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누룩만들기 제 6장 &#8211; ‘손님(곰팡이) 불러 오기’ </b>

조회 수 6115 추천 수 133 2007.11.10 01:18:44
제 6장 – ‘손님(곰팡이) 불러 오기’를 기대해 주세요.


우리에게 필요한 곰팡이는 전분을 당으로 잘 분해 시킬 수 있는 미생물이어야 합니다. 그래야 효모가 당을 먹고 알코올을 만들어 내기 때문이죠.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수 많은 미생물 들이 식물의 잎이나 공기 중에 떠돌아 다니고 있습니다. 이렇게 떠돌아 다니는 곰팡이를 곰팡이가 좋아하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 불러 들이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 밀이나 쌀, 보리 등을 이용해 누룩(음식)을 만들어 유인하고, 집에 들어온 미생물들이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오랫동안 애(증식)도 낳고 해서 많은 양의 미생물을 모으게 되는 것입니다.

누룩을 만들기 위해 적당한 온도는 25~30도 정도, 습도는 70% 정도가 좋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을 갖췄다 해서 누룩이 잘 되는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현재의 온도와 습도를 알고 이에 맞춰 ‘누룩 집’을 잘 관리하는 것입니다.

술을 빚거나 누룩을 만들어 발효를 시키게 되면 어느 정도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그 이유는 미생물들이 증식을 하면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즉, 미생물들의 수가 많아지면서 자연히 움직임과 호흡이 많아져 주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온도가 상승해 주변의 온도보다 ‘누룩 집’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미생물들이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이 잘 갖춰지게 되어 ‘누룩 집’안으로 미생물들이 들어가 살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살며 애도 낳고 또 낳고 해서 가족들의 수가 많아지면 수분도 그 만큼 빨리 달아나게 됩니다. 수분이 날라가고 미생물들이 더 이상 운동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는 수분까지 없어지게 되면 누룩은 온도가 더 이상 오르지 않고 딱딱하게 굳어 버리는 것입니다.

우리가 생각하기에 이렇게 굳어 버리면 미생물들이 다시 ‘누룩 집’밖으로 나갈 것 같지만 누룩 집에 들어온 미생물들은 의리가 있어서 쫓아 내도 도망가지 않고 자신들의 집을 지키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우리가 술을 빚을 때 물을 넣어주게 되면 다시 활기차게 운동을 시작하는 것입니다.

1. ‘누룩 집’을 따뜻한 곳에 두고 두꺼운 이불 등으로 덮어 준다. (열이 빨리 식지 않도록)
2. 3일 후에 열어 누룩을 뒤집어 주고 자리를 바꿔 준다. (골고루 띄우기 위해)
3. 다시 3일 후에 열어 이러한 작업을 반복한다.
4. 누룩에 열이 나지 않고 딱딱하게 마르면 이 작업을 마친다.


누룩을 몇 일 간 띄워야 한다는 규정은 없습니다. 뒤집는 작업을 반복하면서 누룩의 수분 상태와 온도를 살펴 판단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1. 만져보고 온기가 없으면 꺼낸다.
2. 만져보고 수분이 없으면 꺼낸다.
3. 만져보고 딱딱하면 꺼낸다.


이런 상태가 되면 누룩을 꺼내 바로 햇볕에 널어 말려야 합니다. 그래야 누룩에 있는 미량의 수분까지 증발을 시켜 누룩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마른 오징어나 쥐포 같은 것을 좋아하는데요. 이런 생선들을 그냥 보관하지 않고 말려 보관하는 이유는… 다들 아시죠.??^^  누룩도 수분을 오래 갖고 있으면 썩어 버리게 됩니다. 누룩도 장기간 보관하려면 잔량의 수분을 증발시켜 말린 상태로 보관 해야 합니다.


5-3장 두 번째 손님 "효모"를 기대해 주세요.


세상에 단 하나뿐은 술... "술독"  www.suldoc.com



* <저 작 권 자(c)술 독 .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나다나

2007.11.10 04:08:51
*.103.138.104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오늘 저녁엔 누룩을 다시한번 빚을 겁니다,,ㅎㅎ
그리고 방금 두시간 운전해서 시골에가서
짚단을 구했읍니다,,ㅎㅎㅎ
짚단을 구할수가 없어서 말먹이는 건초라도 구하러 갔더니
짚을 갖고 있더라구여,,ㅎㅎ
아무튼 잘 빚어서 한번 띄어보겠읍니다,
어떻게 되어가는지 상황보고하겠읍니다,ㅎㅎ^^
그럼 수고하시고 이번 주말도 행복하게 보내세여,,^^

酒人

2007.11.11 12:15:19
*.46.9.96

열정이 대단하시네요.^^

짚단은 잘 말린 것을 사용하시고요. 잎 부분 보다는 줄기 부분을 잘라 넣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표면적이 넓은 잎 부분이 누룩과 붙는 부분에 특히 수분이 많이 고여 종종 썩어 버비는 경우가 있거든요.

