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생각하기 - 술이 끓어 넘치는 이유는...</b>

조회 수 5278 추천 수 43 2007.03.05 00:52:03
술이 끓어 넘치는 이유는...


밑술과 덧술로 이루어진 이양주에서는 발효조가 너무 작다면 모를까 넘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술이 추체할 수 없을 정도로 넘치는 경우는 대부분 삼양주에서 발생합니다.

누룩에 있는 소량의 효모들이 밑술을 통해 대량으로 증식하게 됩니다. 이때 커다란 고두밥이 들어오면 효모들이 먹이가 커서 잘 먹지 못합니다. 우유를 먹는 아이들에게 밥을 주는 것과 같죠.

문제는 쌀가루를 이용한 밑술에다가 다시 밑술과 같은 방식으로 미생물에게 밥을 해서 넣어주면 술덧의 부피가 폭발적으로 커지게 됩니다. 배고픈 아이들에게 먹기 쉬운 먹이를 주니까 살판난거죠.^^ 그런데다가 단 몇 시간만 지나면 미생물의 수는 밑술에서 증식한 미생물의 수보다 훨씬 많은 양의 미생물이 다시 증식하게 됩니다. 그러면 발효조 안에서는 난리가 나겠죠. 먹이도 빨리 떨어질 것입니다.

수 많은 미생물들이 증식을 해서 순간적으로 움직인다고 생각해 보세요. 그 힘이 술덧을 위로 밀어 올리는 것입니다. 그럼 술덧이 왜 위로 올라올까요. 간단하죠. 발효조 아래는 막혀있고 위는 뚫려 있으니 위로 올라오는 것이죠. 그런데 발효조의 높이가 낮으면 충분히 넘처 버리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오염 현상은 아닙니다.

오히려 술이 끓어 넘치게 되면 밑술이 아주 잘 된 것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음에 빚을 때 이러한 것을 잘 기록해 두었다가 참고하여 술을 빚으면 아주 좋은 술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옛 고문헌에도 보면 술이 넘치는 기록이 자주 등장합니다. “술이 쉽게 넘치니 큰 독에 담아라.”, “항아리 주둥이에 시루를 올려 놓아라.” 등과 같이 그 옛날에도 이러한 문제가 생겼던 것입니다. 따라서 술이 넘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덧술에서 큰 독을 사용해야 하는 것입니다.

덧술은 그렇다 치고 2차 덧술을 해도 넘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앞에 설명한 것과 약간은 다른데요. 미생물의 활동이나 그런 것은 같지만, 다른 점 하나는 고두밥이 들어가면서 밥 알갱이가 더욱 많은 양의 수분을 흡수하게 됩니다. 그러면 몇 시간되지 않아서 술덧의 부피가 최고로 팽창하게 됩니다. 이때, 항아리가 크지 않고나 항아리 입구를 꽉 막아 놓으면 뚜껑이 깨지거나 집안이 술 바다가 됩니다.^^

삼양주를 빚으면 술은 맛있게 잘 되지만 이런 세심한 주의를 하지 못하면 술 맛도 보기 전에 방부터 치워야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술이 끓어 넘치는 술은 잘 기록해 놓아야 한다.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63 <b>[re] 복분자주 숙성 답변입니다. </b> [2] 酒人 2007-07-05 6436
162 술 늦게 걸르면? file [2] 제천인어공주 2012-07-02 6437
161 밑술을 찹쌀로 해버렸는데... [2] 산에살다 2016-06-11 6443
160 소주만들기 할 때 언제까지 소주 받아야 하나? file [3] 아침에술한잔 2007-03-26 6446
159 현미 막걸리 봐 주세요 ㅠ ㅠ file [1] 瑞香 2015-07-01 6456
158 삼양주 쓴 뒷맛 [4] mekookbrewer 2020-09-22 6481
157 이양주가 익는중 문제가 생겨 문의 드립니다! file [5] 이규민 2018-06-05 6498
156 단맛보다 신맛이... [1] 마중물 2008-12-17 6501
155 덧술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5-13 6502
154 불패주 알코올 도수 낮추기 [1] yk 2013-11-30 6502
153 이양주 담았습니다. 상태 봐 주세요 file [2] 瑞香 2015-08-14 6514
152 전통중[서 증류소주 제조방법이랑 증류소주 만든 후 좋은 숙성방법좀 부탁합니다. [1] 약초맨 2013-06-24 6523
151 생막걸리 장기보관을 위한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1] Jack39 2023-10-21 6546
150 단양주가 신맛이 날 때 살리는 방법에 대한 고찰 ㅠㅠ도와주세요 [1] 요리조리 2020-05-27 6567
149 <b>누룩만들기 제 8장 &#8211; '젖산' 이야기</b> [2] 酒人 2007-11-19 6568
148 밑술 덧술 발효 온도 궁금합니다 [1] 오렌지컴 2014-12-06 6571
147 청주를 빚고 있는데요. 그냥 한번 봐주고 평가해주세요. [4] 기록하는자 2015-12-20 6574
146 혐기성 발효가 진행되는 것 같지 않습니다.ㅠ_ㅠ file [2] 리볼트 2021-01-11 6579
145 안녕하세요!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 [1] 희진 2023-10-09 6584
144 삼양주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2] 에어컨 2021-06-17 6627
143 늙은 호박으로 호박주를 담그고 싶은데 알려주세요.. [1] 강술 2011-01-02 6637
142 계절별 빚는 주조법 질문 [1] 키키요 2021-04-06 6659
141 만들고있는 이화곡의 상태에대해 물어보고싶습니다 file [1] Binmo 2023-09-11 6660
140 백국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2] 두메 2011-01-20 6673
139 단양주 층 분리 [2] 아보카도요거트 2020-11-25 6675
138 맵쌀로만 빗은 삼양주--시험 file [1] 도사 2009-03-13 6683
137 막걸리 제조와 판매 둘레길 2013-06-05 6695
136 술 증류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김상현 2006-05-10 6701
135 불패주 레시피를 보다가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2] 감초 2011-12-16 6704
134 전통주 교과서 이양주 레시피 질문드립니다. [1] 뿌기뿌기 2021-08-26 6704
133 희석주 관련 질문입니다. [4] 김기욱 2006-06-14 6707
132 삼양주 술 거르는 시기? file [2] cocomumu 2018-05-30 6708
131 삼양주 밑술에 관하여 [1] mumu 2013-05-31 6725
130 막걸리 담그기 file [1] [6] 오타와 저스튼 2012-12-15 6757
129 <b>전통주 중급강의 6. 술 거르는 시기</b> [1] 酒人 2006-07-15 6782
128 <b>밀가루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b> [2] 酒人 2007-02-28 6788
127 옻 삶은 물로 막걸리 빚을수 있으까요? [2] 지량 2013-12-05 6790
126 술찌게미는 꼭 걸러야 하나요? [2] anakii 2013-10-16 6793
125 주인님 사진의 이양주 거름시기 좀 가르쳐 주세요 file [2] 瑞香 2015-08-23 6797
124 저온 발효 외부, 품온 온도 문의 [1] 머쓱타드 2023-08-12 682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