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누룩만들기 제 6장 &#8211; ‘손님(곰팡이) 불러 오기’ </b>

조회 수 6240 추천 수 133 2007.11.10 01:18:44
제 6장 – ‘손님(곰팡이) 불러 오기’를 기대해 주세요.


우리에게 필요한 곰팡이는 전분을 당으로 잘 분해 시킬 수 있는 미생물이어야 합니다. 그래야 효모가 당을 먹고 알코올을 만들어 내기 때문이죠.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수 많은 미생물 들이 식물의 잎이나 공기 중에 떠돌아 다니고 있습니다. 이렇게 떠돌아 다니는 곰팡이를 곰팡이가 좋아하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 불러 들이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 밀이나 쌀, 보리 등을 이용해 누룩(음식)을 만들어 유인하고, 집에 들어온 미생물들이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오랫동안 애(증식)도 낳고 해서 많은 양의 미생물을 모으게 되는 것입니다.

누룩을 만들기 위해 적당한 온도는 25~30도 정도, 습도는 70% 정도가 좋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을 갖췄다 해서 누룩이 잘 되는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현재의 온도와 습도를 알고 이에 맞춰 ‘누룩 집’을 잘 관리하는 것입니다.

술을 빚거나 누룩을 만들어 발효를 시키게 되면 어느 정도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그 이유는 미생물들이 증식을 하면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즉, 미생물들의 수가 많아지면서 자연히 움직임과 호흡이 많아져 주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온도가 상승해 주변의 온도보다 ‘누룩 집’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미생물들이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이 잘 갖춰지게 되어 ‘누룩 집’안으로 미생물들이 들어가 살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살며 애도 낳고 또 낳고 해서 가족들의 수가 많아지면 수분도 그 만큼 빨리 달아나게 됩니다. 수분이 날라가고 미생물들이 더 이상 운동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는 수분까지 없어지게 되면 누룩은 온도가 더 이상 오르지 않고 딱딱하게 굳어 버리는 것입니다.

우리가 생각하기에 이렇게 굳어 버리면 미생물들이 다시 ‘누룩 집’밖으로 나갈 것 같지만 누룩 집에 들어온 미생물들은 의리가 있어서 쫓아 내도 도망가지 않고 자신들의 집을 지키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우리가 술을 빚을 때 물을 넣어주게 되면 다시 활기차게 운동을 시작하는 것입니다.

1. ‘누룩 집’을 따뜻한 곳에 두고 두꺼운 이불 등으로 덮어 준다. (열이 빨리 식지 않도록)
2. 3일 후에 열어 누룩을 뒤집어 주고 자리를 바꿔 준다. (골고루 띄우기 위해)
3. 다시 3일 후에 열어 이러한 작업을 반복한다.
4. 누룩에 열이 나지 않고 딱딱하게 마르면 이 작업을 마친다.


누룩을 몇 일 간 띄워야 한다는 규정은 없습니다. 뒤집는 작업을 반복하면서 누룩의 수분 상태와 온도를 살펴 판단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1. 만져보고 온기가 없으면 꺼낸다.
2. 만져보고 수분이 없으면 꺼낸다.
3. 만져보고 딱딱하면 꺼낸다.


이런 상태가 되면 누룩을 꺼내 바로 햇볕에 널어 말려야 합니다. 그래야 누룩에 있는 미량의 수분까지 증발을 시켜 누룩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마른 오징어나 쥐포 같은 것을 좋아하는데요. 이런 생선들을 그냥 보관하지 않고 말려 보관하는 이유는… 다들 아시죠.??^^  누룩도 수분을 오래 갖고 있으면 썩어 버리게 됩니다. 누룩도 장기간 보관하려면 잔량의 수분을 증발시켜 말린 상태로 보관 해야 합니다.


5-3장 두 번째 손님 "효모"를 기대해 주세요.


세상에 단 하나뿐은 술... "술독"  www.suldoc.com



* <저 작 권 자(c)술 독 .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나다나

2007.11.10 04:08:51
*.103.138.104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오늘 저녁엔 누룩을 다시한번 빚을 겁니다,,ㅎㅎ
그리고 방금 두시간 운전해서 시골에가서
짚단을 구했읍니다,,ㅎㅎㅎ
짚단을 구할수가 없어서 말먹이는 건초라도 구하러 갔더니
짚을 갖고 있더라구여,,ㅎㅎ
아무튼 잘 빚어서 한번 띄어보겠읍니다,
어떻게 되어가는지 상황보고하겠읍니다,ㅎㅎ^^
그럼 수고하시고 이번 주말도 행복하게 보내세여,,^^

酒人

2007.11.11 12:15:19
*.46.9.96

열정이 대단하시네요.^^

짚단은 잘 말린 것을 사용하시고요. 잎 부분 보다는 줄기 부분을 잘라 넣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표면적이 넓은 잎 부분이 누룩과 붙는 부분에 특히 수분이 많이 고여 종종 썩어 버비는 경우가 있거든요.

