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누룩만들기 제 4장 &#8211; 누룩 밟기</b>

조회 수 5471 추천 수 87 2007.10.24 23:47:13
누룩만들기 제 4장 – 누룩 밟기

누룩을 밟는 특별한 요령이 있기 보다는 누룩을 처음 만드는 사람들은 무엇 하나 궁금하지 않은 것이 없기 때문에 하나하나 집고 넘어가려고 제 4장을 씁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누룩은 아주 튼튼하고 단단하게 밟아야 합니다.


누룩 밟기

①        천으로 누룩을 다 감싸고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밟기 시작한다. 뒤꿈치를 이용한다.
②        첫 사랑 생각하며 한 번 밝고, 자식 생각하며 또 한 번 밟고, 신세 한탄 하며 밟고,,
③        한참을 밟고, 누룩을 뒤집어 다시 밟기 시작한다.
④        남편 얼굴이라 생각하며 한 번 밟고, 아내 생각하며 한 번 밟고, 또 밟고,,,,
⑤        밟고 싶은 사람이 많다면 계속 밟아도 좋다. 밟아서 단단히 된 것 같으면 멈춘다.
⑥        이렇게 한 쪽에 3-4 번 정도 밟아 주는 것이 좋다. 더 오래 밟아줘도 좋다.
⑦        맨 마지막에는 누룩의 뒷부분을 밟고 끝을 낸다. 그래야 틀에서 누룩을 빼기 쉽다.
⑧        천을 살짝 걷어 내면 성형이 완성된 것이다.



이해하고 남어가기 …

1. 뒤집은 상태에서 밟는 이유 : 꼭 그럴 필요는 없다. 경험상 뒤집어 놓고 밟는 것이 성형이 잘 이뤄지기 때문이다. 앞 부분부터 밟기 시작하면 나중에 뒷부분을 밟을 때 누룩에 금이 간다. 조금이라도 수분이 많이 남아 있을 때 밟아 주는 것이 잘 뭉쳐지기 때문에 뒷부분부터 밟아 주는 것이 좋다.

2. 언제까지 밟아 주는가 : 많이 밟아 줄수록 좋다. 뒤꿈치로 눌러서 많이 단단해 진 것 같으면 끝을 내는데 보통 한 쪽에 3-4회씩 밟아 주면 아주 단단해 진다. 물론, 무거운 사람이 밟으면 더욱 단단하다. 더 오래 밟아 주면 더욱 좋다.

3. 맨 마지막에 뒷부분을 밟아 주는 이유 : 손으로 눌러서 빼내기 쉽기 때문이다. 특별한 이유는 없다.

4. 누룩을 빼서 옮길 때 한 손으로 누룩을 들면 깨지는 경우가 있으니 두 손으로 조심히 운반해야 한다. 공들여 만든 누룩이 쫙 금이 가버리면 그렇게 허무 할 수가 없다.



제 5장 – 누룩 띄우기를 기대해 주세요.



우리술 "한국가양주협회"  www.suldoc.com



* <저 작 권 자(c)술 독 .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나다나

2007.10.25 05:06:39
*.103.138.104

ㅎㅎㅎㅎ
잘 봤읍니다,,주인님~~^^
첫사랑생각하며 밟아야 겠네여,,ㅋㅋㅋ
이 잘난 나를 버리고 떠나간 그녀~~~;;ㅋㅋ
그러다가 밟는게 아니라 짖이기게 되는건 아닐지,ㅎㅎ

제가 머리가 나쁜지 이렇게 설명을 자세히 해주셧는데도
이해가 않되는부분이 있읍니다,,;;
누룩을 성형할때 사용하는 틀이,(만약에 나무틀이라하면)
밑바닥도 나무로 되어있지안나요??
밑바닥이 나무로 되어있다면 1번 설명처럼 뒤집어놓고
밟게 되면 그냥 나무를 밟게 되는것 같은데....
밑이 그냥 뻥뚤린,,그러니깐 4면으로만 되어있는 틀을
사용하는건가여??
제가 생각했던 틀은 옛날 쌀 단위로 썻던 되같이
생긴 걸로 알았거든여....
저의 무지함을 용서하시고
이점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 부탁드릴께여..,^^
감사합니다,,주인님~~~~^^

술과 함께..

2007.10.25 09:15:26
*.1.199.17

말그대로 틀이어여^^
말,되,홉 같은 모양에 아래위 면이 펑뚫여있죠.
옆면만있다고 생각하심되요.
인터넷에 누룩틀을 검색하셔서
사진을 보시면 더 좋겠네요.
따끈한 누룩 기대합니다~홧팅!!

