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re] 답변입니다. </b>

조회 수 5001 추천 수 95 2007.01.07 19:12:45
1. 덧술 할때 고두밥을 쪄서 하는데, 보통 찹쌀을 많이 사용하는데
    찹쌀과 멥쌀로 했을 때의 차이점이 무엇입니까?
    어머님 말로는 멥쌀로 고두밥 찌기가 어렵고 찹쌀이 잘 쪄진다던데.
    그외에 찹쌀은 약간 쓴 맛이 있던데요(찰떡 같은게)
    그게 술맛에 영향을 줄까요.


->예, 큰 영향일 미칩니다. 우리가 술을 빚을 때 쌀을 이용하는 이유는 쌀 속에 전분이 있기 때문이죠. 그런데 이 전분이 딱 한가지 종류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아밀로오스라는 전분과 아밀로펙틴이라는 전분이 쌀 속에 들어있는데, 이 두 전분의 함유량에 따라서 술의 맛에 차이를 가져오게 되는 것입니다.

멥쌀에서는 쌀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7-34% 정도의 아밀로오스와 나머지는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아밀로오스의 양이 많이 포함되어 있을수록 쌀로 밥을 하면 푸석푸석하고 윤기(점성)가 없게 되고, 아밀로오스의 양이 적을수록 쌀의 점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찹쌀은 거의 대부분의 전분이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앞에서 아밀로오스의 함유량이 적을수록 점성이 많은 밥이 된다고 했드시 찹쌀은 아밀로오스가 거의 없기 때문에 찹쌀은 아주 찰진 밥이 되는 것입니다.

여기까지는 쌀 속의 전분을 설명 드렸구요.

찹쌀이 멥쌀보다 잘 쪄지는 이유 또한 전분 때문에 그렇습니다. 멥쌀의 전분 구조는 구물망처럼 되어 있는데, 이 연결고리가 강해서 쉽게 끊어지지 않습니다. 그러니 열을 가해 쌀을 쪄도 쉽게 쪄지지 않는 것이구요. 찹쌀은 멥쌀보다 잘 쪄지는데, 당연히 멥쌀 보다는 전분구조가 단순하여 쉽게 연결고리가 끊어지기 때문입니다.

전분에 의해 당이 만들어지면 효모에 의해 알코올 발효가 진행되는데, 찹쌀과 멥쌀에 포함된 전분의 성분이 다르기 때문에 술에 남아있는 당 성분이 달라지게 됩니다. 이것은 곳 술의 맛에 직접적으로 연관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멥쌀과 찹쌀로 빚었을 때, 맛의 차이는 바로 여기서 나는 것입니다. 그 맛의 차이는 자기가 직접 해보고 맛의 차이를 느끼는 수 밖에 없습니다. 그것은 굉장히 주관적인 판단이기 때문이죠.

또한, 쌀이 삭는 시간에서도 멥쌀보다는 찹쌀이 빨리 삭는데 그 이유는 앞서 전분의 구조를 생각하시면 이해가 빠를 것입니다.

2. 멥쌀 고두밥으로 1차 덧술을 하고 2차 덧술을 찹쌀 고두밥을 쪄서
    넣어 볼까 하는데, 2차 덧술을 하게 되면 언제쯤 해야 될까요.
    효모가 배가 고플때 덧술을 해주면 잘 된다고 했는데
    그게 언제쯤인지 아직도 감이 잘 안옵니다.
     밑술만들면 3일쯤 지나면 한 번 끊어 올랐던 자국이 있던데
    그거 생기고 기포가 많이 줄어 있을때가 효모가 좀 배가 고파있을
    시기처럼 보이던데 그게 맞습니까?

->이 부분에 대해서는 글을 써 놓은 것이 많은데, 이 부분은 글로서 전달이 쉽지 않아 그런 것 같습니다. 실질적으로 함께 술을 빚어 보면서 이야기를 해야 하는데, 글로 이렇게, 저렇게를 말하니 받는 사람 입장에서는 쉽지 않은 것 같네요.

이것을 확실히 알기 위한 방법은 “많이 빚어보는 수 밖에 없다”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효모는 잠복기와 증식기, 정지기를 거쳐 사멸기로 접어들어 일새을 마감합니다. 우리가 덧술을 하는 시기가 증식이 최대화 되어 있는 정지기에 해야하는데 이 시기를 잘 모르면 사멸기에 접어든 미생물을 이용할 수도 있게 됩니다.

글을 통해서 각 술마다 덧술 시기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기록된 시기가 바로 증식 최적의 시기임을 알아야 하구요. 그 시기에 술의 상태를 잘 기억해 두었다가 다음에 참고하여 빚으면 답을 찾아낼 수 있을 것입니다. 많이 해보는 수 밖에 없습니다.


평생의 꿈..."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3 file [3]

  • aladinn
  • 2015-03-06
  • 조회 수 5346

복분자식초 만들기 질문 입니다, [1]

  • 녹야
  • 2008-07-15
  • 조회 수 5347

용수박는 시기 질문드립니다~ file [2]

  • synop
  • 2015-05-17
  • 조회 수 5351

호산춘 2차덧술 시기?

수율이 너무 작아 덧술후 쌀죽을 넣었읍니다. [2]

[re] 답변입니다. ^^ [5]

  • 酒人
  • 2006-05-11
  • 조회 수 5359

발효후 온도? [1]

밑술과 덧술의 비율 [1]

덧술을 계속 해주면 어떻게 되나요? [1]

[re] 김태원님 보세요.~ [5]

  • 酒人
  • 2006-04-25
  • 조회 수 5386

동동주를 하루에1~2회 저어 주어야 하나요 [1]

막걸리 제조장 환경은 어떻게 해야될까요?

저온 발효 질문 [1]

증류기 파는곳 없을까요. [2]

전내기와 술지게미를 이용해서 한 번 더 술을 [3]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 [1]

증식기때 알콜생성? [1]

  • sul4u
  • 2013-07-07
  • 조회 수 5421

소주만들기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침출주 담글때 주의해야 할 것들은??

  • 酒人
  • 2006-01-12
  • 조회 수 5431

밑술 끓은지 12시간만에 덧술도 가능한가요 file [1]

  • 瑞香
  • 2017-03-19
  • 조회 수 5433

맥주처럼 쌀 당화하여 쌀즙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1]

이양주 덧술 문의드립니다 [1]

  • 막이
  • 2021-08-26
  • 조회 수 5437

밥통으로 고두밥을 지을수 있을까요?

24일이 지났습니다. [2]

<b>누룩만들기 제 3장 &#8211; 성형하기</b> [1]

  • 酒人
  • 2007-10-23
  • 조회 수 5456

삼양주(불패주) 조언 부탁드립니다. [2]

오양주 효모 [4]

<b>누룩만들기 제 4장 &#8211; 누룩 밟기</b> [5]

  • 酒人
  • 2007-10-24
  • 조회 수 5469

호산춘 표면의 노란 부유물 질문입니다. file

  • charlie
  • 2022-01-14
  • 조회 수 5469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 비설
  • 2008-12-05
  • 조회 수 5472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냉장보관 유통기한 및 동전춘 만들기 [1]

삼양주 담다가 ... 문제가 생겼습니다. ㅠㅠ [2]

  • 곡향
  • 2015-08-20
  • 조회 수 5479

이양주빚을때... [2]

밑술이 발효가 안되고 물이 안생김 [1]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 酒人
  • 2006-03-08
  • 조회 수 5487

단양주 신맛 [1]

발효시킬떄 뚜껑 [2]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삼양주 냉장숙성을 야외에서 해도 되나요? [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