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내부비전국(內腐秘傳麴)에 대해서</b>

조회 수 4433 추천 수 127 2007.05.09 23:26:38
내부비전국(內腐秘傳麴)

내부비전국은 1827년 <임원십육지>에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그 내용은 1591년 <준생팔전>에 있는 내용을 인용한 것입니다. 즉, 내부비전국은 중국 명대(明代)에 전해지던 누룩 제조법이 조선의 실학자 서유구에 의해 국내에 알려지게 된 것으로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서유구의 할아버지인 서명응은 조선의 대제학을 지낸 인물로서 왕의 명을 받고 수 많은 농업관련 기술을 수집하였습니다. 또한, 1755년 청나라에 다녀와 중국의 농업기술 자료도 많이 수집하게 되었는데요. 이때 가지고 온 많은 양의 서적들이 서씨 가문에 전해지면서 그의 손자인 서유구는 19세기 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는 <임원경제지>를 편찬하게 됩니다.

즉, 내부비전국이 지금 저와 여러분에게 알려진 이유는 서유구의 할어버지인 서명응 옹이 수집한 자료들이며 이러한 귀한 자료를 전해준 서유구의 <임원십육지>가 있어 가능했던 것입니다. ^^

어쨌든 내부비전국이 전해진 배경은 이렇습니다.

제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음식대관 4에 가단한 제조법이 나와있습니다.)

[ 밀가루, 녹두에다 황미를 가루 내어 함께 섞어 빚는데 둥글게 빚지 않고 네모난 모양으로 빚는다.

삼복 안에 녹두 서 말을 먼저 갈아 까불러 껍질을 물에 담가 놓고 누런 쌀 너 말을 갈아서 밀가루 백 근과 녹두 가루를 녹두 껍질물을 쳐가며 반죽을 되게 하여 밟아서 네모진 모양으로 만든다. 대광주리에 넣어 햇빛에 바랜 지 60일이면 완성된다. – 한국음식대관 4 -]


<임원십육지>에 기록된 내부비전국을 순서대로 번역해 놓은 것은 아니지만 간단한 제조법 정도는 알 수 있도록 번역해 놓은 자료입니다. 원문이 한문으로 되어 있어 원문 풀이가 쉽지 않네요. 그래서 번역된 자료를 올립니다. 원문 풀이가 완벽히 이뤄지면 자료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술 빚자. “술독” www.suldoc.com

酒客

2007.05.10 21:44:35
*.47.32.10

내부비전국이라~
완벽하게 번역되면 대단한 누룩이 나오겠습니다.
그런데 황미(누런 쌀)은 찐쌀을 애기하는 건지 아니면 현미를 말하는 건지요.
대충 재료를 정리해보면
쌀 너 말 = 64kg, 밀가루 백 근 = 60kg, 녹두 서 말 = 45kgd인데 맞는지요? 물은 녹두피를 우려서 쓰고요.

酒人

2007.05.11 07:22:36
*.46.13.27

원문에는 쌀의 껍질을 벗긴 것 이라고 하니 현미가 맞을 듯 합니다. 그리고 물은 주객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녹두의 껍질을 벗겨 녹두 껍질을 물에 담가 놓는데, 이 물을 사용하여 누룩을 반죽하는 것입니다.

