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누룩만들기 제 4장 &#8211; 누룩 밟기</b>

조회 수 5600 추천 수 87 2007.10.24 23:47:13
누룩만들기 제 4장 – 누룩 밟기

누룩을 밟는 특별한 요령이 있기 보다는 누룩을 처음 만드는 사람들은 무엇 하나 궁금하지 않은 것이 없기 때문에 하나하나 집고 넘어가려고 제 4장을 씁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누룩은 아주 튼튼하고 단단하게 밟아야 합니다.


누룩 밟기

①        천으로 누룩을 다 감싸고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밟기 시작한다. 뒤꿈치를 이용한다.
②        첫 사랑 생각하며 한 번 밝고, 자식 생각하며 또 한 번 밟고, 신세 한탄 하며 밟고,,
③        한참을 밟고, 누룩을 뒤집어 다시 밟기 시작한다.
④        남편 얼굴이라 생각하며 한 번 밟고, 아내 생각하며 한 번 밟고, 또 밟고,,,,
⑤        밟고 싶은 사람이 많다면 계속 밟아도 좋다. 밟아서 단단히 된 것 같으면 멈춘다.
⑥        이렇게 한 쪽에 3-4 번 정도 밟아 주는 것이 좋다. 더 오래 밟아줘도 좋다.
⑦        맨 마지막에는 누룩의 뒷부분을 밟고 끝을 낸다. 그래야 틀에서 누룩을 빼기 쉽다.
⑧        천을 살짝 걷어 내면 성형이 완성된 것이다.



이해하고 남어가기 …

1. 뒤집은 상태에서 밟는 이유 : 꼭 그럴 필요는 없다. 경험상 뒤집어 놓고 밟는 것이 성형이 잘 이뤄지기 때문이다. 앞 부분부터 밟기 시작하면 나중에 뒷부분을 밟을 때 누룩에 금이 간다. 조금이라도 수분이 많이 남아 있을 때 밟아 주는 것이 잘 뭉쳐지기 때문에 뒷부분부터 밟아 주는 것이 좋다.

2. 언제까지 밟아 주는가 : 많이 밟아 줄수록 좋다. 뒤꿈치로 눌러서 많이 단단해 진 것 같으면 끝을 내는데 보통 한 쪽에 3-4회씩 밟아 주면 아주 단단해 진다. 물론, 무거운 사람이 밟으면 더욱 단단하다. 더 오래 밟아 주면 더욱 좋다.

3. 맨 마지막에 뒷부분을 밟아 주는 이유 : 손으로 눌러서 빼내기 쉽기 때문이다. 특별한 이유는 없다.

4. 누룩을 빼서 옮길 때 한 손으로 누룩을 들면 깨지는 경우가 있으니 두 손으로 조심히 운반해야 한다. 공들여 만든 누룩이 쫙 금이 가버리면 그렇게 허무 할 수가 없다.



제 5장 – 누룩 띄우기를 기대해 주세요.



우리술 "한국가양주협회"  www.suldoc.com



* <저 작 권 자(c)술 독 .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나다나

2007.10.25 05:06:39
*.103.138.104

ㅎㅎㅎㅎ
잘 봤읍니다,,주인님~~^^
첫사랑생각하며 밟아야 겠네여,,ㅋㅋㅋ
이 잘난 나를 버리고 떠나간 그녀~~~;;ㅋㅋ
그러다가 밟는게 아니라 짖이기게 되는건 아닐지,ㅎㅎ

제가 머리가 나쁜지 이렇게 설명을 자세히 해주셧는데도
이해가 않되는부분이 있읍니다,,;;
누룩을 성형할때 사용하는 틀이,(만약에 나무틀이라하면)
밑바닥도 나무로 되어있지안나요??
밑바닥이 나무로 되어있다면 1번 설명처럼 뒤집어놓고
밟게 되면 그냥 나무를 밟게 되는것 같은데....
밑이 그냥 뻥뚤린,,그러니깐 4면으로만 되어있는 틀을
사용하는건가여??
제가 생각했던 틀은 옛날 쌀 단위로 썻던 되같이
생긴 걸로 알았거든여....
저의 무지함을 용서하시고
이점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 부탁드릴께여..,^^
감사합니다,,주인님~~~~^^

술과 함께..

2007.10.25 09:15:26
*.1.199.17

말그대로 틀이어여^^
말,되,홉 같은 모양에 아래위 면이 펑뚫여있죠.
옆면만있다고 생각하심되요.
인터넷에 누룩틀을 검색하셔서
사진을 보시면 더 좋겠네요.
따끈한 누룩 기대합니다~홧팅!!

