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누룩만들기 제 2장 &#8211; 반죽하기</b>

조회 수 7138 추천 수 90 2007.10.22 22:29:46
누룩만들기 제 2장 – 반죽하기

지금부터 쓰려고 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누룩을 만드는 수 많은 가지 수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만들어 지는 누룩의 제조의 형태로서 모든 누룩을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지역마다, 사람마다 각각 다른 수 많은 누룩이 만들어 졌기 때문에 이 많은 제조 방법을 일일이 설명하는 것 보다는 누룩 제조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아 누룩이 이렇게 만들어 지는 구나’ 정도를 아실 수 있도록 글을 쓰려 합니다.

그리고, 그 다음부터는 개인의 노력과 응용능력에 따라 누룩의 품질이 달라질 것입니다.

어떠세요. 우리나라에서 단 0.00001%만 마실 수 있는 술을 만들고 싶지 않으세요.?? 이 모든 것이 누룩 없이는 불가능 합니다. 도전하세요.^^


시작하기 전에,,

누룩만들기에서 반죽이란 통밀을 가루 낸 것이나 고운 망 등을 이용해 거친 것을 걷어 낸 고운 가루(밀가루)에 물을 넣어 고르게 잘 섞이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흔히, 반죽이라 함은 물이 많이 들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누룩의 반죽은 물이 아주 적게 들어가는 특징이 있습니다.

1. 반죽하기

①        용기에 밀가루 3kg을 넣는다.
②        분무기를 이용해 물을 넓게 뿌려 준다.
③        손으로 혼합하고, 다시 분무기로 물 뿌리는 것을 반복한다.
④        손으로 밀가루를 꽉 쥔다.
⑤        모양이 잘 만들어 지고, 잘라 보아서 잘 잘라지면 물 뿌리는 것을 멈춘다.



이해하고 넘어가기 …

1. 밀가루를 사용하는 이유 : 밀가루를 사용하는 이유는 크게 세가지가 있다. 하나는 전분이 주성분이라는 것, 둘째는 점성이 강하다는 것, 셋째는 맑은 술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전분이 주성분이라는 것은 전분을 좋아하는 전분분해효소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점성이 강하다는 것은 물을 적게 투입하고도 성형을 단단하게 할 수 는 것이다. 또한, 밀기울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술을 색깔을 맑게 만들 수 있다.

2. 분무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 손을 이용해 물을 뿌리게 되면 밀가루가 떡이 지게 된다. 밀가루에 떡이 지게 되면 반죽이 질어 지고 수분이 골고루 스며들지 못한다. 또한, 수분이 많이 들어간 부분은 쉽게 썩을 수 있다.

분무기를 이용해서 넓게 분사해 주고, 손으로 혼합해 주고, 다시 분사해 주고를 반복하면 밀가루에 수분이 골고루 전달 될 뿐만 아니라 떡이 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3. 반죽이 다 되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 : 잘 된 반죽은 손으로 움켜 쥐어서 그 모양이 유지돼야 하고, 반으로 잘라 보면 부스러기 없이 잘라지면 반죽이 잘 된 것이다.

어떤 사람은 물의 양을 정확히 계량해서 넣자고 하는데, 밀가루에 수분이 얼만큼 들어있는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물의 양을 계량한다는 것은 오히려 수분의 양을 조절하기 쉽지 않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밀가루가 건조 할 경우 = 물의 양이 많이 들어간다.
밀가루에 수분이 많은 경우 = 물의 양이 적게 들어간다.


즉, 누룩을 빚는 시기에 따라서 밀가루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일정한 양의 물을 투입하는 것은 좋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손으로 직접 성형을 하고, 쥐어 보고, 잘라 보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이다.



제 3장 - 성형편을 기대해 주세요.`^^


우리술은 술독이 지킨다.  "술독" www.suldoc.com



* <저 작 권 자(c)술 독 .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한나다나

2007.10.23 04:29:28
*.103.138.104

이해가 너무 잘되도록 설명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ㅎㅎ
머리속에 쏙쏙 들어오네여,,,
오늘은 퇴근할때 한국마켓에 들려서 이것저것 구입해야겠네요,,밀가루 3킬로랑 분무기,,등등~~
요새 술독에서 공부하는 새로운 취미가 생겻어요,,
매일 반복되는 권태로운 생활속에서
이렇게 잼나는 걸 배우다니,,
주인님 덕분에 요새 제 생활에 활력이 생기는것 같읍니다,,감사합니다,,^^
게다가 나중엔 제가 직접 빛은 전통주까지 마실수 있다니..
ㅎㅎㅎ,,흥분되네여,,^^
그럼 3편 기대하며 이만 줄이겠읍니다,,
또 뵐꼐여~~~^^

술과 함께..

