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내부비전국(內腐秘傳麴)에 대해서</b>

조회 수 4471 추천 수 127 2007.05.09 23:26:38
내부비전국(內腐秘傳麴)

내부비전국은 1827년 <임원십육지>에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그 내용은 1591년 <준생팔전>에 있는 내용을 인용한 것입니다. 즉, 내부비전국은 중국 명대(明代)에 전해지던 누룩 제조법이 조선의 실학자 서유구에 의해 국내에 알려지게 된 것으로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서유구의 할아버지인 서명응은 조선의 대제학을 지낸 인물로서 왕의 명을 받고 수 많은 농업관련 기술을 수집하였습니다. 또한, 1755년 청나라에 다녀와 중국의 농업기술 자료도 많이 수집하게 되었는데요. 이때 가지고 온 많은 양의 서적들이 서씨 가문에 전해지면서 그의 손자인 서유구는 19세기 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는 <임원경제지>를 편찬하게 됩니다.

즉, 내부비전국이 지금 저와 여러분에게 알려진 이유는 서유구의 할어버지인 서명응 옹이 수집한 자료들이며 이러한 귀한 자료를 전해준 서유구의 <임원십육지>가 있어 가능했던 것입니다. ^^

어쨌든 내부비전국이 전해진 배경은 이렇습니다.

제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음식대관 4에 가단한 제조법이 나와있습니다.)

[ 밀가루, 녹두에다 황미를 가루 내어 함께 섞어 빚는데 둥글게 빚지 않고 네모난 모양으로 빚는다.

삼복 안에 녹두 서 말을 먼저 갈아 까불러 껍질을 물에 담가 놓고 누런 쌀 너 말을 갈아서 밀가루 백 근과 녹두 가루를 녹두 껍질물을 쳐가며 반죽을 되게 하여 밟아서 네모진 모양으로 만든다. 대광주리에 넣어 햇빛에 바랜 지 60일이면 완성된다. – 한국음식대관 4 -]


<임원십육지>에 기록된 내부비전국을 순서대로 번역해 놓은 것은 아니지만 간단한 제조법 정도는 알 수 있도록 번역해 놓은 자료입니다. 원문이 한문으로 되어 있어 원문 풀이가 쉽지 않네요. 그래서 번역된 자료를 올립니다. 원문 풀이가 완벽히 이뤄지면 자료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술 빚자. “술독” www.suldoc.com

酒客

2007.05.10 21:44:35
*.47.32.10

내부비전국이라~
완벽하게 번역되면 대단한 누룩이 나오겠습니다.
그런데 황미(누런 쌀)은 찐쌀을 애기하는 건지 아니면 현미를 말하는 건지요.
대충 재료를 정리해보면
쌀 너 말 = 64kg, 밀가루 백 근 = 60kg, 녹두 서 말 = 45kgd인데 맞는지요? 물은 녹두피를 우려서 쓰고요.

酒人

2007.05.11 07:22:36
*.46.13.27

원문에는 쌀의 껍질을 벗긴 것 이라고 하니 현미가 맞을 듯 합니다. 그리고 물은 주객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녹두의 껍질을 벗겨 녹두 껍질을 물에 담가 놓는데, 이 물을 사용하여 누룩을 반죽하는 것입니다.

브로콜리

2008.09.20 14:35:57
*.231.172.99

白麪(밀가루) 백 근, 黃米 넉 되(秫黍, 찰기장), 녹두 석 되를 먼저 녹두를 맷돌에 타서 껍질을 벗기고 물에 껍질을 담근다. 다음에 차기장을 갈아 백면과 녹두가루를 넣어 부비고, 녹두껍질 담근 물을 넣어가며 반죽한다. 이 반죽한 것을 디뎌서 실하게 만든 뒤, 거친 탁자에서 60일 동안 햇볕에 건조하는데, 삼복 더위에 하는 게 좋다. 술을 만들 때에는 멥쌀 한 石에 누룩 7 근을 사용하며, 이렇게 만든 술은 淸洌하다고 한다.---저도 원문을 보지 못하고 해석해서 좀 복잡하네요.. 대충 이런 의미이겠구나 했는데, 누가 원문 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22 호산춘 2차덧술 시기? 돌돌이 2008-06-13 5359
321 수율이 너무 작아 덧술후 쌀죽을 넣었읍니다. [2] 우리술이좋아 2011-03-10 5364
320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3 file [3] aladinn 2015-03-06 5364
319 [re] 답변입니다. ^^ [5] 酒人 2006-05-11 5369
318 용수박는 시기 질문드립니다~ file [2] synop 2015-05-17 5376
317 밑술과 덧술의 비율 [1] 좋은막걸리 2016-08-03 5388
316 발효후 온도? [1] mssports 2014-12-19 5391
315 동동주를 하루에1~2회 저어 주어야 하나요 [1] 찬채짱 2008-12-11 5394
314 [re] 김태원님 보세요.~ [5] 酒人 2006-04-25 5398
313 덧술을 계속 해주면 어떻게 되나요? [1] 오늘같은내일 2020-10-18 5403
312 막걸리 제조장 환경은 어떻게 해야될까요? 에옹데옹 2021-06-11 5411
311 밑술은 효모의 증식이 주 목적이죠? [2] 이미남 2024-01-05 5415
310 증류기 파는곳 없을까요. [2] 호랭이 2009-09-15 5421
309 저온 발효 질문 [1] 오렌지컴 2014-12-07 5423
308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酒人 2006-01-12 5441
307 전내기와 술지게미를 이용해서 한 번 더 술을 [3] 술빚는요리사 2020-07-07 5442
306 소주만들기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알려줄께 2020-11-07 5444
305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 [1] 케팔로스 2018-09-18 5448
304 24일이 지났습니다. [2] 막걸남 2011-03-26 5453
303 증식기때 알콜생성? [1] sul4u 2013-07-07 5455
302 밑술 끓은지 12시간만에 덧술도 가능한가요 file [1] 瑞香 2017-03-19 5455
301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mekookbrewer 2021-11-18 5457
300 <b>누룩만들기 제 3장 &#8211; 성형하기</b> [1] 酒人 2007-10-23 5458
299 이양주 덧술 문의드립니다 [1] 막이 2021-08-26 5463
298 <b>누룩만들기 제 4장 &#8211; 누룩 밟기</b> [5] 酒人 2007-10-24 5476
297 냉장보관 유통기한 및 동전춘 만들기 [1] 엄대장 2012-04-06 5481
296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석탄주 2008-09-22 5482
295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비설 2008-12-05 5484
294 오양주 효모 [4] mekookbrewer 2020-12-22 5485
293 삼양주(불패주) 조언 부탁드립니다. [2] 케이원 2014-04-21 5492
292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493
291 호산춘 표면의 노란 부유물 질문입니다. file charlie 2022-01-14 5500
290 술끓는 소리의 차이점 file [2] 바람의딸 2012-04-22 5502
289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504
288 삼양주 담다가 ... 문제가 생겼습니다. ㅠㅠ [2] 곡향 2015-08-20 5508
287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509
286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510
285 밑술이 발효가 안되고 물이 안생김 [1] 감금중 2020-11-26 5510
284 발효시킬떄 뚜껑 [2] mekookbrewer 2020-12-02 5518
283 이양주빚을때... [2] 강하주 2014-03-17 552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