한나다나님께서 디딘 누룩은 어떤 누룩이 될지 궁금하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01 막걸리의 냄새가 이상해요 찐찐 2018-12-09 4086
200 질문드릴게요~ [3] sswe13 2018-12-17 2596
199 맑은술 [1] 이반 2018-12-24 3541
198 석탄주 [2] 하늘이랑 2019-01-20 4691
197 누룩양좀 봐주세요 [1] 쵸이 2019-02-11 3545
196 석탄주 재료 문의드려요~ file [2] 잠자는뮤 2019-02-14 4210
195 질문드립니다! [1] Elucidator 2019-02-15 3233
194 쌀누룩을 띄우는데 처음하는거라 ... 선배님들께 묻고싶습니다. file [2] 동강파 2019-03-07 4371
193 술 거를때 받침대 문의 file [1] 잠자는뮤 2019-04-01 3864
192 발효후 위에 고인 물에 대한 문의 [1] 잠자는뮤 2019-04-02 3702
191 쌀가루를 낼때도 침미과정은 필수인지요 [1] KoreanBrewers 2019-04-03 3052
190 습식쌀가루 vs 건식쌀가루 [3] KoreanBrewers 2019-04-03 5008
189 백세후 완전건조된 쌀 [1] KoreanBrewers 2019-04-03 2857
188 삼선주 문의 [1] 잠자는뮤 2019-04-08 2609
187 끓인물과 그렇치 않은 물의 차이가 있나요? [1] 잠자는뮤 2019-04-08 3133
186 처음 술을 만들어 봅니다. 막걸리만들자 2019-04-09 2636
185 술을 처음 빚어봅니다~!! 질문 있습니다. [2] 준우 2019-04-26 2959
184 안녕하세요 술을 빚어보려 합니다. [4] 루덴스 2019-05-01 3305
183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ㅜㅠㅜㅠ file [2] 루덴스 2019-05-12 2931
182 삼양주 2차 덧술 후 일주일째입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file [2] 장돌뱅이 2019-05-13 4553
181 덧술한지 일주일이 조금 넘었습니다.. file [1] 루덴스 2019-05-20 4145
180 술덧이 더 안가라앉는 경우.. [2] 준우 2019-05-29 4166
179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이탁배기 2019-05-30 5391
178 삼양주 제조과정에서 젓기,뚜껑밀봉 시기 [1] 이미남 2019-07-02 5576
177 과하주 관련 질문입니다~ [1] shosho 2019-07-19 3589
176 소주내리기위해 술을빚을때 쓰는 주방이 따로있나요? [1] synop 2019-10-01 2971
175 멥쌀 통쌀죽과 가루죽에 대해서 [1] dnekaqkfk 2019-10-05 2784
174 밑술에 막이 생기고 하얀 곰팡이가 피어났습니다. 도와주세요~ [5] 밥상머리 2019-10-22 4226
173 용수 사용법 [2] 장돌뱅이 2019-10-31 3552
172 통쌀죽 쑤는 방법에 대해 다시 여쭙겠습니다 [1] dnekaqkfk 2019-11-09 4318
171 단호박술 거르는 시기 궁금합니닷. file [2] 바다뜰 2019-11-11 3466
170 고두밥과 밀가루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이미남 2019-12-08 3285
169 술빚기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1] 강곤 2019-12-09 2878
168 막걸리 빚을때 이스트의 양은 어떻게되나요?? [1] 찰리와막걸리공장 2019-12-20 7072
167 호산춘레서피 질문이 있어요 [2] 버지니아 2020-01-26 3275
166 도수가 낮아요 [2] 버지니아 2020-01-29 3390
165 발효통(플라스틱)내부 습기를 어찌하면 좋을까요? [1] 이미남 2020-02-11 3748
164 석탄주 덧술발효과정에서 혼란스러운 부분 [1] 레오몬 2020-02-12 2945
163 삼양주 범벅 질문입니다 file [1] 레오몬 2020-02-13 4116
162 안녕하세요, 쌀 관련 질문드립니다! [4] 예술 2020-02-27 257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