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누룩만들기 제 6장 &#8211; ‘손님(곰팡이) 불러 오기’ </b>

조회 수 6135 추천 수 133 2007.11.10 01:18:44
제 6장 – ‘손님(곰팡이) 불러 오기’를 기대해 주세요.


우리에게 필요한 곰팡이는 전분을 당으로 잘 분해 시킬 수 있는 미생물이어야 합니다. 그래야 효모가 당을 먹고 알코올을 만들어 내기 때문이죠.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수 많은 미생물 들이 식물의 잎이나 공기 중에 떠돌아 다니고 있습니다. 이렇게 떠돌아 다니는 곰팡이를 곰팡이가 좋아하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 불러 들이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 밀이나 쌀, 보리 등을 이용해 누룩(음식)을 만들어 유인하고, 집에 들어온 미생물들이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오랫동안 애(증식)도 낳고 해서 많은 양의 미생물을 모으게 되는 것입니다.

누룩을 만들기 위해 적당한 온도는 25~30도 정도, 습도는 70% 정도가 좋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을 갖췄다 해서 누룩이 잘 되는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현재의 온도와 습도를 알고 이에 맞춰 ‘누룩 집’을 잘 관리하는 것입니다.

술을 빚거나 누룩을 만들어 발효를 시키게 되면 어느 정도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그 이유는 미생물들이 증식을 하면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즉, 미생물들의 수가 많아지면서 자연히 움직임과 호흡이 많아져 주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온도가 상승해 주변의 온도보다 ‘누룩 집’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미생물들이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이 잘 갖춰지게 되어 ‘누룩 집’안으로 미생물들이 들어가 살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살며 애도 낳고 또 낳고 해서 가족들의 수가 많아지면 수분도 그 만큼 빨리 달아나게 됩니다. 수분이 날라가고 미생물들이 더 이상 운동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는 수분까지 없어지게 되면 누룩은 온도가 더 이상 오르지 않고 딱딱하게 굳어 버리는 것입니다.

우리가 생각하기에 이렇게 굳어 버리면 미생물들이 다시 ‘누룩 집’밖으로 나갈 것 같지만 누룩 집에 들어온 미생물들은 의리가 있어서 쫓아 내도 도망가지 않고 자신들의 집을 지키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우리가 술을 빚을 때 물을 넣어주게 되면 다시 활기차게 운동을 시작하는 것입니다.

1. ‘누룩 집’을 따뜻한 곳에 두고 두꺼운 이불 등으로 덮어 준다. (열이 빨리 식지 않도록)
2. 3일 후에 열어 누룩을 뒤집어 주고 자리를 바꿔 준다. (골고루 띄우기 위해)
3. 다시 3일 후에 열어 이러한 작업을 반복한다.
4. 누룩에 열이 나지 않고 딱딱하게 마르면 이 작업을 마친다.


누룩을 몇 일 간 띄워야 한다는 규정은 없습니다. 뒤집는 작업을 반복하면서 누룩의 수분 상태와 온도를 살펴 판단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1. 만져보고 온기가 없으면 꺼낸다.
2. 만져보고 수분이 없으면 꺼낸다.
3. 만져보고 딱딱하면 꺼낸다.


이런 상태가 되면 누룩을 꺼내 바로 햇볕에 널어 말려야 합니다. 그래야 누룩에 있는 미량의 수분까지 증발을 시켜 누룩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마른 오징어나 쥐포 같은 것을 좋아하는데요. 이런 생선들을 그냥 보관하지 않고 말려 보관하는 이유는… 다들 아시죠.??^^  누룩도 수분을 오래 갖고 있으면 썩어 버리게 됩니다. 누룩도 장기간 보관하려면 잔량의 수분을 증발시켜 말린 상태로 보관 해야 합니다.


5-3장 두 번째 손님 "효모"를 기대해 주세요.


세상에 단 하나뿐은 술... "술독"  www.suldoc.com



* <저 작 권 자(c)술 독 .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나다나

2007.11.10 04:08:51
*.103.138.104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오늘 저녁엔 누룩을 다시한번 빚을 겁니다,,ㅎㅎ
그리고 방금 두시간 운전해서 시골에가서
짚단을 구했읍니다,,ㅎㅎㅎ
짚단을 구할수가 없어서 말먹이는 건초라도 구하러 갔더니
짚을 갖고 있더라구여,,ㅎㅎ
아무튼 잘 빚어서 한번 띄어보겠읍니다,
어떻게 되어가는지 상황보고하겠읍니다,ㅎㅎ^^
그럼 수고하시고 이번 주말도 행복하게 보내세여,,^^

酒人

2007.11.11 12:15:19
*.46.9.96

열정이 대단하시네요.^^

짚단은 잘 말린 것을 사용하시고요. 잎 부분 보다는 줄기 부분을 잘라 넣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표면적이 넓은 잎 부분이 누룩과 붙는 부분에 특히 수분이 많이 고여 종종 썩어 버비는 경우가 있거든요.

