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동물성 재료를 가지고 누룩제조가 가능할까요?

조회 수 5097 추천 수 50 2007.06.02 16:04:49
썩어버리지 않을까요??

시도하기 전에  전문가 분들의 고언을 받고 싶습니다.

酒人

2007.06.03 01:04:26
*.46.11.247

누룩을 만드는 이유에 대해서 생각을 해 볼까요.?^^

우리가 누룩을 만들 때 사용하는 재료를 생각해 볼까요.? 밀, 옥수수, 쌀, 보리 등 주로 곡물을 이용해서 누룩을 만듭니다. 더 자세히 들여다 보면 이러한 곡물들의 공통점이 바로 주성분이 “전분”이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쌀의 전분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효소”가 필요한데, 주성분이 전분인 곡물을 이용하게 되면 공기중의 전분을 좋아하는 곰팡이들이 달라 붙게 됩니다. 이 곰팡이들이 바로 “누룩곰팡이” 즉, 전분분해효소가 되는 것입니다.

메주는 콩으로 만들죠.? 콩의 주성분은 단백질입니다. 그럼 단백질을 좋아하는 곰팡이가 달라붙게 되는 것입니다. 즉, 단백질분해효소가 생겨나게 되는 것입니다.

동물성 원료를 소량 넣고 많은 양의 곡물을 함께 혼합하여 누룩을 만들 수는 있겠지만, 동물성 원료 자체만으로 누룩을 만들 수는 없습니다. 누룩은 전분분해효소가 많이 있고, 효모가 많이 생성되어 있는 것이 좋은 누룩입니다. 여기에 향과 색깔까지 좋으면 더 없이 좋겠지요. ^^

어화둥둥

2007.06.03 11:40:19
*.8.111.23

한 어르신이 바다게로 누룩을 만들어 술을 담갔었고 그 맛이 아주 좋았다고 하길래.. 한번 해볼라고요..

酒人

2007.06.03 14:09:38
*.46.11.247

아하~^^

옛날에는 술의 신맛을 잡기 위해서 석회, 콩, 납 등을 넣는 방법이 문헌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 외에 "조개껍질" 등을 넣곤 했는데요.

이 모든 원료의 공통점은 '알칼리성'이라는 것입니다. 즉, 술의 산성과 알칼리성이 결합하여 중성을 만들게 되는데요. 이렇게 되면 술에 신맛이 없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어화둥둥님께서 '어르신이 바다게로 누룩을 만들어 술을 담갔어...'라고 말씀하시니 이유를 알 것 같네요. 즉, 바다게를 통째로 넣은 것이 아니라 바다게를 먹고 나서 그 껍질을 말려 곱게 가루 낸 후에 일반 곡물과 혼합하여 누룩을 빚었을 것입니다.

게 껍질이 들어간 누룩은 나중에 술을 빚을 때 술의 신맛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 누룩 디디는데 참고 하시구요. 좋은 누룩 디디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81 만들고있는 이화곡의 상태에대해 물어보고싶습니다 file [1] Binmo 2023-09-11 5333
280 석임과 씨앗 술의 차이는? [2] 오렌지컴 2015-01-05 5345
279 고두밥과 섞기전에 누룩을 뜨거운 물에 담궜는데 괜찮을까요? [1] 김수한무 2013-07-24 5348
278 동동주를 하루에1~2회 저어 주어야 하나요 [1] 찬채짱 2008-12-11 5349
277 술 거르는 시기 [1] aladinn 2015-03-26 5349
276 걸려 내는 시기 이미 걸러낸 술 단맛 탄산 첨가 방법 file [1] 오오오오오오어오 2022-01-23 5354
275 24일이 지났습니다. [2] 막걸남 2011-03-26 5355
274 증류기 파는곳 없을까요. [2] 호랭이 2009-09-15 5362
273 모주 만들기를 희망하며.. [1] honeyglaze 2013-07-10 5367
272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酒人 2006-01-12 5370
271 발효통 뚜껑은 밀폐하나요?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6 5372
270 단양주와 이양주 보관에 대하여.... (병과 플라스틱통) [2] 서련 2018-09-29 5382
269 냉장보관 유통기한 및 동전춘 만들기 [1] 엄대장 2012-04-06 5400
268 술 걸르다보면 걸죽한 요구르트같은것일때,쉰맛,쌀맛에 대해서 [1] 창힐 2013-09-09 5402
267 술끓는 소리의 차이점 file [2] 바람의딸 2012-04-22 5408
266 <b>누룩만들기 제 4장 &#8211; 누룩 밟기</b> [5] 酒人 2007-10-24 5415
265 탁도가 아주 맑은 전통주를 얻으려면 뿌기뿌기 2021-12-21 5418
264 <b>누룩만들기 제 3장 &#8211; 성형하기</b> [1] 酒人 2007-10-23 5422
263 단맛이 너무 강하고 알콜이 전혀 없습니다. [1] 레옹이누나 2022-06-14 5425
262 흰색 누룩으로 갈색 술이 나왔습니다(!) [2] 호우주의보 2020-12-16 5430
261 이양주 밑술 상태 [1] Emiju 2021-01-10 5430
260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432
259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432
258 좋은 누룩은 어떤건가요? [2] 나이스박 2014-03-11 5436
257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석탄주 2008-09-22 5438
256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비설 2008-12-05 5441
255 술이 너무 달아요! [3] cocomumu 2018-06-26 5450
254 물의 양에 관한 질문 [1] 북성 2014-01-24 5451
253 대나무 발 소독법 궁금? [2] 오렌지컴 2014-12-02 5454
252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455
251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나이스박 2012-03-13 5465
250 삼양주 2차 덧술 후 발효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3] 루악 2015-07-22 5466
249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470
248 더운 날씨 술빗기 [2] sul4u 2013-07-26 5473
247 저온 발효 외부, 품온 온도 문의 [1] 머쓱타드 2023-08-12 5473
246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웃는구야 2012-08-29 5476
245 제맘대로 단양주? [2] 오야봉 2009-03-20 5479
244 현미죽으로 만든 밑술, 천막(^^)이 생겼어요.. file [2] anakii 2013-11-25 5479
243 이양주 담그는데 궁금해요 [4] 퍼플리 2020-12-09 5489
242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49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