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조회 수 4888 추천 수 77 2006.12.21 05:38:48
고두밥 잘 찌기..


고두밥(지에밥)을 찔 때, 흔히 생기는 현상이 밑이 질게 되는 경우입니다. 이것이 심한 경우는 고두밥 자체가 잘 쪄지지 않아 쌀이 설익는 일이 벌어집니다.

방지하기..

이런 경우는 명주천(베보자기)를 깔기 전에 나무젓가락이나 쇠 젓가락 등을 이용해서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놓습니다.(요즘 텔레비전을 보니까 나무젓가락이 화학약품 때문에 좋지 않다고 하네요..참고하세요) 그리고 그 위에 베보자기를 올리고 -> 쌀을 올려 찌면 고두밥이 진밥처럼 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둘째는, 물과 베보자기를 놓는 위치가 너무 가깝기 때문에 진밥처럼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이 끓어 오르면서 높게 튀는 것이죠. 그렇게 되면 고두밥 밑이 계속해서 물과 접촉하게 됩니다. 이럴 경우에는 물과 베보자기의 거리를 좀 더 멀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최소 5cm 이상은 되야 합니다.)

셋째는, 베보자기(명주천)의 구멍이 너무 작은 경우입니다. 이럴 경우는 씻어 놓은 쌀 가루 등에 의해 구멍을 막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증기가 밖으로 나오기가 힘들어 쌀의 밑 바닥만 계속해서 적시게 되어 질어 집니다. 따라서 가능한 쌀 알갱이가 빠지지 않는 범위에서 천의 구멍이 너무 작은 것을 피해야 합니다.

넷째, 나일론이나 천연 소재가 아닌 제품은 피해야 합니다. 베보자기가 비싼 것은 천연 제품이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나쁜 물질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고두밥을 찔 때 사용하기는 아주 좋습니다. 그러나 나일론 등은 화학첨가물이 많이 들어가 있어 좋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고두밥이 전체적으로 잘 익었지만 밑이 질어지는 경우는 발효에 큰 지장을 주지 않습니다. 그러나 고두밥이 설익은 상태로 밑이 질어지는 경우는 술에 산막효모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미생물이 발효를 일으키기 쉽지 않기 때문이죠. 이런 경우는 발효 기간이 문제가 아니라 발효 자체가 되지 않습니다.



좋은 술 빚으세요.~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21 희석주 관련 질문입니다. [4] 김기욱 2006-06-14 6608
120 술 증류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김상현 2006-05-10 6611
119 막걸리 담그기 file [1] [6] 오타와 저스튼 2012-12-15 6616
118 증류기를 샀습니다. 증류에 대하여 질문드려요. [2] 걷는바람 2013-10-21 6624
117 삼해주 밑술에 장막이 생겼어요 [1] 랄랄라 2021-03-03 6631
116 <b>밀가루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b> [2] 酒人 2007-02-28 6684
115 처음으로 누룩을 만들었습니다! file [5] hedge 2011-04-08 6696
114 <b>전통주 중급강의 6. 술 거르는 시기</b> [1] 酒人 2006-07-15 6700
113 [질문] 겨울에 술만들때 온도와 발효후 거르기 할때 궁금점이 있습니다. [4] 초초보 2014-02-13 6704
112 입문자 몇가지 질문드리옵니다! [4] Jbjang 2021-02-23 6704
111 밀가루나 전분을 어떻게 추가하나요. [3] 막걸남 2011-01-12 6717
110 탁주를 만드는 중 여러가지 궁금한점이 생겨서 여쭤봅니다. [1] 희진 2023-03-21 6730
109 이양주 덧술 1일차 온도가 33도인데 [4] Blues 2020-12-30 6732
108 석탄주 덧술을 설익은 고두밥으로 했는데, 고두밥을 추가해야 할까요? [2] 메밀우유 2021-08-06 6736
107 단양주 발효 중 표면에 흰 곰팡이 file [2] 우리몽이씨 2021-07-05 6761
106 저온숙성중 맛의 변화 [2] Kimeric 2023-06-29 6765
105 누룩 보관기간 [1] 파랑보라 2023-05-31 6820
104 이번 여름에 누룩을 디뎠어요 file [2] 바나나메론 2021-10-11 6821
103 누룩 당화력에관련 질문좀 드릴게요 [1] 투덩잉 2013-07-19 6829
102 달콤한 술 만들기? 의문점 [2] [75] 민속주 2012-07-05 6853
101 삼양주 2차덧술후 3주의 시간이 되었습니다. [2] 기분좋게한잔 2020-12-25 6865
100 삼양주 언제 걸러야 할까요? file [2] 준파파 2022-01-03 6868
99 밑술 항아리 용량으로 적당한것이? [4] 창힐 2013-07-19 6891
98 술 다 익은 정도 확인 방법 [1] 난소녀다 2023-02-14 6930
97 전통주 기초강의 4. 단발효와 복발효 酒人 2006-03-17 6942
96 빚은 술의 유통기한이 궁금합니다~ [1] 레오몬 2021-02-20 6955
95 층분리가 안되는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file [1] 주미 2023-05-30 6992
94 덧술이 끓지 않습니다. 막걸리를 살려주세요. file [1] 리볼트 2021-11-28 6993
93 삼양주 발효 5일차, 곰팡이 인가요? file [1] 쩡이님 2021-05-14 7000
92 연습용으로 밑술 제작중인데 잘 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file [2] 한소리 2011-08-01 7011
91 누룩에 벌레가 생겼습니다. [4] 갈매기 2009-12-11 7029
90 이양주(석탄주)질문드립니다. [2] 배꼭지 2021-03-03 7033
89 [re] 고구마술 [4] 酒人 2009-01-16 7048
88 가양주 막걸리 만드는법 피리피리 2014-11-04 7072
87 입국의 당화력은 얼마나 되나요? [2] 오렌지컴 2015-02-05 7082
86 술에 쓴맛은 어떤 요인떄문에 생기는건가요 ?? [2] 연필꽂이 2021-10-28 7087
85 막걸리 제조중 밥알이 안 가라앉을 때 file [2] 2P 2012-04-18 7131
84 감주빗기 [2] 우리술이좋아 2011-11-28 7143
83 쌀과 물량 봐주세요.... [1] 성학맘 2011-08-09 7185
82 <b>누룩만들기 제 2장 &#8211; 반죽하기</b> [4] 酒人 2007-10-22 719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