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답변입니다. ^^

조회 수 3528 추천 수 53 2007.06.03 00:56:06
어화둥둥님 안녕하세요.

우리가 쌀에서 얻고자 하는 것은 ‘전분’입니다. ‘전분’이라는 것은 수 많은 당이 결합한 ‘다당류’라고도 하는데요. 이 ‘전분’은 우리가 열을 가하지 않거나 아주 곱게 빻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물 모양으로 단단히 엉켜 있습니다.

여기에 열을 가하게 되면(고두밥이나 죽, 범벅 등) 이 그물처럼 엉켜 단단했던 전분이 열을 받아 ‘헐거워’집니다.

이렇게 헐거워진 것을 ‘효소’가 들어가 그물을 끊어 버려 “다당류인 전분이 단당류”가 되는 것입니다. 즉, 어화둥둥님 말을 빌리자면 “효소가 쌀을 뿌셔 버리는 것”입니다. 이렇게 효소에 의해서 당이 생성되면 효모가 당을 이용해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를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효소(전분분해효소) : 전분을 분해하여 효모가 알코올을 생산할 수 있는 당을 만들어 낸다.


밑술의 주목적은 효모를 증식 시키는 것입니다. ‘키운다’라는 표현 보다는 “증식”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겠구요.^^

공기가 있을 때 : 효모는 영양분을 먹고 증식을 하게 됩니다.
공기가 없을 때 : 효소에 의해 생성된 당을 먹고 알코올을 생산합니다.

밑술의 주목적이 효모의 증식에 있지만 밑술에서 꼭 증식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발효조 내부의 공기가 발생한 이산화탄소에 의해 밖으로 밀려나 발효조 내부에는 이산화탄소만 있게 됩니다. 이러게 되면 효모에 의해 알코올이 생성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밑술의 주목적이 효모의 증식에 있지만 알코올도 생성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에어락”같은 것을 사용하지만, 사실 그런 것 없어도 자연적으로 발효조 내부의 공기는 발생한 이산화탄소에 의해 밀려나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덧술을 하고 밀봉을 꼭 해야 하는 것 보다는 밑술, 덧술을 한 후에 발효조 내부에 먼지나 다른 부유물질들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만 해 주시면 됩니다.

식초가 돼 버리는 것 중 가장 큰 이유는 효모의 증식에 문제가 생겼을 때 많이 발생합니다. 즉, 알코올을 생성시킬 만큼의 충분한 효모가 존재하지 않아 “초산발효”나 술이 잡균으로부터 “오염”이 되는 것입니다. 이 밖에도 수 많은 문제점이 있는데요. 술독의 자료 곳곳에 많이 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추신 : 용수는 제가 충분히 가지고 있으니 바로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증류기 공동구매는 원하시는 분들이 몇 분 계시지만 최소 10분 정도가 신청을 하셔야 제작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좋은 술 빚으시구요. 제가 쓴 답변이 이해가 가셨는지 모르겠네요. ^^ 좋은 하루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82 증류주 보관법... [1] 도리버섯 2016-03-24 5473
281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478
280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481
279 술끓는 소리의 차이점 file [2] 바람의딸 2012-04-22 5486
278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496
277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497
276 석임과 씨앗 술의 차이는? [2] 오렌지컴 2015-01-05 5504
275 습식쌀가루 vs 건식쌀가루 [3] KoreanBrewers 2019-04-03 5518
274 발효통 뚜껑은 밀폐하나요? [1] 구름에달가듯이 2021-10-06 5525
273 걸려 내는 시기 이미 걸러낸 술 단맛 탄산 첨가 방법 file [1] 오오오오오오어오 2022-01-23 5531
272 제맘대로 단양주? [2] 오야봉 2009-03-20 5535
271 술 거르는 시기 [1] aladinn 2015-03-26 5538
270 씨앗술과 밑술의 차이가 뭘까요 [1] PJC0405 2023-12-04 5539
269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나이스박 2012-03-13 5540
268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544
267 삼양주 만들고 있는데 질문 드립니다. [1] 썬연료 2023-11-22 5546
266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547
265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552
264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웃는구야 2012-08-29 5561
263 청주 제조원가 계산서... 고래 2013-06-27 5562
262 백국 관련해서 여쭤봅니다. [1] cheeze 2023-10-27 5580
261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582
260 단양주와 이양주 보관에 대하여.... (병과 플라스틱통) [2] 서련 2018-09-29 5585
259 흰색 누룩으로 갈색 술이 나왔습니다(!) [2] 호우주의보 2020-12-16 5585
258 단맛이 너무 강하고 알콜이 전혀 없습니다. [1] 레옹이누나 2022-06-14 5585
257 탁도가 아주 맑은 전통주를 얻으려면 뿌기뿌기 2021-12-21 5592
256 좋은 누룩은 어떤건가요? [2] 나이스박 2014-03-11 5604
255 모주 만들기를 희망하며.. [1] honeyglaze 2013-07-10 5606
254 삼양주 2차 덧술 후 발효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3] 루악 2015-07-22 5607
253 향온주 빚을때... file [2] 보리콩 2011-02-01 5618
252 고두밥과 섞기전에 누룩을 뜨거운 물에 담궜는데 괜찮을까요? [1] 김수한무 2013-07-24 5624
251 대나무 발 소독법 궁금? [2] 오렌지컴 2014-12-02 5633
250 이양주 밑술 상태 [1] Emiju 2021-01-10 5637
249 술이 너무 달아요! [3] cocomumu 2018-06-26 5659
248 술독의 진정성...밥으로 만드는 술은? [4] 아리랑 2012-03-04 5661
247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원삼규 2006-12-27 5674
246 이양주 담그는데 궁금해요 [4] 퍼플리 2020-12-09 5678
245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酒人 2008-09-18 5686
244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민속주 2013-05-05 5696
243 술 걸르다보면 걸죽한 요구르트같은것일때,쉰맛,쌀맛에 대해서 [1] 창힐 2013-09-09 569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