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발효기간? 궁금합니다.

조회 수 5648 추천 수 45 2007.05.18 11:43:18
주인님 안녕하십니까?
모임,행사,교육에 참석하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은데 참석 한 번 하지 못하고
아쉬울 때만 문을 두두립니다.
우리술 보편화에 분주히 애쓰시는 주인님께 고마움을 표하며
문의 드립니다.

술빚는 장소 반지하
솔잎주
밑술(4월 23일)
멥쌀2kg(고두밥), 누룩1kg(송학곡자), 물3리터(시골 좋다는 지하음용수)
실내 한낮온도(17도정도) 이틀 보쌈 뒤 벗겨 형편상 일주만에 덧술
밑술상태: 물기가 촉촉, 신맛,단맛,쓴맛,떫은맛, 어떤맛이 특별히 두드러지진 않았습니다.
덧술(4월 30일)
멥쌀4kg(고두밥-한시간 반동안 물뿌려주고 뒤적거리며 충분히 쪄 식힘)
누룩200g, 물5리터(끓여식힌물) .솔잎200g
솔잎밀가루로 깨끗이 씻어 찌고 뜨거운 것은 모두 식히고 밑술과 버무려 입항

궁금증
첫번째:덧술시 실내한낮온도18도정도 지금도 20도가 넘지 않습니다.
면보덮고 항아리뚜껑을 바로 덮어 달리 술독관리 없이 그대로 두었습니다.
실온이 낮아 발효기간이 오래 걸리려니 생각은 했는데 지금(18일째) 아직 술이 고이지 않고 있고 수저로 젖히고 뜰 정도입니다.
한달은 두어야 할까요?
아니면 술빚기가 잘못된 부분이 있어 발효가 약한 것일까요?
두 번째: 술맛이 어제까진 쓴맛이 있었는데 오늘은 쓴맛이 없어지고 막걸리에서 나는 신맛이 난답니다. 왜 그런지 궁금 하답니다.
세번쩨: 그대로 맑은술 고일때까지 기다렸다 채주해도 되는건지
아니면 잘못된 부분이 있고  손 볼 방법이 있는 것인지
주인님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늘 건강하시고 경쾌한날 되십시요.

酒人

2007.05.18 23:03:35
*.46.13.27

아주 오랜 시간이 지나지 않는 한 술이 위로 올라올 것 같진 않습니다. 온도가 낮기 때문이 아니라 미생물의 증식에 문제가 있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갓 태어난 아기에게 우유를 먹이는 이유는 그렇게 해야 아기가 소화를 잘 시키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아기에게 밥부터 준다면 아기는 소화를 잘 못 시켜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 받지 못할 것입니다.

밑술을 고두밥으로 하는 것은 아기에게 처음부터 밥을 먹이는 것과 같습니다. 충분한 영양분을 공급받지 못한 미생물은 잘 자라리 못할 뿐 아니라 힘도 없습니다.

밑술을 꼭 쌀의 가루를 이용할 이유는 없지만 밑술을 빚는 이유가 미생물의 증식에 있다면, 가능한 미생물이 잘 증식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하는 것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충분한 효모가 증식되지 못해 덧술에 들어오는 많은 양의 고두밥을 소화하기에 무리가 있다고 봅니다.

누룩을 많이 넣는다고 효모 증식이 잘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지금은 누룩을 넣어 술을 고치는 것 보다는 밑술(가루종류)을 하나 더 만드셔서 지금의 술에 넣어 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그 다음은 다음에 생각하더라도 지금은 그렇게 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 연락주세요.

김정옥

2007.05.19 11:39:03
*.228.45.229

감사합니다.
그런데 가루종류의 밑술을 더하라는 말씀은
가루(설기,죽, 병)형태로 덧술을 바로 하라는것인지
아니면
말그대로 밑술을 빚어 (효모증식시켜) 넣어주라는 것인지요.

그리고 밑술을 고두밥으로 해도 술이 잘 나왔을때는 덧술시기와 좀 높은 적당한 온도였을까요?

酒人

2007.05.20 00:14:25
*.46.13.27

소량의 밑술을 해 넣으라는 것입니다. 쌀 1되에 물 2리터 정도면 되겠네요. ~^^ 오늘 밑술을 하면 내일 모래에 바로 함해 주시면 될 듯 합니다.