한나다나

2007.10.26 08:25:25
*.103.138.104

잘 알겠읍니다,,술과 함께님~~~^^
감사드립니다,,,ㅎㅎ
틀의 모양에 대해서 알게 되니,,
모두 이해가 되었읍니다,,^^

열심히 하겠읍니다,,많은 지도 바랍니다,,
그럼 모두 홧팅~~~~^^

酒人

2007.10.29 22:18:38
*.161.206.11

집에 들어가야 글을 올리는데,, 오늘도 집에 못 들어가 글을 올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죄송해요.^^

내일은 꼭 제 5장을 올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술과함께님께서 답변을 잘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한나다나

2007.10.31 05:48:58
*.103.138.104

아,,그러셧군요,,주인님,,ㅎㅎ
천천히 올리셔도 됩니다,,,,
하시는 일이 우선이지여,,,^^
너무 무리하지마시고 천천히 쉬어가시며 하시길 바랍니다,,ㅎㅎ
벌써 11월이네여,,세월이 참 빠릅니다,,
새해가 밝았구나했더니 올해가 두달밖에 안남았네여,,
환절기 날씨 조심하시고
즐거운 11월 맞이하시길 빌겠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03 쌀알누룩을 만들고 있는데요 색이~(ㅠ.ㅠ) [1] 수오기 2014-10-09 3980
202 또 궁금합니다. [7] 오야봉 2009-03-19 3978
201 삼양주 빚는중에 나는 향 [2] mekookbrewer 2020-06-20 3971
200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싶습니다. 관리자 2006-03-11 3971
199 청주를 거르고 난 후 [2] 우리술이좋아 2010-05-03 3965
198 이스트?효모영양제 사용방법및 시기 문의 [1] 호박654 2020-07-24 3964
197 이양주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2-10-29 3953
196 호산춘에궁금한점이있어서요? [1] 이승욱 2007-01-10 3951
195 급질문입니다.. [1] 2009-01-07 3948
194 덧술재료 [1] 마중물 2008-12-10 3948
193 불패주 주방문 수정가능할까요...ㅠ [2] 케팔로스 2018-10-12 3941
192 2차 덧술할때... [1] 마중물 2008-12-12 3941
191 삼양주를 할려하는데 [1] 배병임 2007-01-18 3937
190 거른 오미자주 상태입니다. file [1] 하제 2012-05-04 3932
189 덧술 할 시기를 어떻게 가늠하는지 궁금합니다. 원삼규 2006-11-21 3931
188 오디주를 빚어보고 싶어요 [1] 선02 2017-09-18 3930
187 술이 되어가고있네요 [3] 배병임 2006-10-06 3922
186 씨앗술이 왜?? file [2] 제천인어공주 2012-10-09 3918
185 오랜만에 복분자 주를 만들려고 하는데 비율을 잘 모르겠습니다 ㅎ [2] 술도하가 2012-09-13 3917
184 술의 유지 방법. [2] 눈사람 2010-03-22 3917
183 막걸리 이양주 진행상황 검토부탁 드립니다. [1] Emiju 2020-05-24 3916
182 술이 뻑뻑해요ㅠ.ㅠ [2] 술을 빚어보자 2018-07-20 3904
181 석탄주에대한질문입니다 [1] 0심이 2010-09-30 3904
180 술의 도수내리려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1] 김정은 2006-05-18 3902
179 여러가지 의문 점 [2] 민속주 2012-10-31 3900
178 쌀과 누룩 질문 [1] 식초나라 2013-03-06 3896
177 <b>상식 쌓기 - 술독과 술덧이 벌어지는 이유</b> file 酒人 2007-02-10 3891
176 안녕하세요. [2] sul4u 2014-04-02 3889
175 <b>알코올 20% 그 한계와 이유</b> 酒人 2006-10-26 3879
174 이양주 질문입니다. [1] 시골술쟁이 2018-06-26 3878
173 [re] 답변입니다. [1] 酒人 2010-10-17 3878
172 주인님, 아래 제 글 "청주 보관에 대한 문의" 에 대한 답변 좀... 해난 2010-06-08 3878
171 술이 이상해요? [1] 마중물 2008-12-15 3878
170 호산춘 처방 [1] yk 2014-04-03 3875
169 술빚기 Q&A 20페이지. 120번 빚은 청주에서 탄산가스가 생기면? 의문점 [2] 민속주 2012-10-22 3875
168 인녕하세요. [1] sul4u 2014-05-08 3874
167 소주내리기위해 술을빚을때 쓰는 주방이 따로있나요? [1] synop 2019-10-01 3870
166 쌀가루를 낼때도 침미과정은 필수인지요 [1] KoreanBrewers 2019-04-03 3866
165 술이 너무 빨리 끓은것 같습니다 [1] 문석호 2010-03-25 3863
164 송순주 [1] yk 2014-08-02 385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