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쌀 죽으로 밑술 담글때 죽 아래가 약간 타게 되면?

조회 수 4822 추천 수 51 2007.01.10 22:29:34
쌀 가루를 내기 귀찮을 때  그냥 쌀죽을 가지고 밑술을 빚으면

편하다는 주인장님의 글을 예전에 보았는데

금일 쌀죽을 끊여 보았습니다.

쌀 1.6kg(2되)를 깨끗이 씻은 다음 물을 9리터 정도 넣고
죽을 쑤었는데, 약간 불조절을 잘못하여 밑이 조금 타서 눌러 붙었네요
다행이 탄 냄새는 거의 없는듯 한데

술 담을때 죽이나 밥을 찔때 타게 되면 술에 탄 냄새가 베어들어
술향을 헤칠까봐서 태우면 안되는 건가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습니까 ?

죽을 쑤는 경우에 불 조절을 잘못하면 태우기 쉽던데
혹시 주인장님은 태운적 없나요?

마지막으로 위의 쌀 1.6kg에 물 9리터로 죽을 쑤니까 양이
상당히 많이 됩니다.
누룩의 양을 1되는 작지 않을까 싶은데
괜찮을 까요

酒人

2007.01.10 23:39:24
*.188.87.34

태운적도 있구요. 태워서 버린 적도 있어요.^^

태운 죽으로 술을 해도 별 상관은 없습니다. 그런데 많이 태우면 탄 향이 술이 완성되도 탄 냄시가 납니다. 그러니 가급적 태우지 않는 것이 좋구요.

죽이 탄다면 어떤 결과가 생길까..

일단 죽이 타게 되면 죽을 만들기 위해 넣은 쌀의 양이 많이 줄어들겠죠.? 그럼 줄어 둔 양 만큼 미생물들이 먹을 것이 줄어들게 되는 것입니다. 미생물의 먹을 거리가 줄어든다는 이야기는 좀 더 빠르게 덧술을 해야한다거나 하는 응용이 필요할 것입니다.

누룩 500g(1되)로 충분합니다. 대신 쌀죽과 누룩을 많이 혼합해 줘야 합니다. 그리고 너무 차갑게 발효를 시키면 술덧 표면이 굳어버릴 수 있으니 가급적 20도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쌀죽으로 빚는 밑술은 술 표면에 골마지 현상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죽을 완전히 푹 익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원삼규

2007.01.12 23:50:39
*.13.66.96

쌀죽으로 밑술을 담은지 40시간 정도 지났는데 주인장님 말씀처럼 골마지 현상이 많은 것 같습니다. 죽이 푹 익도록 하긴 했는데도 말입니다.
신년회 가기 전에 덧술을 할 예정인데, 범벅으로 덧술을 해 볼까 합니다. 술 양이 너무 많아서 어떻게 처리할까 고민이 되기도 합니다. 설날에 쓸 수 있으련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81 여과 중 술이 싱거워지는 이유와 예방법 [2] 酒人 2006-07-19 5086
680 엿술의 단맛은? [2] 농부의 아내 2009-03-17 5084
679 [re] 술 담그는 방법 [1] 酒人 2008-10-27 5074
678 걸려 내는 시기 이미 걸러낸 술 단맛 탄산 첨가 방법 file [1] 오오오오오오어오 2022-01-23 5068
677 술 거르는 시기 [1] aladinn 2015-03-26 5067
676 단양주와 이양주 보관에 대하여.... (병과 플라스틱통) [2] 서련 2018-09-29 5065
675 석임과 씨앗 술의 차이는? [2] 오렌지컴 2015-01-05 5063
674 누룩 보관기간 [1] 파랑보라 2023-05-31 5058
673 술 걸르다보면 걸죽한 요구르트같은것일때,쉰맛,쌀맛에 대해서 [1] 창힐 2013-09-09 5058
672 이양주에서 삼양주로... [4] johnfrankl0 2012-05-31 5050
671 물의 양에 관한 질문 [1] 북성 2014-01-24 5045
670 석탄주를 만들엇는데 왜이런건지? [1] [1] 창힐 2012-08-23 5043
669 저온숙성중 맛의 변화 [2] Kimeric 2023-06-29 5038
668 습식쌀가루 vs 건식쌀가루 [3] KoreanBrewers 2019-04-03 5036
667 동물성 재료를 가지고 누룩제조가 가능할까요? [3] 어화둥둥 2007-06-02 5036
666 삼양주 담다가 ... 문제가 생겼습니다. ㅠㅠ [2] 곡향 2015-08-20 5033
665 전통주 기초강의 5. 누룩의 역활 酒人 2006-03-18 5030
664 제대로 되어가는 술맛은 어떻게 변해가나요? [3] 상갑 2008-12-23 5017
663 모주 만들기를 희망하며.. [1] honeyglaze 2013-07-10 5015
662 <b>독한 술은 어떻게 만드나?</b> [6] 酒人 2006-06-01 5011
661 누룩만들기 [1] 반애주가 2013-04-29 5009
660 전통주 기초강의 6. 발효주와 증류주 酒人 2006-03-18 5009
659 <b>기본기 키우기 - 술의 양 계산하는 방법</b> 酒人 2007-02-22 5005
658 집에서 술 빚는 것이 힘든가요?? 酒人 2006-01-12 5004
657 누룩 사진 한 번 봐주세요. file [2] 비니 2010-12-06 5003
656 오양주 효모 [4] mekookbrewer 2020-12-22 5000
655 생애 처음으로 술을 빚었습니다 file [1] 석탄 2009-03-07 4995
654 술에서 깨게 하고 취하지 않게 하는 것 酒人 2006-11-14 4994
653 이양주빚을때... [2] 강하주 2014-03-17 4986
652 고두밥과 섞기전에 누룩을 뜨거운 물에 담궜는데 괜찮을까요? [1] 김수한무 2013-07-24 4984
651 증류주 보관법... [1] 도리버섯 2016-03-24 4982
650 밑술 끓은지 12시간만에 덧술도 가능한가요 file [1] 瑞香 2017-03-19 4980
649 삼양주(불패주) 조언 부탁드립니다. [2] 케이원 2014-04-21 4978
648 술담는 방법 질문입니다. [2] 술 사랑 2014-12-05 4976
647 송학곡자 박상근사장과 인터뷰 글 중에서 청주sam 2007-09-22 4972
646 탁주를 만드는 중 여러가지 궁금한점이 생겨서 여쭤봅니다. [1] 희진 2023-03-21 4968
645 단양주 신맛 [1] 시골술쟁이 2018-09-15 4966
644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mekookbrewer 2021-11-18 4959
643 <b>전통주 상급강의 1. 효모의 세대시간과 증식</b> [1] 酒人 2006-07-22 4950
642 전내기와 술지게미를 이용해서 한 번 더 술을 [3] 술빚는요리사 2020-07-07 4946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