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b>가향하는 방법에 대하여...,</b>

조회 수 3593 추천 수 62 2006.12.15 19:19:34
1500년대 <수운잡방>에는 황국화주 제조법이 나와 있습니다. 소개하면 [ 황국은 향기롭고 맛이 단 것을 골라 따서 햇볕을 쬐어 말린다. 청주 1말당 국화 3냥씩을 생명주 주머니에 넣어 술 윗면에서 손가락 하나 높이에 매달고 독부리를 단단히 봉한다. 하룻밤 지나서 꽃을 들어낸다. 술맛은 향기롭고 달다. 모든 향기가 있는 꽃은 이와 같이 할 수 있다. ]

<수운잡방>의 황국화주에서 보듯이 국화주는 술을 빚을 때 국화를 넣는 것이 아니라 술이 완성된 다음 맑게 만들어 그 위에 명주 주머니에 황국을 넣어 매달아 놓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황국을 술덧과 버무렸을 때, 발효과정에서 꽃 본래의 향기가 다 날아가고 국화의 향 보다는 잡향이 많이 섞인 술이 만들어 지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청주에 국화의 향기가 나도록 매달아 두었다가 술에 향이 배면 꺼내 마시는 것입니다.

<요록> <온주법>의 국화주는 감국과 생지황이 들어가는 술.

1800년대 <고려대규합총서><부인필지> 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남아있다. [ 국화가 만개할 때, 술 한말이거든 꽃 두되를 주머니에 넣어 술독에 달아 두면 향내가 가득하니 매화, 연꽃 등 향내가 있고, 독이 없는 꽃은 다 이 법을 써라. 꽃을 위에 뿌려도 좋되….]

위에 보듯이 국화주를 빚을 때에는 국화를 술덧과 버무리기 보다는 술이 완성되었을 때 향기가 있는 꽃 등을 술독에 매달아 향기를 입히는 방법을 택했으며, 꽃을 술 위에 뿌려 두는 방법도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한가지 예를 들면…

포도주나 복분자주는 발효가 끝이 나도 포도나 복분자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맛과 향이 강하기 때문이죠. 딸기나 배, 복숭아, 사과 등을 술로 잘 빚지 않는 이유는 발효과정에서 과일 본래의 향이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꽃으로 빚는 술도 마찬가지 입니다. 꽃을 술덧과 버무려 빚으면 꽃 본래의 향 보다는 새로운 맛과 향기가 만들어 지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꽃으로 빚는 술은 술이 다 완성되어 충분히 좋은 술이 되었을 때, 술에 향기가 배도록 하는 방식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반면에 <진달래꽃, 복숭아꽃, 연잎> 같은 경우는 술독 밑에 꽃을 넣거나 술덧과 함께 버무려 발효를 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가향주입니다.


마치면서…

향기가 많이 나는 국화, 매화, 연꽃 등은 직접적으로 술과 접촉하지 않아도 충분한 향을 얻을 수 있으나 진달래꽃이나 복숭아 꽃과 같이 상대적으로 향기가 적은 꽃은 직접 술과 혼합하여 빚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술을 빚을 때 소량의 꽃을 넣어 빚게 되면 쌀로만 빚는 술 보다 독특한 맛과 향을 가진 술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발효과정에서 새로운 향이 생겨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쌀술의 부족한 향기는 꽃으로 채운다.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21 빚은 삼양주를 먹으면 두통이 생기는데 ㅜㅡ [2] jiyoon88 2020-05-24 3774
720 술찌게미량에 대하여 [1] [2] 강현윤 2012-12-21 3775
719 역사를 새롭게 재조명하고 싶습니다. 관리자 2006-03-11 3778
718 <b>알코올 20% 그 한계와 이유</b> 酒人 2006-10-26 3784
717 진행상황 질문입니다`... file [2] 투덜이 2012-06-06 3786
716 포도주용 측정기인데 우리 전통주도 가능할까요? [2] 술향 2010-02-10 3789
715 이상한 맛과 향의 고구마 막걸리 질문입니다. 곡차 2022-10-02 3794
714 호산춘에 대해 질문입니다. [1] 비니 2010-12-10 3795
713 삼양주 만들어보기 루시 2020-07-01 3795
712 밑술에 대하여 여쭙니다. [2] 섬누룩 2009-11-23 3796
711 누룩양좀 봐주세요 [1] 쵸이 2019-02-11 3797
710 2차 덧술할때... [1] 마중물 2008-12-12 3799
709 호산춘에궁금한점이있어서요? [1] 이승욱 2007-01-10 3803
708 호산춘에 대하여.. [1] [1] 민속주 2012-09-16 3804
707 술의 도수내리려면 어떻게 해야합니까? [1] 김정은 2006-05-18 3806
706 맑은술 [1] 이반 2018-12-24 3810
705 위에 나온 단위 함량에 대해서 질문좀요 [1] 바나나우유 2010-08-14 3812
704 쑥을 이용한 누룩빚기 [1] 새로미 2010-06-18 3813
703 덧술 할 시기를 어떻게 가늠하는지 궁금합니다. 원삼규 2006-11-21 3816
702 석임 제조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비바우 2009-12-28 3821
701 덧술발효에 대하여.. [2] 섬누룩 2010-02-10 3822
700 제대로 되어가는중인지 궁금합니다 [2] 우리술이좋아 2009-11-03 3824
699 막걸리 공장에서 술재조 공정 궁금 [2] 오렌지컴 2014-06-14 3824
698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酒人 2007-03-15 3836
697 동동주 무작정 따라하기 문의 [2] 술이조아 2010-03-29 3839
696 [re] 답변입니다. [2] 酒人 2009-03-14 3842
695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1 3850
694 고맙습니다 [1] yk 2013-12-03 3851
693 걱정했는데... [1] 마중물 2008-12-16 3854
692 멋진 답변~~~ 떳다 2008-10-16 3859
691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27 3864
690 떡으로 술빚기질문이요 [2] 반애주가 2012-10-25 3867
689 예쁘게 끓는 술 file [1] 제천인어공주 2012-11-10 3870
688 <b>진상주(進上酒)에 대하여(수정)</b> 酒人 2006-08-21 3873
687 용수 사용법 [2] 장돌뱅이 2019-10-31 3873
686 삼양주방식으로 빚는 복분자주 질문 드립니다 [4] 나라랑 2024-01-24 3873
685 호산춘 밑술 file [2] 창힐 2014-02-25 3874
684 과하주 관련 질문입니다~ [1] shosho 2019-07-19 3877
683 진상주를보면서......... [2] 배병임 2006-09-27 3881
682 막걸리의 탁도조절 [1] 장셰프 2020-11-15 388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