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덧술하기에 관하여....

조회 수 5100 추천 수 97 2008.02.13 19:12:10
처음 술을 담으려고 '초보자 무조건따라하기'를 자세히 읽고 또 읽었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어 여쭤보려고 합니다
술덧을 항아리에 담아서 36시간 보관한뒤 덧술을 하라고 씌여 있는데
덧술이라 함은 어떤 것인지, 또한 얼마만큼의 양을 써야 하는지가 궁금합니다
좀 알려 주세요

공주

2008.02.13 21:02:28
*.140.189.18

주인님
올려놓으신 자료중에서 '처음 술을 빚는 사람들을 위한 초일주'
에서 덧술에 관해 읽었습니다
성급하게 질문을 올렸던 것 같아 부끄러웠습니다
글들을 읽다 보니 덧술을 밑술과 같이 범벅으로 만든 경우와 고두밥을 쪄서 넣는 경우가 있던데 고두밥을 넣을땐 추가 물을 넣어야
하는지 아님 고두밥만 넣는 것인지 좀 알려 주시면 안될까요
부탁드립니다

酒人

2008.02.13 22:10:13
*.109.89.203

공주님
괜찮습니다. ^^

1. 술을 빚는데 규칙이란 없습니다. 단지, 어떻게 빚으면 술이 맛있을까만 생각하면 됩니다.

2. 밑술의 주목적은 = 효모 등 미생물의 증식
3. 덧술의 주목적은 = 많은 양의 전분(쌀 등의 곡물)을 투입하여 당을 생성하고, 이러한 당을 밑술에서 증식된 미생물들이 알코올 도수를 높이는 것입니다.

4. 따라서 덧술에는 이 많이 들어가는 범벅이나 죽 보다는 물이 적게 들어가면서 당을 많이 생성할 수 있는 고두밥의 형태가 좋겠죠.^^

덧술에 물이 들어가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하면 좋습니다.

1. 끓고 있는 물을 고두밥에 부어 고두밥과 함께 식힌다.
2. 차게 식으면 밑술(주모)와 혼합한다.
-> 이렇게 되면 쌀이 빨리 삭아 당 생성을 높이고 이것은 알코올 생성도 잘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요약하면....

1. 고두밥만 넣는 경우도, 꼭 물을 넣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2. 물이 많이 들어가면 그만큼 당도와 알코올 도수가 낮아진다.
3. 덧술에 물을 넣을 경우는 끓는 물을 고두밥에 직접 혼합하여 함께 식힌 후에 사용하면 좋다.
4. 주모의 주목적은 누룩에 있는 소량의 미생물을 대량으로 만드는데 있다.
5. 덧술의 주목적은 밑술에서 증식된 미생물을 이용, 많은 양의 고두밥(전분->당->알코올)으로 당과 알코올을 만드는 것이다.
6. 좀 단맛이 많이 나는 술을 만들고자 한다면 물을 적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 번 빚고나서 자신의 입맛에 맞게 물의 양을 조절하여 다음에 빚을 때 조절하면 됩니다.)

물을 많이 넣게 되면 어떤 변화가...

1. 10리터의 용기에 1리터의 설탕을 투입하는 것과 20리터의 용기에 1리터의 설탕을 투입한 것 중에서 어떤 것이 단맛이 강할까.

2. 10리터의 용기에 1리터의 알코올을 투입하는 것과 20리터의 용기에 1리터의 알코올을 투입한 것 중에서 어떤 것이 알코올 도수가 높을까.

3. 알코올 도수가 낮게 되면(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으면) 잡균에 의해 술이 변질 될 수 있다. 알코올 도수가 낮기 때문에 술 자체를 보호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강 이렇습니다. ^^ 전통주교실에 보면 술빚기 Q&A가 있습니다. 그곳에 기본적인 양조이론이 있으니 참고하시고요.
효모와 효소, 그리고 물의 양과의 관계만 이해하시면 재미난 술빚기를 할 수 있을거에요.