한나다나님께서 디딘 누룩은 어떤 누룩이 될지 궁금하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881 단양주는 거르고 나서 냉장보관하면 셔지나요? [1] 쩡이님 2021-05-06 7483
880 신맛의 삼양주를 살리려면 [4] 푸른땡땡이 2021-04-24 7245
879 솔잎 넣고 삼양주하는 법 file [1] 정정희 2021-04-18 5823
878 누룩 추천 부탁드립니다! [2] mekookbrewer 2021-04-09 7451
877 거르기 궁금증 [1] 키키요 2021-04-07 5727
876 계절별 빚는 주조법 질문 [1] 키키요 2021-04-06 6099
875 삼양주 채주 시기 [3] 키키요 2021-04-02 7969
874 이화곡 활용 방법 [1] 오오오오 2021-03-11 4891
873 밑술 주변에 곰팡이가 피었는데 실패인가요? [1] 청송옹기 2021-03-07 7282
872 덧술중 신맛이 나면 실패한것으로 보면될까요? [1] synop 2021-03-05 5924
871 삼해주 밑술에 장막이 생겼어요 [1] 랄랄라 2021-03-03 6330
870 이양주(석탄주)질문드립니다. [2] 배꼭지 2021-03-03 6752
869 이화주 발효온도 [2] mekookbrewer 2021-02-28 4253
868 입문자 몇가지 질문드리옵니다! [4] Jbjang 2021-02-23 6408
867 빚은 술의 유통기한이 궁금합니다~ [1] 레오몬 2021-02-20 6669
866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얄리야리 2021-02-09 5547
865 술을 제조할 때 쓰는 국(효모)의 차이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술빚는요리사 2021-01-24 7104
864 누룩을 사용해도 될까요???? [1] 얄리야리 2021-01-19 4699
863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2] mekookbrewer 2021-01-19 5382
862 혐기성 발효가 진행되는 것 같지 않습니다.ㅠ_ㅠ file [2] 리볼트 2021-01-11 6046
861 이양주 밑술 상태 [1] Emiju 2021-01-10 5214
860 이양주 술 거름시기 판단 [2] Emiju 2021-01-05 7471
859 이양주 덧술 1일차 온도가 33도인데 [4] Blues 2020-12-30 6429
858 류가향 질문 file [1] 헤나 2020-12-28 5734
857 밑술할때 30도 소주를 넣으면 [2] 배꼭지 2020-12-25 4732
856 삼양주 2차덧술후 3주의 시간이 되었습니다. [2] 기분좋게한잔 2020-12-25 6579
855 오양주 효모 [4] mekookbrewer 2020-12-22 5062
854 삼양주 고두밥 덧술 후 22일 째 강한 알콜향 [1] 감금중 2020-12-20 5620
853 흰색 누룩으로 갈색 술이 나왔습니다(!) [2] 호우주의보 2020-12-16 5235
852 이양주 담그는데 궁금해요 [4] 퍼플리 2020-12-09 5277
851 발효과정에서의 맛 변화 [1] 아보카도요거트 2020-12-08 4378
850 과일을 이용한 술 빚는 법에 관하여 질문 드립니다 [1] leon 2020-12-05 3856
849 발효시킬떄 뚜껑 [2] mekookbrewer 2020-12-02 5000
848 밑술이 발효가 안되고 물이 안생김 [1] 감금중 2020-11-26 4991
847 단양주 층 분리 [2] 아보카도요거트 2020-11-25 6143
846 밤막걸리 제조 레시피 [1] 마라탕 2020-11-23 4238
845 막걸리의 탁도조절 [1] 장셰프 2020-11-15 3679
844 소주만들기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알려줄께 2020-11-07 4946
843 술이 자꾸 걸쭉하게 나오는 이유;;; file [4] 연필꽂이 2020-10-31 5662
842 외국인들에게 막걸리와 사케 차이 설명 [3] mekookbrewer 2020-10-28 483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