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조회 수 5444 추천 수 45 2007.02.15 14:01:56
지금 2차 덧술을 하고서 이렇게 또 질문을 합니다

찹쌀의 량은 10kg으로 하였고 고두밥을 만든다음 충분히 식힌후에
밑술과 잘 혼합되게 해서 제자리에 놓아 두었습니다

현제 술독 온도는 약 25도정도로 유지하고 있는데요
덧술후에는 관리를 어떻게 해야 합니까?
술은 언제쯤 완성이 되는지요?

그리고 덧술을 할때 술이 끓고 난후 바로 하지 않고 천천히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요? ^^*

아고고 진짜로 모르는 것이 너무 많당다 그쵸?

수리조아

2007.02.15 15:19:19
*.215.116.13

아무리 몰라도 찹쌀 10키로 고두밥 만드는 일은 내공이 쌓였군요 나는 한번 찌는데 2키로 밖에 안되 거든요/한번에 하시는지 궁금/고두밥 찌는일이 제일 큰일 입니다 나머지는 쉽지요

두메

2007.02.15 15:44:06
*.194.228.21

ㅎㅎ 이곳은 시골인데요^^ 가마솥에다 고두밥을 찐답니다

수리조아

2007.02.15 17:31:05
*.215.116.13

시골 , 가마솥 , 두메 모두 우리의 전통 멋과 맛이 묻어나옵니다 좋습니다/열심히 배우세요

酒人

2007.02.15 23:28:47
*.72.197.19

현재 온도라면 10일 이내에 술이 완성될 것입니다. 술독과 술덧 사이로 술이 고이기 시작하면 용수를 박던가 술을 걸러 큰 유리 용기에 담아 놓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게 해 놓았다가 술이 아주 맑아지면 사용합니다.

덧술을 할때 술이 끓고 난 후 덧술을 바로 하지 않는다..?

이것은 제가 정확히 언제 하는지 정해 놓지 않고 있는데요. 중요한 것은 미생물들이 먹을게 부족하면 덧술을 한다는 것입니다. 밑술에 들어가는 물과 곡물, 누룩의 양에 따라 덧술시기가 달라지는데 그것은 자주 보고 눈으로 확인하여 익히는 것이 가장 올바른 방법입니다.

3일 후에 덧술을 하라는 것은 그 정도 됐을 때 미생물이 가장 배가 고플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 가만히 술독에 귀를 귀울이세요. 배고프다고 말 할거에요.~

자연사랑

2007.02.16 00:08:38
*.191.87.31

내손으로 술을 담가놓고
술이 익어가는걸 관찰하는 재미가 솔솔 하시겠습니다
저도 두메님처럼 물좋은 시골에서 술도빚고 장도 담그면서
그렇게 살고싶은데 마눌님의 완강한 반대로 뜻을 못이루고 있답니다. 술 맛나게 담그세요 ^^

아침에술한잔

2007.02.16 00:25:29
*.13.66.64

귀를 술독에 가져가면 술이 보글보글 끓는 소리가 들리던데
디카 가지고 계시면 5일 정도 후에 사진 좀 올려주십시오
10kg의 고두밥이면 상당한 양인데 정말 대단하십니다.
술덧 버무리기도 좀 힘들 것 같습니다.
맛있는 술 기대합니다.

두메

2007.02.16 08:50:25
*.107.119.12

주인님~ 늘 감사합니다
수리조아님,자연사랑님,아침에술한잔님 반갑습니다^^*

술이 되는 시간이 꽤나 걸이는군요^^
나는 설에 먹을수 있을까 했는데^^

술이 끓고 나면 술독을 찬 곳으로 옮겨야 하는지요?
그리고 용수를 박아두고 청주를 떠내어서는 냉장고에 보관을 해야 하나요? ㅋㅋㅋ 모든 것이 의문 투성이입니다~~

수리조아

2007.02.16 15:56:22
*.176.140.25

온도가 높으면 술이 빨리됩니다 그많은 양이 한번에 필요하지 않으면 급하지 않은 술은 저온으로 장기숙성 하는것이 맛이 있다고 해서 제 경우는 밑술에서 2차덧술 하고 냉장고까지 한달 이상 걸립니다 / 2차덧술후 5일 정도 지나고 일부를 이용하여 3차 덧술하여 술맛이 얼마나 좋아지는지도 해보면 재미가 있겠지요

두메

2007.02.16 16:48:58
*.224.15.68

제 상식으로는 막걸리(농주)는 오래 보관을 할수 없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이렇게 빚은 술은 개념이 막걸리 하고는 다른가요? 창주는 상온에서 보관이 가능한가요? ㅎㅎ

너무 모르죠? 그쵸?

수리조아님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酒人

2007.02.16 19:04:02
*.188.85.106

우리가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병맥주의 경우 유통기한이 1년입니다. 맥주는 알코올도수가 낮기 때문에 막걸리와 같이 오래 보관할 수 없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1년 동안 냉장보관이 가능한 이유는 살균을 했기 때문입니다.

즉, 술 속에 있는 미생물에 의해 술이 부폐를 일으키는데 살균을 통해 술 속에 있는 균들을 모두 사멸시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래 보관할 수 있는 것이죠. 시중에서 구입하는 대부분의 술들은 이렇게 살균을 해서 병입을 하게 됩니다.

