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동물성 재료를 가지고 누룩제조가 가능할까요?

조회 수 5122 추천 수 50 2007.06.02 16:04:49
썩어버리지 않을까요??

시도하기 전에  전문가 분들의 고언을 받고 싶습니다.

酒人

2007.06.03 01:04:26
*.46.11.247

누룩을 만드는 이유에 대해서 생각을 해 볼까요.?^^

우리가 누룩을 만들 때 사용하는 재료를 생각해 볼까요.? 밀, 옥수수, 쌀, 보리 등 주로 곡물을 이용해서 누룩을 만듭니다. 더 자세히 들여다 보면 이러한 곡물들의 공통점이 바로 주성분이 “전분”이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쌀의 전분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효소”가 필요한데, 주성분이 전분인 곡물을 이용하게 되면 공기중의 전분을 좋아하는 곰팡이들이 달라 붙게 됩니다. 이 곰팡이들이 바로 “누룩곰팡이” 즉, 전분분해효소가 되는 것입니다.

메주는 콩으로 만들죠.? 콩의 주성분은 단백질입니다. 그럼 단백질을 좋아하는 곰팡이가 달라붙게 되는 것입니다. 즉, 단백질분해효소가 생겨나게 되는 것입니다.

동물성 원료를 소량 넣고 많은 양의 곡물을 함께 혼합하여 누룩을 만들 수는 있겠지만, 동물성 원료 자체만으로 누룩을 만들 수는 없습니다. 누룩은 전분분해효소가 많이 있고, 효모가 많이 생성되어 있는 것이 좋은 누룩입니다. 여기에 향과 색깔까지 좋으면 더 없이 좋겠지요. ^^

어화둥둥

2007.06.03 11:40:19
*.8.111.23

한 어르신이 바다게로 누룩을 만들어 술을 담갔었고 그 맛이 아주 좋았다고 하길래.. 한번 해볼라고요..

酒人

2007.06.03 14:09:38
*.46.11.247

아하~^^

옛날에는 술의 신맛을 잡기 위해서 석회, 콩, 납 등을 넣는 방법이 문헌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 외에 "조개껍질" 등을 넣곤 했는데요.

이 모든 원료의 공통점은 '알칼리성'이라는 것입니다. 즉, 술의 산성과 알칼리성이 결합하여 중성을 만들게 되는데요. 이렇게 되면 술에 신맛이 없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어화둥둥님께서 '어르신이 바다게로 누룩을 만들어 술을 담갔어...'라고 말씀하시니 이유를 알 것 같네요. 즉, 바다게를 통째로 넣은 것이 아니라 바다게를 먹고 나서 그 껍질을 말려 곱게 가루 낸 후에 일반 곡물과 혼합하여 누룩을 빚었을 것입니다.

게 껍질이 들어간 누룩은 나중에 술을 빚을 때 술의 신맛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 누룩 디디는데 참고 하시구요. 좋은 누룩 디디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22 용수박는 시기 질문드립니다~ file [2] synop 2015-05-17 5264
321 발효후 온도? [1] mssports 2014-12-19 5268
320 순곡주의 기본 비율이 궁금 합니다 ^^ [2] 적초 2009-05-29 5270
319 약 보름 전에 첫술 만들었는데 뭐가 잘못된 듯한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4] 황금붕어 2009-09-09 5272
318 덧술을 계속 해주면 어떻게 되나요? [1] 오늘같은내일 2020-10-18 5273
317 밑술이 잘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수있는 방법은요? [3] 두메 2009-02-04 5277
316 알콜농도측정도구 빅툴 2013-03-04 5277
315 밑술과 덧술의 비율 [1] 좋은막걸리 2016-08-03 5281
314 저온 발효 질문 [1] 오렌지컴 2014-12-07 5286
313 증식기때 알콜생성? [1] sul4u 2013-07-07 5304
312 수율이 너무 작아 덧술후 쌀죽을 넣었읍니다. [2] 우리술이좋아 2011-03-10 5310
311 막걸리 제조장 환경은 어떻게 해야될까요? 에옹데옹 2021-06-11 5310
310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 [1] 케팔로스 2018-09-18 5320
309 소주만들기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알려줄께 2020-11-07 5320
308 씨앗술과 밑술의 차이가 뭘까요 [1] PJC0405 2023-12-04 5325
307 [re] 답변입니다. ^^ [5] 酒人 2006-05-11 5329
306 복분자식초 만들기 질문 입니다, [1] 녹야 2008-07-15 5331
305 호산춘 2차덧술 시기? 돌돌이 2008-06-13 5336
304 전내기와 술지게미를 이용해서 한 번 더 술을 [3] 술빚는요리사 2020-07-07 5341
303 [re] 김태원님 보세요.~ [5] 酒人 2006-04-25 5349
302 삼양주 만들고 있는데 질문 드립니다. [1] 썬연료 2023-11-22 5350
301 밑술 끓은지 12시간만에 덧술도 가능한가요 file [1] 瑞香 2017-03-19 5352
300 이양주 덧술 문의드립니다 [1] 막이 2021-08-26 5353
299 삼양주(불패주) 조언 부탁드립니다. [2] 케이원 2014-04-21 5363
298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mekookbrewer 2021-11-18 5366
297 동동주를 하루에1~2회 저어 주어야 하나요 [1] 찬채짱 2008-12-11 5369
296 오양주 효모 [4] mekookbrewer 2020-12-22 5380
295 호산춘 표면의 노란 부유물 질문입니다. file charlie 2022-01-14 5381
294 증류기 파는곳 없을까요. [2] 호랭이 2009-09-15 5385
293 발효시킬떄 뚜껑 [2] mekookbrewer 2020-12-02 5386
292 밑술이 발효가 안되고 물이 안생김 [1] 감금중 2020-11-26 5390
291 삼양주 담다가 ... 문제가 생겼습니다. ㅠㅠ [2] 곡향 2015-08-20 5396
290 이양주빚을때... [2] 강하주 2014-03-17 5396
289 24일이 지났습니다. [2] 막걸남 2011-03-26 5401
288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酒人 2006-01-12 5405
287 단양주 신맛 [1] 시골술쟁이 2018-09-15 5405
286 술담는 방법 질문입니다. [2] 술 사랑 2014-12-05 5405
285 증류주 보관법... [1] 도리버섯 2016-03-24 5406
284 백국 관련해서 여쭤봅니다. [1] cheeze 2023-10-27 5406
283 <b>누룩만들기 제 3장 &#8211; 성형하기</b> [1] 酒人 2007-10-23 544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