한나다나님께서 디딘 누룩은 어떤 누룩이 될지 궁금하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02 단호박술을 담어 보고 싶은데요 [1] 보리알맹이 2011-09-29 6007
201 술 쉰내 [2] mekookbrewer 2021-06-02 6013
200 안녕하세요 전통주 초보자인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2] 마늘이 2022-05-26 6015
199 초산균(초산발효)의 침입을 막자. 酒人 2006-05-27 6032
198 발효와 온도 [2] 포수 2013-06-24 6039
197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 file [3] aladinn 2015-02-26 6039
196 삼양주 고두밥 덧술 후 22일 째 강한 알콜향 [1] 감금중 2020-12-20 6045
195 전통주 발효과정에서의 술독 내부의 변화 酒人 2005-11-19 6053
194 삼양주 빚을때 1차 2차 덧술의 선택은? file 원삼규 2007-01-06 6056
193 단양주 질문있습니다. [1] hctor 2023-10-11 6062
192 술 거르는 시기 [2] 내사랑 2008-11-24 6067
191 밑술에서 쌀죽과 범벅에 가수량? [1] 오렌지컴 2014-09-14 6068
190 술이 자꾸 걸쭉하게 나오는 이유;;; file [4] 연필꽂이 2020-10-31 6071
189 이양주에서 삼양주 사진 file [2] johnfrankl0 2012-06-02 6079
188 밑술 발효 완료는 어느 정도 기다려야 하는건가요? [1] 우동국물 2015-11-18 6092
187 마늘술을 담글수 있을까? [3] 내사랑 2008-10-12 6100
186 당화/발효 관련 문의. [1] 생기발랄 2021-07-21 6107
185 술 온도와 맛의 변화 [2] 시작은 천천히 2012-03-30 6121
184 용수를 박았습니다. file 보리콩 2011-02-11 6129
183 [re] 석임 제조에 대하여 酒人 2009-12-29 6130
182 거르기 궁금증 [1] 키키요 2021-04-07 6137
181 콩이 들어가는 술에 대해 궁금합니다 [2] 집중호우 2007-12-07 6138
180 막걸리의 절묘하고 복잡한 맛. [1] alpha 2012-01-27 6143
179 쌀누룩을 만들엇는데 얼마를 사용해서하는지..비율이? [1] 창힐 2015-04-14 6145
178 삼양주 제조과정에서 젓기,뚜껑밀봉 시기 [1] 이미남 2019-07-02 6164
177 생막걸리 장기보관을 위한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1] Jack39 2023-10-21 6165
176 학교에서 알코올도수 측정법을 배웠는데요 ..... [2] [2] 바이브가부릅니다술이야 2012-11-14 6178
175 옥수수술 질문입니다~~ [1] sujann00 2012-02-01 6184
174 류가향 질문 file [1] 헤나 2020-12-28 6189
173 술 끓어 오른 자국이 생기는 이유와 의미 [1] 酒人 2006-02-28 6198
172 쉰맛 실패....이제 어떻게 해야하나요? [1] 미루 2008-02-24 6205
171 안녕하세요!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 [1] 희진 2023-10-09 6221
» <b>누룩만들기 제 6장 &#8211; ‘손님(곰팡이) 불러 오기’ </b> [2] 酒人 2007-11-10 6240
169 알콜 도수 [4] 깡오리 2014-02-26 6244
168 솔잎 넣고 삼양주하는 법 file [1] 정정희 2021-04-18 6255
167 밑술을 찹쌀로 해버렸는데... [2] 산에살다 2016-06-11 6276
166 삼양주 쓴 뒷맛 [4] mekookbrewer 2020-09-22 6291
165 덧술중 신맛이 나면 실패한것으로 보면될까요? [1] synop 2021-03-05 6298
164 이양주가 익는중 문제가 생겨 문의 드립니다! file [5] 이규민 2018-06-05 6311
163 만들고있는 이화곡의 상태에대해 물어보고싶습니다 file [1] Binmo 2023-09-11 631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