우리가 일반 가정에서 만드는 술은 좀 다르죠. 살균을 하지 않기 때문에 미생물에 의해 부폐가 빨리 오는 편입니다. 그러나 냉장고에 보관하게 되면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들은 1년이 지나도 술의 변질이 많지 않습니다. 즉, 낮은 온도에서는 미생물에 의한 변질이 심하지 않기 때문에 오래 보관할 수 있는 것이지요.

쉽게 이야기해서 여름에 식중독에 많이 걸리는 이유는 그만큼 잡균의 활동이 많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줄이기 위해 찬 곳에 보관을 하는 것이지요. 청주, 막걸리 다 마찬가지 입니다. 잡균에 의한 술의 변질을 막기 위해서는 찬 곳에 보관을 해야 합니다.

두메님께서 술독이 끓고 나면 찬 곳으로 옮겨야 하는지를 물으셨는데요.

술이 끓는 것이 멈추는 시기는 일단 소리로 알 수 있습니다. 소리가 점차 줄어들고 술이 위로 올라오면 가능한 찬 곳으로 옮겨 놓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술의 변질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술이 빨리 맑아집니다. 찬 곳에서는 술 속에있는 부유물질들이 응축이 되서 빨리 갈아 앉게 되는 것입니다.

두메

2007.02.16 22:50:04
*.199.37.98

^^* 감사^^ 감사합니다
속이 다 후련 합니다^^
배우고 익히면 이 또한 즐겁지 아니하랴~~~~^^*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61 삑삑한 술 고치기 [1] yk 2014-03-28 3512
760 문의드립니다 file [2] 瑞香 2016-02-13 3512
759 술에 넣을 물로... [2] 아침이슬 2007-02-20 3514
758 <b>술을 언제 걸러야 하나요.? </b> 酒人 2006-12-12 3515
757 오랜만에 복분자 주를 만들려고 하는데 비율을 잘 모르겠습니다 ㅎ [2] 술도하가 2012-09-13 3515
756 급합니다. 우리아이좀 살려주세요. file [1] 치어스 2018-04-30 3516
755 전통주에 쓰이는 재료비율에 대해서 질문좀요 [2] 바나나우유 2010-08-10 3519
754 석탄주에대한질문입니다 [1] 0심이 2010-09-30 3520
753 아랫 술... file [1] 고망고망 2009-09-02 3527
752 이양주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2-10-29 3529
751 달콤한 술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1] 酒人 2006-06-01 3530
750 초일주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3] synop 2015-05-07 3532
749 빚은 삼양주를 먹으면 두통이 생기는데 ㅜㅡ [2] jiyoon88 2020-05-24 3534
748 여러가지 의문 점 [2] 민속주 2012-10-31 3535
747 단호박술 거르는 시기 궁금합니닷. file [2] 바다뜰 2019-11-11 3535
746 긴급 질문입니다. [3] 보리콩 2010-09-04 3537
745 [re] 답변입니다. [1] 酒人 2010-10-17 3548
744 탁주 만드는데 궁굼한게있어요. [1] 보해미안 2009-11-06 3550
743 [re] <b>가향하는 방법에 대하여...,</b> 酒人 2006-12-15 3552
742 고맙습니다 [1] yk 2013-12-03 3553
741 청주만들기2 [2] 우리술이좋아 2010-01-22 3555
740 <b>증류주 만들때 꼭 알아야 할 것</b> 酒人 2006-06-08 3559
739 이상한 맛과 향의 고구마 막걸리 질문입니다. 곡차 2022-10-02 3559
738 1. 2차 덧술할때 누룩과 항아리 [1] 두영 2010-05-14 3564
737 씨앗술이 왜?? file [2] 제천인어공주 2012-10-09 3571
736 삼양주 만들고 있는데 질문 드립니다. [1] 썬연료 2023-11-22 3573
735 쌀과 누룩 질문 [1] 식초나라 2013-03-06 3576
734 술의 유지 방법. [2] 눈사람 2010-03-22 3577
733 삼양주 만들어보기 루시 2020-07-01 3578
732 주인님, 아래 제 글 "청주 보관에 대한 문의" 에 대한 답변 좀... 해난 2010-06-08 3582
731 <b>여름에는 술을 어떻게 빚나요.??</b> 酒人 2006-07-10 3587
730 막걸리 공장에서 술재조 공정 궁금 [2] 오렌지컴 2014-06-14 3588
729 씨앗술과 밑술의 차이가 뭘까요 [1] PJC0405 2023-12-04 3596
728 바닥 찌꺼기를 [1] 박창수 2007-01-16 3600
727 맑은술 [1] 이반 2018-12-24 3601
726 초일주 문의 [1] 대암 2007-02-01 3607
725 누룩양좀 봐주세요 [1] 쵸이 2019-02-11 3614
724 주인님이 가르쳐준 방법 중 의문사항 질의 ㅎㅎ~ [4] 두메 2007-02-23 3617
723 용수 사용법 [2] 장돌뱅이 2019-10-31 3617
722 오늘 술빚기에 들어갑니다. 비설 2008-12-12 362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