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누룩만들기 제 5장 &#8211; ‘누룩 집’ 만들기</b>

조회 수 7993 추천 수 81 2007.11.05 23:55:52
누룩만들기 제 5장 – ‘누룩 집’ 만들기

누룩 띄우기를 공부하기 전에 우리가 먼저 알고 넘어가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지금 글을 쓰고자 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수 많은 방법 중 한 가지 방법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글을 읽는 모든 사람들은 제가 쓴 글을 읽고 ‘누룩은 이렇게 만드는 구나’라고 정의하기 보다는 ‘누룩이 이런 원리로 만들어 지는 구나’라는 생각을 가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모든 것은 스스로의 응용 능력에 따라 만드는 방식이 달라 지겠지만, 응용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 원리를 잘 이해해야 또 다른 수 많은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일반 가정에서 기본 원리를 잘 이해하도록 하면서 누룩도 직접 띄어 볼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자 ~  누룩 모양을 만들었으면 이제 미생물들을 불러 모아야 겠네요. 바로 이 과정이 누룩을 띄우는 과정입니다. 미생물을 불러 들이는 과정 말입니다.


누룩띄우기 어떤 방법들이 있는가.

1. 널어 띄우기 : 널어 띄우기란 바닥에 멍석이나 짚, 나무 가지 등을 깔고 그 위에 만든 성형한 누룩을 올린 다음 온도를 높여 띄우거나 짚, 멍석 등을 덮어 띄우는 것으로 이러한 누룩들은 봄, 가을, 겨울에 주로 사용하며 누룩을 전문적으로 하는 곳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2. 매달아 띄우기 : 성형한 누룩을 쑥이나 짚 등으로 감싸주고 줄을 이용해 누룩을 햇볕이 들지 않는 곳에 매달아 띄우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방법은 주로 여름에 사용하는 방법으로 온도와 습도가 높은 여름에 누룩을 썩지 않게 잘 띄우기 위해 사용합니다.

3. 쌓아 띄우기 : 현대식 가옥 구조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좁은 공간에서 많은 양의 누룩을 띄울 수 있는 방법입니다.  종이나 나무 박스에 짚이나 쑥대를 깔고 그 위에 누룩을 올리고 다시 덮고를 반복하여 만들게 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들이 있지만 우리는 여기서 3번, 쌓아 띄우기를 기준으로 글을 써 내려가려 합니다. 지금이 가을, 겨울이고 대부분의 가옥 구조가 현대식이며 공간이 그리 넓지 않기 때문에 박스 등을 이용해 좁은 공간에서 많은 양의 누룩을 띄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준비물 : 라면 박스(커도 좋다.), 쑥 (줄기가 있는 약 쑥이 좋다.), 박스 덮는 이불

1. 박스에 약쑥 긴 대를 넉넉히 깐다.
2. 성형한 누룩 2개를 나란히 놓는다.
3. 다시 쑥대를 촘촘히 덮어 준다.
4. 성형한 누룩 2개를 나란히 놓는다.
5. 3번을 반복한다.
6. 성형한 누룩 2개를 다시 올린다.
7. 마지막으로 쑥대를 올리고 박스를 닫는다.


일단은 성형한 누룩을 박스를 이용해 “누룩 집”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이제는 ‘누룩 집’에 곰팡이 들이 잘 살 수 있도록 해야겠군요.


제 5-2장 – ‘손님(곰팡이) 불러 오기’를 기대해 주세요.


추신 : 요즘 왜이리 피곤한지 모르겠습니다. 하는 것도 없는데 자꾸 잠이 옵니다. 술을 너무 많이 먹어서 그런가...^^  

한나다나님 글 늦게 올려 죄송합니다. 맥이 끊기지는 않았는지 모르겠습니다.