한나다나

2007.10.26 08:25:25
*.103.138.104

잘 알겠읍니다,,술과 함께님~~~^^
감사드립니다,,,ㅎㅎ
틀의 모양에 대해서 알게 되니,,
모두 이해가 되었읍니다,,^^

열심히 하겠읍니다,,많은 지도 바랍니다,,
그럼 모두 홧팅~~~~^^

酒人

2007.10.29 22:18:38
*.161.206.11

집에 들어가야 글을 올리는데,, 오늘도 집에 못 들어가 글을 올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죄송해요.^^

내일은 꼭 제 5장을 올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술과함께님께서 답변을 잘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한나다나

2007.10.31 05:48:58
*.103.138.104

아,,그러셧군요,,주인님,,ㅎㅎ
천천히 올리셔도 됩니다,,,,
하시는 일이 우선이지여,,,^^
너무 무리하지마시고 천천히 쉬어가시며 하시길 바랍니다,,ㅎㅎ
벌써 11월이네여,,세월이 참 빠릅니다,,
새해가 밝았구나했더니 올해가 두달밖에 안남았네여,,
환절기 날씨 조심하시고
즐거운 11월 맞이하시길 빌겠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62 <b>상식 쌓기 - 술독과 술덧이 벌어지는 이유</b> file 酒人 2007-02-10 3789
761 범벅에 대하여 [2] 우리술이좋아 2009-11-23 3789
760 거른 오미자주 상태입니다. file [1] 하제 2012-05-04 3791
759 덧술재료 [1] 마중물 2008-12-10 3793
758 고두밥과 밀가루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 이미남 2019-12-08 3796
757 청주 빨리 생기게 하는 방법? [2] 오렌지컴 2016-06-24 3799
756 <b>알코올 20% 그 한계와 이유</b> 酒人 2006-10-26 3805
755 안녕하세요 술을 빚어보려 합니다. [4] 루덴스 2019-05-01 3816
754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5-05-19 3817
753 용수냄새가 나서 [1] 고천 2010-12-06 3818
752 청주를 거르고 난 후 [2] 우리술이좋아 2010-05-03 3819
751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싶습니다. 관리자 2006-03-11 3824
750 술찌게미량에 대하여 [1] [2] 강현윤 2012-12-21 3826
749 누룩 띄우기 Jtracey 2020-07-24 3826
748 2차 덧술할때... [1] 마중물 2008-12-12 3830
747 술의 도수내리려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1] 김정은 2006-05-18 3833
746 수곡 [1] 설화곡 2022-12-29 3835
745 호산춘에궁금한점이있어서요? [1] 이승욱 2007-01-10 3837
744 급질문입니다.. [1] 2009-01-07 3838
743 향기와 맛은 따로 국밥인가요? [1] 보리콩 2010-09-15 3841
742 덧술 할 시기를 어떻게 가늠하는지 궁금합니다. 원삼규 2006-11-21 3843
741 법적으로 이렇게 만든 술도 탁주일까요? [1] 오씨 2018-11-30 3852
740 밑술에 대하여 여쭙니다. [2] 섬누룩 2009-11-23 3858
739 포도주용 측정기인데 우리 전통주도 가능할까요? [2] 술향 2010-02-10 3859
738 좁쌀같은 덩어리 [2] yk 2014-03-16 3860
737 전통주 [1] yk 2014-07-25 3861
736 전통주 빚을 때 알코올 도수 공식 좀 알려주세요. [1] 연이김 2018-09-30 3864
735 도수가 낮아요 [2] 버지니아 2020-01-29 3866
734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酒人 2007-03-15 3871
733 쑥을 이용한 누룩빚기 [1] 새로미 2010-06-18 3872
732 위에 나온 단위 함량에 대해서 질문좀요 [1] 바나나우유 2010-08-14 3872
731 호산춘에 대해 질문입니다. [1] 비니 2010-12-10 3873
730 질문이요 ^^ [2] 산에살다 2014-09-26 3875
729 진행상황 질문입니다`... file [2] 투덜이 2012-06-06 3879
728 석임 제조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비바우 2009-12-28 3880
727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1 3885
726 제대로 되어가는중인지 궁금합니다 [2] 우리술이좋아 2009-11-03 3887
725 [re] 답변입니다. [2] 酒人 2009-03-14 3889
724 이화주 씨앗술이나 밑술 mekookbrewer 2020-08-05 3891
723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27 389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