공주님 ~

공주

2008.02.13 22:27:19
*.140.189.18

감사합니다
언제쯤이면 주인님을 뵐수 있을지..
그땐 담은 술을 가지고 갈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습니다
그리구요 오래전부터 해마다 담는 복분자주가 있는데요
맛을 본 사람들로부터 칭찬을 자주 들었거든요
자랑할 기회가 빨리 오기를 기대해봅니다
거듭 감사합니다

酒人

2008.02.14 23:29:28
*.46.14.65

저도 먹어보고싶네요.
빨리 뵐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761 막걸리의 냄새가 이상해요 찐찐 2018-12-09 4067
760 술을 빚을때 과일을 첨가했을경우 [1] 동백나무 2018-12-09 2919
759 약주 거름의 법적 기준.. [1] 오씨 2018-12-01 3628
758 법적으로 이렇게 만든 술도 탁주일까요? [1] 오씨 2018-11-30 3290
757 당화 효소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1] 교반기 2018-11-19 4711
756 발효 온도 [1] 상자 2018-11-18 3932
755 막걸리의 걸쮹함 [2] ilovetapuy 2018-11-06 4316
754 누룩의 발효력 확인 [1] 시골술쟁이 2018-10-29 2765
753 고두밥 나눠 넣기의 시기 [1] 케팔로스 2018-10-26 3210
752 덧술 후 과정... [1] 케팔로스 2018-10-22 4188
751 이양주 질문입니다. 도와주세요.. [2] 케팔로스 2018-10-17 4574
750 막걸리에 탄산이 없어요 [2] 오씨 2018-10-14 7219
749 불패주 주방문 수정가능할까요...ㅠ [2] 케팔로스 2018-10-12 3045
748 밑술,덧술 둘다 찹쌀써도 되나요?? [2] 찰리와막걸리공장 2018-10-04 4097
747 전통주 빚을 때 알코올 도수 공식 좀 알려주세요. [1] 연이김 2018-09-30 3315
746 단양주와 이양주 보관에 대하여.... (병과 플라스틱통) [2] 서련 2018-09-29 5012
745 밑술을 고두밥으로 했습니다. [1] 두더지 2018-09-28 3671
744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 [1] 케팔로스 2018-09-18 4873
743 단양주 신맛 [1] 시골술쟁이 2018-09-15 4914
742 술이 뻑뻑해요ㅠ.ㅠ [2] 술을 빚어보자 2018-07-20 2989
741 발효에 관한 질문입니다! [2] 술을 빚어보자 2018-07-03 2963
740 술이 너무 달아요! [3] cocomumu 2018-06-26 5088
739 이양주 질문입니다. [1] 시골술쟁이 2018-06-26 3046
738 이양주가 익는중 문제가 생겨 문의 드립니다! file [5] 이규민 2018-06-05 5739
737 삼양주 술 거르는 시기? file [2] cocomumu 2018-05-30 5984
736 급합니다. 우리아이좀 살려주세요. file [1] 치어스 2018-04-30 3426
735 보쌈이 무엇인가요 [1] 무등산 2018-04-12 3620
734 알코올 향이 튀는 이유와 해결법이 어떻게 되나요? [1] Heron 2018-03-01 2715
733 증류주 보관법에 관해서 알고 싶습니다. [3] 키 작은 사랑 2018-03-01 4376
732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5349
731 소규모주류제조 면허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 글 올립니다. [1] Heron 2017-12-17 4404
730 누룩 대신 생막걸리를 써도 될까요? [1] anakii 2017-12-07 4485
729 반갑습니다 비퀸 2017-11-24 2903
728 오디주를 빚어보고 싶어요 [1] 선02 2017-09-18 2968
727 질문 드립니다. [1] 팬더팬 2017-09-07 2369
726 담금주에 대해 여쭤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5 3821
725 친절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몇가지 더 여쭤 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5 2664
724 안녕하세요. 벌꿀주 미드를 만들어 보려 합니다! 궁금한 것 들 여쭤봐도 될까요? [1] 봉슈 2017-08-03 4259
723 신도주 질문입니다 file [1] 시골술쟁이 2017-06-08 2814
722 막걸리 병입후에 4-5일후에 생기는 현상 궁금합니다. file [1] 아이다호 2017-04-23 399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