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re] 복분자주 숙성 답변입니다. </b>

조회 수 6444 추천 수 97 2007.07.05 01:04:18
정원은재님 반갑습니다.^^

일단, 발효와 숙성의 차이부터 알아야 겠네요. 우리가 술을 빚을 때 알코올이 생성되게 되는데요. 이렇게 알코올이 생성되는 것을 “알코올발효”라고 합니다. 이것을 줄여서 ‘발효’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물론, ‘발효’라는 것이 꼭 알코올발효만 있는 것이 아니라 ‘초산발효’, ‘젖산발효’등 많이 있지만 술을 빚을 때의 발효는 ‘알코올발효’를 말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럼 ‘숙성’은 뭔가.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숙성’이란 많은 미생물들의 작용에 의해 ‘부패’하지 않고 가장 알맞은 맛과 향을 갖는 것입니다. 즉, 술이 만들어져 보관을 했지만 이 술이 부패하여 맛과 향이 나빠져 마실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면 이것은 숙성이 된 것이 아니라 ‘부패’했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럼 어떻게 …..

앞에서 설명했듯이 가장 중요한 것은 ‘부패’를 하게 하지 않으면서 장기간 보관으로 맛과 향을 높이는 일입니다. 우리는 이것을 숙성이라고 하며 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최대한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한다. 공기와 알코올이 만나게 되면 서서히 초산발효가 일어나 급기야 술에서 아주 신맛이 나게 됩니다. 알코올 도수가 낮게 되면 더욱 빠르게 진행되는데 우리는 이것을 ‘산패’했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2. 온도는 가급적 낮게 해 준다. 시간이 흐르면서 술은 자연스럽게 화학반응이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며 변해갑니다. 온도가 높을수록 그 반화는 빨라지면 온도가 낮을수록 그 변화는 느려지게 되는 것입니다.

보통 발효주(와인과 같은 과실주, 우리가 빚는 청주 등)의 가장 알맞은 숙성 온도는 13도입니다. 어떤 경우에는 온도가 6.7도 상승하게 되면 화학반응 속도가 2배, 많게는 3배 이상 빨라지게 됩니다.

어떻게 보면 온도를 높여 술을 빠르게 숙성 시킬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많은 연구 결과를 보면 술의 숙성에 좋은 화학반응은 온도가 높아지면 2배 정도 빨라지는 반면 술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반응은 8배 이상 빨라진다고 합니다. 즉, 온도가 높다고 해서 좋은 술이 빨리 숙성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빠른 시간안에 술에 변질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 반대로 온도를 4-5도 정도 낮은 온도에서 숙성시키면 어떤 반응이 올까요. 상식적으로 숙성되는 시간이 상당히 길어진다는 것입니다. 적어도 술을 숙성시킨 사람이 먹을 수 있을 때까지는 숙성이 끝나야 되지 않을까요.?^^ 따라서 이에 적당한 온도가 아주 낮지도 않고 아주 높지도 않은 13도 정도가 숙성에 알맞다는 것입니다.

3. 빛이 들지 않도록 보관한다. 빛은 술의 색깔을 변질시키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복분자나 적 포도주 같은 경우는 색이 진해 잘 느낄 수 없을지 모르겠지만 아주 맑은 청주의 경우 햇볕에 노출되면 술의 색이 탁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정원은재님께서 옹기채로 땅에 묻는다고 하셨는데요. 좋은 방법이지만 가장 주의해야 할 것은 옹이의 입구를 아주 단단히 막아야 합니다. 또한, 장기간 숙성이라면 복분자가 들어있는 상태에서 숙성시키기 보다는 맛이 좋을 때 복분자는 걸러내고 맛 좋은 술만을 담아 숙성시키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알코올 도수가 높을 경우 1년 이상 보관하는 것은 상관 없지만 알코올 도수가 14%이하라면 가급적 빨리 소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코올 도수가 20% 이상이라면 저온에 1년 이상 숙성시키면 맛이 풍부한 복분자 주를 드실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답변이 됐는지 모르겠네요. 좋은 술 빚으세요.


