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누룩만들기 제 4장 &#8211; 누룩 밟기</b>

조회 수 5368 추천 수 87 2007.10.24 23:47:13
누룩만들기 제 4장 – 누룩 밟기

누룩을 밟는 특별한 요령이 있기 보다는 누룩을 처음 만드는 사람들은 무엇 하나 궁금하지 않은 것이 없기 때문에 하나하나 집고 넘어가려고 제 4장을 씁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누룩은 아주 튼튼하고 단단하게 밟아야 합니다.


누룩 밟기

①        천으로 누룩을 다 감싸고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밟기 시작한다. 뒤꿈치를 이용한다.
②        첫 사랑 생각하며 한 번 밝고, 자식 생각하며 또 한 번 밟고, 신세 한탄 하며 밟고,,
③        한참을 밟고, 누룩을 뒤집어 다시 밟기 시작한다.
④        남편 얼굴이라 생각하며 한 번 밟고, 아내 생각하며 한 번 밟고, 또 밟고,,,,
⑤        밟고 싶은 사람이 많다면 계속 밟아도 좋다. 밟아서 단단히 된 것 같으면 멈춘다.
⑥        이렇게 한 쪽에 3-4 번 정도 밟아 주는 것이 좋다. 더 오래 밟아줘도 좋다.
⑦        맨 마지막에는 누룩의 뒷부분을 밟고 끝을 낸다. 그래야 틀에서 누룩을 빼기 쉽다.
⑧        천을 살짝 걷어 내면 성형이 완성된 것이다.



이해하고 남어가기 …

1. 뒤집은 상태에서 밟는 이유 : 꼭 그럴 필요는 없다. 경험상 뒤집어 놓고 밟는 것이 성형이 잘 이뤄지기 때문이다. 앞 부분부터 밟기 시작하면 나중에 뒷부분을 밟을 때 누룩에 금이 간다. 조금이라도 수분이 많이 남아 있을 때 밟아 주는 것이 잘 뭉쳐지기 때문에 뒷부분부터 밟아 주는 것이 좋다.

2. 언제까지 밟아 주는가 : 많이 밟아 줄수록 좋다. 뒤꿈치로 눌러서 많이 단단해 진 것 같으면 끝을 내는데 보통 한 쪽에 3-4회씩 밟아 주면 아주 단단해 진다. 물론, 무거운 사람이 밟으면 더욱 단단하다. 더 오래 밟아 주면 더욱 좋다.

3. 맨 마지막에 뒷부분을 밟아 주는 이유 : 손으로 눌러서 빼내기 쉽기 때문이다. 특별한 이유는 없다.

4. 누룩을 빼서 옮길 때 한 손으로 누룩을 들면 깨지는 경우가 있으니 두 손으로 조심히 운반해야 한다. 공들여 만든 누룩이 쫙 금이 가버리면 그렇게 허무 할 수가 없다.



제 5장 – 누룩 띄우기를 기대해 주세요.



우리술 "한국가양주협회"  www.suldoc.com



* <저 작 권 자(c)술 독 .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나다나

2007.10.25 05:06:39
*.103.138.104

ㅎㅎㅎㅎ
잘 봤읍니다,,주인님~~^^
첫사랑생각하며 밟아야 겠네여,,ㅋㅋㅋ
이 잘난 나를 버리고 떠나간 그녀~~~;;ㅋㅋ
그러다가 밟는게 아니라 짖이기게 되는건 아닐지,ㅎㅎ

제가 머리가 나쁜지 이렇게 설명을 자세히 해주셧는데도
이해가 않되는부분이 있읍니다,,;;
누룩을 성형할때 사용하는 틀이,(만약에 나무틀이라하면)
밑바닥도 나무로 되어있지안나요??
밑바닥이 나무로 되어있다면 1번 설명처럼 뒤집어놓고
밟게 되면 그냥 나무를 밟게 되는것 같은데....
밑이 그냥 뻥뚤린,,그러니깐 4면으로만 되어있는 틀을
사용하는건가여??
제가 생각했던 틀은 옛날 쌀 단위로 썻던 되같이
생긴 걸로 알았거든여....
저의 무지함을 용서하시고
이점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 부탁드릴께여..,^^
감사합니다,,주인님~~~~^^

술과 함께..

2007.10.25 09:15:26
*.1.199.17

말그대로 틀이어여^^
말,되,홉 같은 모양에 아래위 면이 펑뚫여있죠.
옆면만있다고 생각하심되요.
인터넷에 누룩틀을 검색하셔서
사진을 보시면 더 좋겠네요.
따끈한 누룩 기대합니다~홧팅!!

