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조회 수 5455 추천 수 45 2007.02.15 14:01:56
지금 2차 덧술을 하고서 이렇게 또 질문을 합니다

찹쌀의 량은 10kg으로 하였고 고두밥을 만든다음 충분히 식힌후에
밑술과 잘 혼합되게 해서 제자리에 놓아 두었습니다

현제 술독 온도는 약 25도정도로 유지하고 있는데요
덧술후에는 관리를 어떻게 해야 합니까?
술은 언제쯤 완성이 되는지요?

그리고 덧술을 할때 술이 끓고 난후 바로 하지 않고 천천히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

아고고 진짜로 모르는 것이 너무 많당다 그쵸?

수리조아

2007.02.15 15:19:19
*.215.116.13

아무리 몰라도 찹쌀 10키로 고두밥 만드는 일은 내공이 쌓였군요 나는 한번 찌는데 2키로 밖에 안되 거든요/한번에 하시는지 궁금/고두밥 찌는일이 제일 큰일 입니다 나머지는 쉽지요

두메

2007.02.15 15:44:06
*.194.228.21

ㅎㅎ 이곳은 시골인데요^^ 가마솥에다 고두밥을 찐답니다

수리조아

2007.02.15 17:31:05
*.215.116.13

시골 , 가마솥 , 두메 모두 우리의 전통 멋과 맛이 묻어나옵니다 좋습니다/열심히 배우세요

酒人

2007.02.15 23:28:47
*.72.197.19

현재 온도라면 10일 이내에 술이 완성될 것입니다. 술독과 술덧 사이로 술이 고이기 시작하면 용수를 박던가 술을 걸러 큰 유리 용기에 담아 놓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게 해 놓았다가 술이 아주 맑아지면 사용합니다.

덧술을 할때 술이 끓고 난 후 덧술을 바로 하지 않는다..?

이것은 제가 정확히 언제 하는지 정해 놓지 않고 있는데요. 중요한 것은 미생물들이 먹을게 부족하면 덧술을 한다는 것입니다. 밑술에 들어가는 물과 곡물, 누룩의 양에 따라 덧술시기가 달라지는데 그것은 자주 보고 눈으로 확인하여 익히는 것이 가장 올바른 방법입니다.

3일 후에 덧술을 하라는 것은 그 정도 됐을 때 미생물이 가장 배가 고플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 가만히 술독에 귀를 귀울이세요. 배고프다고 말 할거에요.~

자연사랑

2007.02.16 00:08:38
*.191.87.31

내손으로 술을 담가놓고
술이 익어가는걸 관찰하는 재미가 솔솔 하시겠습니다
저도 두메님처럼 물좋은 시골에서 술도빚고 장도 담그면서
그렇게 살고싶은데 마눌님의 완강한 반대로 뜻을 못이루고 있답니다. 술 맛나게 담그세요 ^^

아침에술한잔

2007.02.16 00:25:29
*.13.66.64

귀를 술독에 가져가면 술이 보글보글 끓는 소리가 들리던데
디카 가지고 계시면 5일 정도 후에 사진 좀 올려주십시오
10kg의 고두밥이면 상당한 양인데 정말 대단하십니다.
술덧 버무리기도 좀 힘들 것 같습니다.
맛있는 술 기대합니다.

두메

2007.02.16 08:50:25
*.107.119.12

주인님~ 늘 감사합니다
수리조아님,자연사랑님,아침에술한잔님 반갑습니다^^*

술이 되는 시간이 꽤나 걸이는군요^^
나는 설에 먹을수 있을까 했는데^^

술이 끓고 나면 술독을 찬 곳으로 옮겨야 하는지요?
그리고 용수를 박아두고 청주를 떠내어서는 냉장고에 보관을 해야 하나요? ㅋㅋㅋ 모든 것이 의문 투성이입니다~~

수리조아

2007.02.16 15:56:22
*.176.140.25

온도가 높으면 술이 빨리됩니다 그많은 양이 한번에 필요하지 않으면 급하지 않은 술은 저온으로 장기숙성 하는것이 맛이 있다고 해서 제 경우는 밑술에서 2차덧술 하고 냉장고까지 한달 이상 걸립니다 / 2차덧술후 5일 정도 지나고 일부를 이용하여 3차 덧술하여 술맛이 얼마나 좋아지는지도 해보면 재미가 있겠지요

두메

2007.02.16 16:48:58
*.224.15.68

제 상식으로는 막걸리(농주)는 오래 보관을 할수 없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이렇게 빚은 술은 개념이 막걸리 하고는 다른가요? 창주는 상온에서 보관이 가능한가요? ㅎㅎ

너무 모르죠? 그쵸?