다 함께 …   “술독”   www.suldoc.com

정원은재

2007.07.05 15:36:25
*.91.205.156

"酒人"님의 명쾌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저는 이제 시작하는 단계라 모르는것이 많지만 "술독"에서 주량을 늘려 "술꾼"이라 불리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겠습니다.

酒人

2007.07.14 14:46:11
*.46.9.96

술꾼..^^ 다음에 술꾼들 다 모여저 한 잔 할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모임때 한 번 오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883 술 쉰내 [2] mekookbrewer 2021-06-02 6177
882 삼양주 발효 5일차, 곰팡이 인가요? file [1] 쩡이님 2021-05-14 7287
881 단양주는 거르고 나서 냉장보관하면 셔지나요? [1] 쩡이님 2021-05-06 8098
880 신맛의 삼양주를 살리려면 [4] 푸른땡땡이 2021-04-24 7827
879 솔잎 넣고 삼양주하는 법 file [1] 정정희 2021-04-18 6423
878 누룩 추천 부탁드립니다! [2] mekookbrewer 2021-04-09 8011
877 거르기 궁금증 [1] 키키요 2021-04-07 6312
876 계절별 빚는 주조법 질문 [1] 키키요 2021-04-06 6676
875 삼양주 채주 시기 [3] 키키요 2021-04-02 8584
874 이화곡 활용 방법 [1] 오오오오 2021-03-11 5506
873 밑술 주변에 곰팡이가 피었는데 실패인가요? [1] 청송옹기 2021-03-07 7878
872 덧술중 신맛이 나면 실패한것으로 보면될까요? [1] synop 2021-03-05 6441
871 삼해주 밑술에 장막이 생겼어요 [1] 랄랄라 2021-03-03 6909
870 이양주(석탄주)질문드립니다. [2] 배꼭지 2021-03-03 7344
869 이화주 발효온도 [2] mekookbrewer 2021-02-28 4723
868 입문자 몇가지 질문드리옵니다! [4] Jbjang 2021-02-23 6964
867 빚은 술의 유통기한이 궁금합니다~ [1] 레오몬 2021-02-20 7209
866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얄리야리 2021-02-09 6096
865 술을 제조할 때 쓰는 국(효모)의 차이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술빚는요리사 2021-01-24 7734
864 누룩을 사용해도 될까요???? [1] 얄리야리 2021-01-19 5173
863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2] mekookbrewer 2021-01-19 5899
862 혐기성 발효가 진행되는 것 같지 않습니다.ㅠ_ㅠ file [2] 리볼트 2021-01-11 6596
861 이양주 밑술 상태 [1] Emiju 2021-01-10 5809
860 이양주 술 거름시기 판단 [2] Emiju 2021-01-05 8063
859 이양주 덧술 1일차 온도가 33도인데 [4] Blues 2020-12-30 7047
858 류가향 질문 file [1] 헤나 2020-12-28 6365
857 밑술할때 30도 소주를 넣으면 [2] 배꼭지 2020-12-25 5249
856 삼양주 2차덧술후 3주의 시간이 되었습니다. [2] 기분좋게한잔 2020-12-25 7158
855 오양주 효모 [4] mekookbrewer 2020-12-22 5644
854 삼양주 고두밥 덧술 후 22일 째 강한 알콜향 [1] 감금중 2020-12-20 6225
853 흰색 누룩으로 갈색 술이 나왔습니다(!) [2] 호우주의보 2020-12-16 5790
852 이양주 담그는데 궁금해요 [4] 퍼플리 2020-12-09 5885
851 발효과정에서의 맛 변화 [1] 아보카도요거트 2020-12-08 4948
850 과일을 이용한 술 빚는 법에 관하여 질문 드립니다 [1] leon 2020-12-05 4350
849 발효시킬떄 뚜껑 [2] mekookbrewer 2020-12-02 5677
848 밑술이 발효가 안되고 물이 안생김 [1] 감금중 2020-11-26 5687
847 단양주 층 분리 [2] 아보카도요거트 2020-11-25 6690
846 밤막걸리 제조 레시피 [1] 마라탕 2020-11-23 4761
845 막걸리의 탁도조절 [1] 장셰프 2020-11-15 4164
844 소주만들기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알려줄께 2020-11-07 559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