한나다나

2007.10.26 08:25:25
*.103.138.104

잘 알겠읍니다,,술과 함께님~~~^^
감사드립니다,,,ㅎㅎ
틀의 모양에 대해서 알게 되니,,
모두 이해가 되었읍니다,,^^

열심히 하겠읍니다,,많은 지도 바랍니다,,
그럼 모두 홧팅~~~~^^

酒人

2007.10.29 22:18:38
*.161.206.11

집에 들어가야 글을 올리는데,, 오늘도 집에 못 들어가 글을 올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죄송해요.^^

내일은 꼭 제 5장을 올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술과함께님께서 답변을 잘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한나다나

2007.10.31 05:48:58
*.103.138.104

아,,그러셧군요,,주인님,,ㅎㅎ
천천히 올리셔도 됩니다,,,,
하시는 일이 우선이지여,,,^^
너무 무리하지마시고 천천히 쉬어가시며 하시길 바랍니다,,ㅎㅎ
벌써 11월이네여,,세월이 참 빠릅니다,,
새해가 밝았구나했더니 올해가 두달밖에 안남았네여,,
환절기 날씨 조심하시고
즐거운 11월 맞이하시길 빌겠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01 당과 알코올 도수의 차이 [1] 민속주 2012-08-31 4194
400 누룩틀은 어디에서? [1] 도사 2008-11-11 4192
399 이런 노란게 생겼는데 곰팡이 일까요? file [1] 끼옹이 2023-02-01 4176
398 식초와 막걸리 걸음후 관리에 대해서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4-15 4176
397 술의 신맛잡기2 [1] 우리술이좋아 2010-10-18 4176
396 저온 발효에관하여 여쭤 봅니다. 오작교 2022-10-29 4174
395 씨앗술로 이양주~ [1] 산에살다 2015-05-23 4174
394 막걸리 병입후에 4-5일후에 생기는 현상 궁금합니다. file [1] 아이다호 2017-04-23 4166
393 궁금해서 여쭙니다. [3] 오야봉 2009-03-13 4160
392 빚은 청주에서 탄산가스가 생기면? [1] 원삼규 2007-01-12 4158
391 호산춘 덧술시기 [1] 예그린 2013-10-01 4157
390 전통주 만들기에서.. 2008-08-16 4147
389 거른술을 항아리에 보관할때 [2] 보리콩 2014-02-07 4146
388 호박막걸리 질문입니다.~~ [3] 오야봉 2009-07-07 4126
387 술이 걸쭉하게 된거같아요... [1] 공대생 2014-10-15 4124
386 부탁드립니다. [1] 반애주가 2013-08-26 4124
385 흑미 육양주 발효 질문있습니다. file [4] 술빚는요리사 2020-05-26 4121
384 첫번째시도--덧술을 확인하였는데요... [7] 고망고망 2009-08-09 4120
383 애주 [1] 이선화 2006-08-04 4111
382 우왕좌왕 합니다,,, 막걸리와파전 2009-02-07 4100
381 전통주 중급강의 3. 봄철 밑술과 보쌈 [2] 酒人 2006-05-23 4095
380 오양주를 빚고있는데 요즘 날씨가 너무 더워서.. [2] 술빚는요리사 2020-06-09 4090
379 똑똑 똑 [2] mumu 2013-04-26 4089
378 술빗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독대 2013-05-07 4087
377 질문이요~~ [2] 2008-12-24 4087
376 전통주중에 누룩을 끓여서 담그는 종류는 없을까요? [5] 섬소년 2009-06-11 4086
375 술에 단맛을 더하는 방법좀 알려 주세요~ [2] 두메 2010-12-13 4085
374 삼백주에 대하여... 酒人 2006-10-12 4085
373 발효 온도 [1] 상자 2018-11-18 4082
372 삼양주 발효 상태와 채주 시기 문의드립니다. file [3] 와이즈먼 2023-11-20 4080
371 밑술에 거품이 많이 올라 와 있네요. 망한건가요? ㅠㅠ [2] 할렘 2020-06-04 4079
370 오늘 진달래술(두견주)과 쑥술(애주) 밑술을 빚습니다. file 酒人 2006-04-12 4077
369 <b>"지황주" 네 가지 제조법</b> [2] 酒人 2008-07-27 4076
368 [re] 답변입니다. ~^^ 酒人 2008-10-15 4070
367 내부비전국에 대해서.... [3] 음식디미방 2007-05-09 4068
366 누룩 만드는데.... [1] 까마귀날개 2009-04-13 4055
365 죽이 따뜻할때 누룩을 넣으면.... [2] 보리콩 2013-12-28 4053
364 김병덕님 보세요. 쌀 5되로 술빚기입니다. 酒人 2006-04-07 4049
363 <b>전통주 상급강의 2. 알코올의 끓는 점의 변화</b> [1] 酒人 2006-08-02 4043
362 너무 길어요 [1] mumu 2013-05-03 403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