* <저 작 권 자(c)술 독 .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나다나

2007.11.06 06:13:01
*.103.138.104

별말씀을요,,주인님,,ㅎㅎ
바쁘신와중에도 잊지안으시고 이렇게 글을 올려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이제야 어떻게 띄우는지 좀 감이 오는군여,,
아,,집에 습도기랑 온도계를 구입했읍니다,,
습도가 너무 낮아서 방안에(사용하지 않는 작은방이 있어서
그곳에서 띄어볼려고 함) 가습기랑 히터를 준비해볼려고
하는데 이런 저의 생각은 어떤지여?
그리고 사실은 한 일주일전에 누룩을 한번 빚어봤읍니다,,ㅋㅋ
근데 실패한거 같아여,,ㅎㅎ
일단 반죽에서 물이 너무 많이 들어간것 같고,,;;
틀에 넣고 밟는데 발옆으로 자꾸 삐져나왔다는,,
그리고 박스에 넣어서 담요로 몇겹싸서 나뒀는데
3일후에 열어보니 위에 곰팡이가 많으 슬었고
부피가 엄청 부풀어 올랐더라구여,,ㅎㅎ
내일 다시 한번 반죽 해보겟읍니다,,^^
근데..무방부제표시가 되어있는 밀가루를 못구했읍니다,,ㅠㅠ
그래서 아예 쌀을 빻아서 밀가루대신 사용하는건 어떨까요?
아,,질문이 너무 많네여,,죄송합니다,,ㅎㅎ
그럼 수고하시고,,건강에 항상 유념하십시요,,^^감사합니다,,

酒人

2007.11.06 09:15:30
*.212.132.34

실패가 아니라 더 좋은 누룩을 띄우기 위한 과정이라 생각되네요. ^^

1. 가습기 보다는 히터를 틀어 따뜻하게 해 주면 될 것 같습니다. 주변 습도가 낮아도 '누룩 집'안은 누룩의 수분 때문에 습도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2. 누룩의 부피가 커지는 이유는 누룩이 수분에 의해서 부풀었다가 수분이 날아가면서 다시 줄어들고를 반복하게 됩니다. 부풀어 올랐다면 아직도 누룩에 수분이 많다는 것이니 완전히 마를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3. 누룩에 온기가 없으면 바로 꺼내서 햇볕에 말려 주어야 합니다. 그대로 오래 두게 되면 누룩 안쪽이 썩어 버리게됩니다.

4. 3일 후에 열어 보셨다면 다시 3일 후에 열어 뒤집어 주시고요. 다시 3일 후에 누룩의 상태를 관찰 한 후에 누룩에 열이 나지 않고 말라있다면 꺼내 시면 됩니다.

5. 밀가루 대신 쌀가루를 이용할 수 있으나 쌀가루를 이용해 만든 누룩은 밀가루 누룩보다 수분이 많아 검은 곰팡이가 많이 피게 됩니다. 밀가루와 쌀가루를 반반 섞어서 띄우면 좋을 듯 합니다.

6. 쌀가루는 찹쌀이 아니면 잘 뭉치지 않아 이화곡처럼 오리알 크기가 적당한 것입니다. 따라서 점성이 많은 밀가루와 혼합하는 것이 좋습니다.

7. 너무 성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기다려 보시지요. ^^

좋은 하루 보내세요.~~~~

한나다나

2007.11.06 09:38:51
*.189.37.129

네...잘 알겠읍니다,,주인님,,^^
좋은 설명 감사드리고 주인님께서도
즐겁고 건강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한나다나

2007.11.09 08:07:11
*.103.138.104

무방부제 밀가루를 구했답니다,,어제여,,ㅎㅎ
마켓을 일곱군데를 뒤졋더니 드디어 나어더라구여,,ㅎ
이번 주말에 다시한번 누룩을 빚어봐야겠읍니다,,^^

酒人

2007.11.09 09:17:37
*.212.132.34

고생하셨습니다. 오늘 저녁에 5-2장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엇그제 백련초로 만든 누룩을 만들어 밑술을 빚었는데 그 향이 참 좋네요. 한나다나님께서도 꼭 직접 디딘 누룩으로 멋진 술 한번 빚어 보시지요. ^^