2007.10.23 09:12:14
*.1.199.168

누룩수업 잼나게 하고 있어요^^
넘 쉽게 풀이해주셔서 따뜻한 누룩이
금방 나올 듯함다~

酒人

2007.10.23 16:19:17
*.212.132.34

3kg의 누룩으로는 2덩이 정도밖에 만들 수 없어요. 나중에 공부를 다 하시고 6kg 정도를 이용해 4-5덩이를 만드셔서 누룩을 띄어야 합니다. 이유는 다음 편부터 계속 설명해 드리겠지만 수량이 적으면 수분이 빨리 달아나고 열이 오래가지 않기 때문에 되도록 많은 양의 누룩을 함께 띄우는 것이 좋습니다.

버스를 생각해 보시면,,

버스에 사람이 없는 것 보다 사람이 많으면 많을수록 열기가 많이나 덥죠.^^

열심히 공부해 주시니 저도 힘이 나네요. 다 함께 좋은 누룩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

한나다나

2007.10.24 02:44:13
*.103.138.104

아,,,그렇군요,,,혼자서 그냥 생각했을떈
3킬로도 굉장히 많은 양일꺼라고 막연히 생각했는데..
두덩이밖에 안나온다니,,,많은양이 아니었군요,,
잘 알겠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01 긴급 질문입니다. [3] 보리콩 2010-09-04 3569
200 국화주 만들어보는중... file [1] 창힐 2014-04-14 3567
199 이양주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2-10-29 3565
198 [re] <b>가향하는 방법에 대하여...,</b> 酒人 2006-12-15 3565
197 산패한 술을 밑술 삼아 제조 중입니다. [1] 덕인주 2014-07-29 3561
196 오랜만에 복분자 주를 만들려고 하는데 비율을 잘 모르겠습니다 ㅎ [2] 술도하가 2012-09-13 3556
195 호산춘 오늘 잡는날.. [1] 창힐 2014-04-02 3554
194 달콤한 술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1] 酒人 2006-06-01 3554
193 석탄주에대한질문입니다 [1] 0심이 2010-09-30 3552
192 아랫 술... file [1] 고망고망 2009-09-02 3551
191 술이 너무 빨리 끓은것 같습니다 [1] 문석호 2010-03-25 3549
190 <b>술을 언제 걸러야 하나요.? </b> 酒人 2006-12-12 3532
189 도수가 낮아요 [2] 버지니아 2020-01-29 3531
188 술빚기 Q&A 20페이지. 120번 빚은 청주에서 탄산가스가 생기면? 의문점 [2] 민속주 2012-10-22 3531
187 술에 넣을 물로... [2] 아침이슬 2007-02-20 3529
186 질문이요 ^^ [2] 산에살다 2014-09-26 3515
185 누룩 띄우기 Jtracey 2020-07-24 3514
184 안녕하세요! 문의드립니다! ^^ [1] 살몬 2012-04-11 3511
183 언제 걸러야 할까요? ㅠ.ㅠ file [1] 랄랄 2012-05-04 3509
182 전통주 [1] yk 2014-07-25 3508
181 밑술 담은지40시간 사진 임니다 file [1] 강용진 2006-12-27 3508
180 첫 작품이 나올것 같습니다 [3] 까마귀날개 2009-05-15 3504
179 수곡 [1] 설화곡 2022-12-29 3502
178 안녕하세요! 술에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ㅡ^ㅋ [3] 한국인 2007-03-25 3501
177 1차 덧술을 하고 나서~ [3] 두메 2007-02-14 3499
176 밑술의 맛은 ? 김정옥 2006-11-02 3499
175 초일주에 대하여 [1] 대암 2007-03-01 3498
174 두번째 愚問 입니다. [2] 보리콩 2010-06-16 3495
173 보경가주에 대한 질의 [1] 우리술이좋아 2009-11-09 3495
172 밑술을 담그고 문의드립니다 [1] 우정 2007-06-12 3494
171 좁쌀같은 덩어리 [2] yk 2014-03-16 3490
170 진행과정 보고 [1] 신원철 2007-03-25 3487
169 삼양주를 도전해 보는중.... 창힐 2012-06-24 3482
168 전통주 빚을 때 알코올 도수 공식 좀 알려주세요. [1] 연이김 2018-09-30 3481
167 누룩에 대해 질문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0 3480
166 동동주를 빚어보고 [2] 광이 2010-06-06 3478
165 [re] 답변입니다. ^^ 酒人 2007-06-03 3478
164 법적으로 이렇게 만든 술도 탁주일까요? [1] 오씨 2018-11-30 3477
163 밀가루 첨가 문의 드립니다. [1] 대암 2007-02-28 3467
162 소주내리기.. [1] 섬누룩 2010-02-22 346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