밑술을 고두밥으로 해도 술이 잘 나왔을 경우,,, 오염이 없이 잘 된 것 같아 보일 수 있지만 효모의 증식이 잘 이뤄 졌는지는 현미경을 들여다 보지않는 한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가장 안전한 방법을 이용해서 밑술을 빚으시는게 좋겠구요.

발효 온도는 별 상관은 없습니다. 온도가 낮으면 술이 완성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테고, 온도가 높으면 빠른 시간 안에 술이 완성될 것입니다.

김정옥

2007.05.21 07:47:54
*.228.41.148

고맙습니다.
살펴보고 해 보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01 호산춘 오늘 잡는날.. [1] 창힐 2014-04-02 3586
200 긴급 질문입니다. [3] 보리콩 2010-09-04 3583
199 탁주 만드는데 궁굼한게있어요. [1] 보해미안 2009-11-06 3582
198 전통주에 쓰이는 재료비율에 대해서 질문좀요 [2] 바나나우유 2010-08-10 3581
197 <b>증류주 만들때 꼭 알아야 할 것</b> 酒人 2006-06-08 3581
196 오랜만에 복분자 주를 만들려고 하는데 비율을 잘 모르겠습니다 ㅎ [2] 술도하가 2012-09-13 3577
195 [re] <b>가향하는 방법에 대하여...,</b> 酒人 2006-12-15 3572
194 도수가 낮아요 [2] 버지니아 2020-01-29 3567
193 석탄주에대한질문입니다 [1] 0심이 2010-09-30 3565
192 달콤한 술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1] 酒人 2006-06-01 3565
191 술이 너무 빨리 끓은것 같습니다 [1] 문석호 2010-03-25 3559
190 아랫 술... file [1] 고망고망 2009-09-02 3557
189 술빚기 Q&A 20페이지. 120번 빚은 청주에서 탄산가스가 생기면? 의문점 [2] 민속주 2012-10-22 3548
188 누룩 띄우기 Jtracey 2020-07-24 3541
187 전통주 [1] yk 2014-07-25 3541
186 질문이요 ^^ [2] 산에살다 2014-09-26 3541
185 <b>술을 언제 걸러야 하나요.? </b> 酒人 2006-12-12 3535
184 술에 넣을 물로... [2] 아침이슬 2007-02-20 3533
183 수곡 [1] 설화곡 2022-12-29 3529
182 안녕하세요! 문의드립니다! ^^ [1] 살몬 2012-04-11 3529
181 좁쌀같은 덩어리 [2] yk 2014-03-16 3523
180 언제 걸러야 할까요? ㅠ.ㅠ file [1] 랄랄 2012-05-04 3522
179 전통주 빚을 때 알코올 도수 공식 좀 알려주세요. [1] 연이김 2018-09-30 3518
178 밑술 담은지40시간 사진 임니다 file [1] 강용진 2006-12-27 3515
177 보경가주에 대한 질의 [1] 우리술이좋아 2009-11-09 3513
176 삼양주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1] 와이즈먼 2024-01-18 3512
175 첫 작품이 나올것 같습니다 [3] 까마귀날개 2009-05-15 3511
174 법적으로 이렇게 만든 술도 탁주일까요? [1] 오씨 2018-11-30 3508
173 두번째 愚問 입니다. [2] 보리콩 2010-06-16 3507
172 초일주에 대하여 [1] 대암 2007-03-01 3506
171 안녕하세요! 술에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ㅡ^ㅋ [3] 한국인 2007-03-25 3503
170 밑술의 맛은 ? 김정옥 2006-11-02 3503
169 1차 덧술을 하고 나서~ [3] 두메 2007-02-14 3500
168 밑술을 담그고 문의드립니다 [1] 우정 2007-06-12 3497
167 청주 빨리 생기게 하는 방법? [2] 오렌지컴 2016-06-24 3496
166 삼양주를 도전해 보는중.... 창힐 2012-06-24 3496
165 진행과정 보고 [1] 신원철 2007-03-25 3496
164 문의좀 드립니다 [1] 푸른별 2015-05-19 3495
163 동동주를 빚어보고 [2] 광이 2010-06-06 3493
162 가입인사 드립니다. [1] jun 2015-01-31 348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