좋은 하루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03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6085
202 효모에 대해... [2] sul4u 2013-06-28 6102
201 삼양주 빚을때 1차 2차 덧술의 선택은? file 원삼규 2007-01-06 6106
200 술 거르는 시기 [2] 내사랑 2008-11-24 6110
199 삼양주 발효 상태와 채주 시기 문의드립니다. file [3] 와이즈먼 2023-11-20 6129
198 술 쉰내 [2] mekookbrewer 2021-06-02 6131
197 전통주 발효과정에서의 술독 내부의 변화 酒人 2005-11-19 6136
196 마늘술을 담글수 있을까? [3] 내사랑 2008-10-12 6142
195 이양주에서 삼양주 사진 file [2] johnfrankl0 2012-06-02 6148
194 안녕하세요 전통주 초보자인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2] 마늘이 2022-05-26 6162
193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 file [3] aladinn 2015-02-26 6169
192 콩이 들어가는 술에 대해 궁금합니다 [2] 집중호우 2007-12-07 6179
191 삼양주 고두밥 덧술 후 22일 째 강한 알콜향 [1] 감금중 2020-12-20 6187
190 용수를 박았습니다. file 보리콩 2011-02-11 6190
189 발효와 온도 [2] 포수 2013-06-24 6191
188 막걸리의 절묘하고 복잡한 맛. [1] alpha 2012-01-27 6198
187 술 온도와 맛의 변화 [2] 시작은 천천히 2012-03-30 6199
186 밑술에서 쌀죽과 범벅에 가수량? [1] 오렌지컴 2014-09-14 6199
185 [re] 석임 제조에 대하여 酒人 2009-12-29 6202
184 술이 자꾸 걸쭉하게 나오는 이유;;; file [4] 연필꽂이 2020-10-31 6202
183 밑술 발효 완료는 어느 정도 기다려야 하는건가요? [1] 우동국물 2015-11-18 6225
182 당화/발효 관련 문의. [1] 생기발랄 2021-07-21 6229
181 쉰맛 실패....이제 어떻게 해야하나요? [1] 미루 2008-02-24 6239
180 학교에서 알코올도수 측정법을 배웠는데요 ..... [2] [2] 바이브가부릅니다술이야 2012-11-14 6250
179 옥수수술 질문입니다~~ [1] sujann00 2012-02-01 6262
178 거르기 궁금증 [1] 키키요 2021-04-07 6262
177 쌀누룩을 만들엇는데 얼마를 사용해서하는지..비율이? [1] 창힐 2015-04-14 6263
176 <b>누룩만들기 제 6장 &#8211; ‘손님(곰팡이) 불러 오기’ </b> [2] 酒人 2007-11-10 6284
175 술 끓어 오른 자국이 생기는 이유와 의미 [1] 酒人 2006-02-28 6285
174 삼양주 제조과정에서 젓기,뚜껑밀봉 시기 [1] 이미남 2019-07-02 6319
173 단양주 질문있습니다. [1] hctor 2023-10-11 6324
172 류가향 질문 file [1] 헤나 2020-12-28 6325
171 누룩에 관하여~~ [14] 한나다나 2007-10-19 6362
170 알콜 도수 [4] 깡오리 2014-02-26 6371
169 신맛이 살짝 드는 술. 잘된 술인가? [2] 내사랑 2008-12-07 6377
168 솔잎 넣고 삼양주하는 법 file [1] 정정희 2021-04-18 6385
167 덧술중 신맛이 나면 실패한것으로 보면될까요? [1] synop 2021-03-05 6403
166 저온 발효에 대하여.. 궁금한 점. [2] 민속주 2012-11-07 6412
165 막걸리 현재 상태 확인좀 부탁드립니다. file [4] 더블엑스 2008-04-13 6419
164 드뎌 누룩 제조하다... [6] 전통주 love 2009-03-23 641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