브로콜리

2008.09.20 14:35:57
*.231.172.99

白麪(밀가루) 백 근, 黃米 넉 되(秫黍, 찰기장), 녹두 석 되를 먼저 녹두를 맷돌에 타서 껍질을 벗기고 물에 껍질을 담근다. 다음에 차기장을 갈아 백면과 녹두가루를 넣어 부비고, 녹두껍질 담근 물을 넣어가며 반죽한다. 이 반죽한 것을 디뎌서 실하게 만든 뒤, 거친 탁자에서 60일 동안 햇볕에 건조하는데, 삼복 더위에 하는 게 좋다. 술을 만들 때에는 멥쌀 한 石에 누룩 7 근을 사용하며, 이렇게 만든 술은 淸洌하다고 한다.---저도 원문을 보지 못하고 해석해서 좀 복잡하네요.. 대충 이런 의미이겠구나 했는데, 누가 원문 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61 술빗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독대 2013-05-07 4155
360 오늘 진달래술(두견주)과 쑥술(애주) 밑술을 빚습니다. file 酒人 2006-04-12 4152
359 애주 [1] 이선화 2006-08-04 4150
358 똑똑 똑 [2] mumu 2013-04-26 4148
357 우왕좌왕 합니다,,, 막걸리와파전 2009-02-07 4147
356 석탄주 빚고 싶네요. [1] 지량 2014-09-08 4133
355 질문이요~~ [2] 2008-12-24 4126
354 정말 이해 안가는 내용. 2 [2] [1] 민속주 2012-06-24 4125
353 전통주중에 누룩을 끓여서 담그는 종류는 없을까요? [5] 섬소년 2009-06-11 4125
352 전통주 중급강의 3. 봄철 밑술과 보쌈 [2] 酒人 2006-05-23 4125
351 <b>"지황주" 네 가지 제조법</b> [2] 酒人 2008-07-27 4124
350 식초용 막걸리를 담았읍니다 [1] mumu 2014-07-30 4123
349 전통주 여과방식에 질문있습니다!! [5] 술빚는요리사 2020-05-26 4122
348 조하주에대해서 질문 [1] 반애주가 2013-09-30 4120
347 건조 연잎 사용 질문드립니다. 뿌기뿌기 2021-12-21 4116
346 삼백주에 대하여... 酒人 2006-10-12 4115
345 채주시기 관련 질문있습니다! 성진2 2022-10-16 4113
344 누룩 만드는데.... [1] 까마귀날개 2009-04-13 4113
343 삼양주방식으로 빚는 복분자주 질문 드립니다 [4] 나라랑 2024-01-24 4111
342 발효통(플라스틱)내부 습기를 어찌하면 좋을까요? [1] 이미남 2020-02-11 4108
341 [re] 답변입니다. ~^^ 酒人 2008-10-15 4108
340 전통주 중급강의 1. 효모의 증식과 발효. 酒人 2006-05-04 4108
339 김병덕님 보세요. 쌀 5되로 술빚기입니다. 酒人 2006-04-07 4103
338 내부비전국에 대해서.... [3] 음식디미방 2007-05-09 4101
337 발효후 위에 고인 물에 대한 문의 [1] 잠자는뮤 2019-04-02 4100
336 너무 길어요 [1] mumu 2013-05-03 4100
335 방문주 [1] 알리 2015-09-11 4098
334 술빚기 기초강의 2. 도구의 선택 酒人 2006-04-04 4094
333 청주에 감미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7-27 4093
332 과일을 이용한 술 빚는 법에 관하여 질문 드립니다 [1] leon 2020-12-05 4089
331 <b>술독 바닥에 앙금이 많이 생기는 현상</b> 酒人 2007-04-23 4088
330 동동주 한번더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4-15 4080
329 단맛이 많이 납니다. [2] 섬누룩 2010-01-18 4080
328 침출주 거르기 [1] 궁금증 2015-06-01 4075
327 "銀杏酒" 에 대하여 궁금증을 풀어 주세요 surisan420 2010-10-28 4073
326 술빚을 때 알코올 도수 반애주가 2014-03-08 4071
325 술이 약간 매운듯 한데....중화시킬 방법이 없을지... [2] 박상진 2006-06-12 4070
324 누룩을 띄우는데 수분이 부족하다면... [2] 보리콩 2010-08-02 4069
323 <b>전통주 상급강의 2. 알코올의 끓는 점의 변화</b> [1] 酒人 2006-08-02 4067
322 밑술을 고두밥으로 했습니다. [1] 두더지 2018-09-28 406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