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쉰맛 실패....이제 어떻게 해야하나요?

조회 수 6323 추천 수 82 2008.02.24 20:25:48
월요일에 술을 거르려고 보니... 시큼한 맛이 나서 주인님께 전화드렸던 사람입니다.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술을 짠뒤 냉장고에 보관했는데...

오늘 상태를 보려고 꺼내 봤더니...

거품이 뜨고 쉰맛이 더 강해 졌습니다.

워낙 아까워서 이걸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버려야 하는지..

아니면.. 시큼하더라도 마실지..

부디 조언해 주십시오.

酒人

2008.02.24 23:43:02
*.47.184.19

거른 술에 거품이 떴다는 것은 좀 문제가 있네요.
술을 거르기 전에는 거품이 생기지 않았는데
술을 거르고 나서 일정 시간 보관 후 거품이 생겼다는
것은 오염이 됐다는 것입니다.

첫째는 술을 거를 때 사용했던 것.(뭔지는 모르겠네요.)
그리고 술을 거를 때 사용했던 술 받는 용기
마지막으로 술을 담아 놓은 용기

이런 것들이 잘 소독이 되지 않았을 경우 이러한 현상이
나타납니다. 모두 끓는 물에 살균 후 사용했어야 하고요.
살균을 잘 했는데요. 그렇다면 다음의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겠네요.

1. 쉰맛과 신맛은 다릅니다. 신맛은 산미고, 쉰맛은 술이 부패하여 생긴것으로 잡균으로 부터 오염이 됐을 경우입니다.

2. 거품이 발생했다면 쉰맛이 맞고요. 증류를 하면 좋고, 그렇지 못하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3. 술의 결과를 해결하기 보다는 술을 빚기 전에 충분히 생각한 후에(스케치를 잘 하고) 술을 빚어야 아까운 쌀을 낭비하지 않습니다.

4. 문제가 있고 난 후에 연락을 주시면 손쓸 방법이 없지만, 술을 빚기 전에 연락을 주시면 사전에 어느정도는 도움이 될 것입니다.

5. 너무 조급해하지 마세요. 좋은 술을 얻기 위해서는 기다리는 마음이 있어야 합니다. 술이 어떻게 되어 가는가 자꾸 열어보고 뭐하고 하면, 그때 술 맛이 가버립니다.

6. 물이 적게 들어가는 술은 처음에는 신맛이 있다가 오랜 시간이 지나면 단맛이 강해집니다. 기다리지 못하면 신맛에 술을 맛 보고, 기다리는 사람은 단맛에 술 맛을 보게 됩니다.

7. 쉰 맛이 나는 술의 맛을 고치기 위해 더 많은 쌀을 투입하기 보다는 이번 것을 참고하여 다시 빚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저는 1년 넘게 실패만 했었습니다. 그러니 너무 실망하지 마시고요. 술을 이해하려 노력하시면 분명 좋은 술 얻을 수 있을거에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843 초보 질문입니다. [1] 김경희 2007-01-15 4118
842 바닥 찌꺼기를 [1] 박창수 2007-01-16 3825
841 삼양주를 할려하는데 [1] 배병임 2007-01-18 3920
840 <b>겨울 술빚기의 기본</b> 酒人 2007-01-23 3457
839 여과를할려면,, [1] 이승욱 2007-01-24 3182
838 덧술에서 고두밥 양이 모자라 더 추가하려 하면? [1] 원삼규 2007-01-27 3591
837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27 3991
836 술독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1-28 3071
835 싸레기 쌀 문의 [1] 대암 2007-01-30 4964
834 <b>호산춘 2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31 4096
833 초일주 문의 [1] 대암 2007-02-01 3828
832 밑술 문의 드립니다? [2] 대암 2007-02-04 4180
831 고두밥 문의 드립니다 [3] 대암 2007-02-06 4616
830 지식쌓기 - 호산춘(壺山春)에 대하여... 酒人 2007-02-07 9580
829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633
828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723
827 <b> 홉, 되, 말에 대하여...</b> file 酒人 2007-02-09 12504
826 <b>상식 쌓기 - 술독과 술덧이 벌어지는 이유</b> file 酒人 2007-02-10 3875
825 초일주 걸러도 될까요? file [1] 대암 2007-02-13 3854
824 질문) 초일주 만들고 있는데요^^ [3] 두메 2007-02-13 3527
823 용수 박았습니다 file [1] 대암 2007-02-13 5008
822 1차 덧술을 하고 나서~ [3] 두메 2007-02-14 3688
821 <b>호산춘 드디어 술이 고이다. </b> file [3] 酒人 2007-02-15 4173
820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707
819 누룩에 대해 질문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0 3653
818 술에 넣을 물로... [2] 아침이슬 2007-02-20 3669
817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1 3976
816 <b>기본기 키우기 - 술의 양 계산하는 방법</b> 酒人 2007-02-22 5249
815 저도 덧술을 하고 싶은데... [2] 아침이슬 2007-02-23 3620
814 주인님이 가르쳐준 방법 중 의문사항 질의 ㅎㅎ~ [4] 두메 2007-02-23 3808
813 밀가루 첨가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2-28 3689
812 <b>밀가루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b> [2] 酒人 2007-02-28 6863
811 초일주에 대하여 [1] 대암 2007-03-01 3719
810 <b>생각하기 - 술이 끓어 넘치는 이유는...</b> 酒人 2007-03-05 5381
809 밑술의 오염에 대한 대책은? file [2] 아침에술한잔 2007-03-07 5074
808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648
807 주정계 사용법입니다. [2] 酒人 2007-03-07 19217
806 <b>범벅이 물처럼 되는 이유는..</b> [2] 酒人 2007-03-14 4996
805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酒人 2007-03-15 3971
804 <b>만화 - 삼순이 소주에 빠지다. </b> [2] 酒人 2007-03-17 406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