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동물성 재료를 가지고 누룩제조가 가능할까요?

조회 수 5079 추천 수 50 2007.06.02 16:04:49
썩어버리지 않을까요??

시도하기 전에  전문가 분들의 고언을 받고 싶습니다.

酒人

2007.06.03 01:04:26
*.46.11.247

누룩을 만드는 이유에 대해서 생각을 해 볼까요.?^^

우리가 누룩을 만들 때 사용하는 재료를 생각해 볼까요.? 밀, 옥수수, 쌀, 보리 등 주로 곡물을 이용해서 누룩을 만듭니다. 더 자세히 들여다 보면 이러한 곡물들의 공통점이 바로 주성분이 “전분”이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쌀의 전분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효소”가 필요한데, 주성분이 전분인 곡물을 이용하게 되면 공기중의 전분을 좋아하는 곰팡이들이 달라 붙게 됩니다. 이 곰팡이들이 바로 “누룩곰팡이” 즉, 전분분해효소가 되는 것입니다.

메주는 콩으로 만들죠.? 콩의 주성분은 단백질입니다. 그럼 단백질을 좋아하는 곰팡이가 달라붙게 되는 것입니다. 즉, 단백질분해효소가 생겨나게 되는 것입니다.

동물성 원료를 소량 넣고 많은 양의 곡물을 함께 혼합하여 누룩을 만들 수는 있겠지만, 동물성 원료 자체만으로 누룩을 만들 수는 없습니다. 누룩은 전분분해효소가 많이 있고, 효모가 많이 생성되어 있는 것이 좋은 누룩입니다. 여기에 향과 색깔까지 좋으면 더 없이 좋겠지요. ^^

어화둥둥

2007.06.03 11:40:19
*.8.111.23

한 어르신이 바다게로 누룩을 만들어 술을 담갔었고 그 맛이 아주 좋았다고 하길래.. 한번 해볼라고요..

酒人

2007.06.03 14:09:38
*.46.11.247

아하~^^

옛날에는 술의 신맛을 잡기 위해서 석회, 콩, 납 등을 넣는 방법이 문헌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 외에 "조개껍질" 등을 넣곤 했는데요.

이 모든 원료의 공통점은 '알칼리성'이라는 것입니다. 즉, 술의 산성과 알칼리성이 결합하여 중성을 만들게 되는데요. 이렇게 되면 술에 신맛이 없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어화둥둥님께서 '어르신이 바다게로 누룩을 만들어 술을 담갔어...'라고 말씀하시니 이유를 알 것 같네요. 즉, 바다게를 통째로 넣은 것이 아니라 바다게를 먹고 나서 그 껍질을 말려 곱게 가루 낸 후에 일반 곡물과 혼합하여 누룩을 빚었을 것입니다.

게 껍질이 들어간 누룩은 나중에 술을 빚을 때 술의 신맛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 누룩 디디는데 참고 하시구요. 좋은 누룩 디디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막걸리 공장에서 술재조 공정 궁금 [2]

누룩양좀 봐주세요 [1]

  • 쵸이
  • 2019-02-11
  • 조회 수 3725

범벅에 대하여 [2]

고맙습니다 [1]

  • yk
  • 2013-12-03
  • 조회 수 3729

청주를 거르고 난 후 [2]

호산춘에 대하여.. [1] [1]

진행상황 질문입니다`... file [2]

술이 되어가고있네요 [3]

<b>상식 쌓기 - 술독과 술덧이 벌어지는 이유</b> file

  • 酒人
  • 2007-02-10
  • 조회 수 3748

호산춘에 대해 질문입니다. [1]

  • 비니
  • 2010-12-10
  • 조회 수 3748

술찌게미량에 대하여 [1] [2]

급질문입니다.. [1]

  • 2009-01-07
  • 조회 수 3754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싶습니다.

덧술재료 [1]

호산춘 밑술 file [2]

  • 창힐
  • 2014-02-25
  • 조회 수 3766

포도주용 측정기인데 우리 전통주도 가능할까요? [2]

  • 술향
  • 2010-02-10
  • 조회 수 3769

용수 사용법 [2]

<b>알코올 20% 그 한계와 이유</b>

  • 酒人
  • 2006-10-26
  • 조회 수 3772

밑술에 대하여 여쭙니다. [2]

쌀 누룩 질문 [5]

  • 택현
  • 2020-10-19
  • 조회 수 3780

쑥을 이용한 누룩빚기 [1]

호산춘에궁금한점이있어서요? [1]

막걸리의 탁도조절 [1]

위에 나온 단위 함량에 대해서 질문좀요 [1]

2차 덧술할때... [1]

술의 도수내리려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1]

글을 읽다 궁금한점이 있어서 남깁니다 [1]

석임 제조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덧술 할 시기를 어떻게 가늠하는지 궁금합니다.

과하주 관련 질문입니다~ [1]

  • shosho
  • 2019-07-19
  • 조회 수 3801

제대로 되어가는중인지 궁금합니다 [2]

덧술발효에 대하여.. [2]

안녕하세요 해외에서 이화곡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2] 밑술, 덧술 이라 구분하지않고 , 소량으로 술을 빚을때 [2]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 酒人
  • 2007-03-15
  • 조회 수 3812

동동주 무작정 따라하기 문의 [2]

안녕하세요 백국균 밀입국을 만들어 주모를 띄우는데 물표면에 두껍게 층이생깁니다. [3]

떡으로 술빚기질문이요 [2]

예쁘게 끓는 술 file [1]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