으시길 바랍니다.

3. 식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술독에 용수를 박지 마시고 술을 짜서 냉장고에 보관하시기 바랍니다. 술의 당도가 어느 정도까지는 상승하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쓴맛이 상당부분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주정계 사용법???

  • 두메
  • 2007-03-07
  • 조회 수 5424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 비설
  • 2008-12-05
  • 조회 수 5424

덧술시기... [2]

씨앗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오양주 밀가루 넣는방법 [2]

제맘대로 단양주? [2]

범벅에 사용하는 쌀가루 습식? 건식? [3]

이화곡으로 현미술을 만들때... [2]

  • sul4u
  • 2013-07-16
  • 조회 수 5447

쑥술만들기 [1]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2]

술거르는 시기? file [2]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 酒人
  • 2006-03-17
  • 조회 수 5469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 두메
  • 2007-02-15
  • 조회 수 5472

향온주 빚을때... file [2]

효모에 대해... [2]

  • sul4u
  • 2013-06-28
  • 조회 수 5501

술독의 진정성...밥으로 만드는 술은? [4]

1되의 정의~ [3]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발효와 온도 [2]

  • 포수
  • 2013-06-24
  • 조회 수 5588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씨앗술 만들기. [2]

  • 창힐
  • 2012-08-14
  • 조회 수 5622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 酒人
  • 2008-09-18
  • 조회 수 5623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발효기간? 궁금합니다. [4]

밑술의 적정온도와 포도주빚기입니다. [4]

  • 酒人
  • 2006-09-15
  • 조회 수 5661

안녕하세요 전통주 초보자인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2]

밑술과 덧술시 재료에 대하여 [2]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 file [3]

  • aladinn
  • 2015-02-26
  • 조회 수 5684

탁주를 만드는 중 여러가지 궁금한점이 생겨서 여쭤봅니다. [1]

  • 희진
  • 2023-03-21
  • 조회 수 5688

전통주 기초강의 3. 효소와 효모

  • 酒人
  • 2006-03-17
  • 조회 수 5718

삼양주 고두밥 덧술 후 22일 째 강한 알콜향 [1]

고구마술 담그기 1(재료준비) file [1]

  • 도사
  • 2008-10-22
  • 조회 수 5726

술 쉰내 [2]

막걸리가 셔요 ㅜ [1]

술이새콤하네요 file [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