수리조아님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酒人

2007.02.16 19:04:02
*.188.85.106

우리가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병맥주의 경우 유통기한이 1년입니다. 맥주는 알코올도수가 낮기 때문에 막걸리와 같이 오래 보관할 수 없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1년 동안 냉장보관이 가능한 이유는 살균을 했기 때문입니다.

즉, 술 속에 있는 미생물에 의해 술이 부폐를 일으키는데 살균을 통해 술 속에 있는 균들을 모두 사멸시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래 보관할 수 있는 것이죠. 시중에서 구입하는 대부분의 술들은 이렇게 살균을 해서 병입을 하게 됩니다.

우리가 일반 가정에서 만드는 술은 좀 다르죠. 살균을 하지 않기 때문에 미생물에 의해 부폐가 빨리 오는 편입니다. 그러나 냉장고에 보관하게 되면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들은 1년이 지나도 술의 변질이 많지 않습니다. 즉, 낮은 온도에서는 미생물에 의한 변질이 심하지 않기 때문에 오래 보관할 수 있는 것이지요.

쉽게 이야기해서 여름에 식중독에 많이 걸리는 이유는 그만큼 잡균의 활동이 많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줄이기 위해 찬 곳에 보관을 하는 것이지요. 청주, 막걸리 다 마찬가지 입니다. 잡균에 의한 술의 변질을 막기 위해서는 찬 곳에 보관을 해야 합니다.

두메님께서 술독이 끓고 나면 찬 곳으로 옮겨야 하는지를 물으셨는데요.

술이 끓는 것이 멈추는 시기는 일단 소리로 알 수 있습니다. 소리가 점차 줄어들고 술이 위로 올라오면 가능한 찬 곳으로 옮겨 놓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술의 변질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술이 빨리 맑아집니다. 찬 곳에서는 술 속에있는 부유물질들이 응축이 되서 빨리 갈아 앉게 되는 것입니다.

두메

2007.02.16 22:50:04
*.199.37.98

^^* 감사^^ 감사합니다
속이 다 후련 합니다^^
배우고 익히면 이 또한 즐겁지 아니하랴~~~~^^*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61 밑술에서 쌀죽과 범벅에 가수량? [1] 오렌지컴 2014-09-14 5671
760 술 쉰내 [2] mekookbrewer 2021-06-02 5657
759 밑술의 적정온도와 포도주빚기입니다. [4] 酒人 2006-09-15 5645
758 밑술과 덧술시 재료에 대하여 [2] 우리술이좋아 2010-01-27 5640
757 술 다 익은 정도 확인 방법 [1] 난소녀다 2023-02-14 5633
756 삼양주 고두밥 덧술 후 22일 째 강한 알콜향 [1] 감금중 2020-12-20 5631
755 발효기간? 궁금합니다. [4] 김정옥 2007-05-18 5625
754 층분리가 안되는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file [1] 주미 2023-05-30 5614
753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 file [3] aladinn 2015-02-26 5611
752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酒人 2008-09-18 5609
751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원삼규 2006-12-27 5602
750 안녕하세요 전통주 초보자인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2] 마늘이 2022-05-26 5578
749 씨앗술 만들기. [2] 창힐 2012-08-14 5572
748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민속주 2013-05-05 5568
747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얄리야리 2021-02-09 5561
746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9-03 5539
745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515
744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이탁배기 2019-05-30 5506
743 누룩 보관기간 [1] 파랑보라 2023-05-31 5487
742 술독의 진정성...밥으로 만드는 술은? [4] 아리랑 2012-03-04 5486
741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5479
740 발효와 온도 [2] 포수 2013-06-24 5477
»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455
738 저온숙성중 맛의 변화 [2] Kimeric 2023-06-29 5451
737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446
736 향온주 빚을때... file [2] 보리콩 2011-02-01 5442
735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428
734 제맘대로 단양주? [2] 오야봉 2009-03-20 5410
733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비설 2008-12-05 5407
732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405
731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405
730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나이스박 2012-03-13 5404
729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석탄주 2008-09-22 5399
728 효모에 대해... [2] sul4u 2013-06-28 5398
727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2] mekookbrewer 2021-01-19 5394
726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382
725 술거르는 시기? file [2] 나이스박 2014-04-03 5381
724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380
723 범벅에 사용하는 쌀가루 습식? 건식? [3] 연필꽂이 2020-09-29 5367
722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웃는구야 2012-08-29 536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