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석탄주에 대한 답변입니다.

조회 수 4751 추천 수 58 2006.11.21 22:22:54
석탄주를 빚는 온도는 정확히 나와있지 않지만, 덧술하는 시기에 관한 내용이 나와있기 때문에 어떻게 술을 빚어야 하는지 짐작 가능한 술입니다.

문헌속에 등장하는 석탄주 제조법을 보면 다음과 같이 거의 비슷합니다.

“백미 두되 작말하여 탕수 한말 붓고 죽 쑤어 식거든 가루누룩 한되 섞어 넣었다가 봄.가을에는 4-5일, 여름에는 3일, 겨울에는 7일 만에 점미를 백세하여 담갔다가 익게 쪄서 그 밑술과 한 데 고루 쳐 넣고 7일 만에 용수질러 떠 먹으면 맛이 향기롭고 기특하고 입에 머금고 삼키기 아깝다. 첫 국 뜨고 나중은 물 부었다 먹어도 먹을 만 하다.”

여기서 주의깊게 봐야 하는 것은 “봄, 가을은 4-5일, 여름은 3일, 겨울은 7일 만에 덧술” 부분인데요. 이렇게 계절마다 덧술시기가 달라졌다는 것은 술독의 온도를 인위적으로 높이거나 낮추는 것이 아닌 계절의 온도에 맞게 술을 빚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기록은 지금으로부터 3-400년 전의 생활 환경에서 기록되어진 내용으로 그대로 적용하기 보다는 현재의 생활 환경과 온도에 맞게 술을 빚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입니다. 따라서 아주 오풍이 심한 집이 아니라면 집 안의 온도 차가 크지 않고 평균 20-25도 사이의 실내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여지기 때문에 대략 석탄주의 덧술 시기를 짐작할 수 있는 것입니다.

제가 원삼규님께서 빚으신 술의 상태를 보지 못한 상태에서 답변 드리는게 조심스럽지만 경험을 토대로 답변 드릴까 합니다.

원삼규님께서 20도 정도에서 밑술을 빚었다 하셨는데요. 석탄주 밑술을 죽으로 했기 때문에 짧게는 2일 길어도 3일 후에는 덧술을 해야 합니다. 만약 더 지체하게 되면 술 표면에 거품이 발생하고 산막효모가 번식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3일이 조금 지났다고 하셨는데 제 생각으로는 바로 덧술을 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만약 7일 후에 덧술을 빚고자 하시면 지금보다는 훨씬 서늘한 곳에서 술을 빚어야 할 것입니다.

박록담선생님께서 지으신 주방문에 대해 제가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한 것 같구요. 시간이 되시면 박록담 선생님이 계신 한국전통주연구소 www.ktwine.or.kr 홈페이지에 가셔서 질문하시면 더 좋은 답변이 있을 것입니다. 참고하시구요. 좋은 술 빚으시길 바래요. ~

원삼규

2006.11.21 23:37:25
*.13.66.73

답변 감사드립니다. 박록담 선생님의 주방문 내용도 아마 문헌을 참조한 듯 합니다. 계절에 따라 발효 시기가 다르다고 언급 되어 있었습니다. 아무튼 내일 바로 덧술을 해야 할 듯 하네요. 이번에는 잘 되어야 할텐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82 전통주 기초강의 1. 술이란 酒人 2006-03-17 4042
281 감향주3 만들기에 도전했습니다...주인님의 시간좀 뺏을게요.. [3] 바보 2013-02-02 4034
280 누룩양좀 봐주세요 [1] 쵸이 2019-02-11 4031
279 밑술 문의 드립니다? [2] 대암 2007-02-04 4030
278 막걸리 공장에서 술재조 공정 궁금 [2] 오렌지컴 2014-06-14 4026
277 술독 입구 봉하는거요,, [2] 산우 2007-04-27 4021
276 맑은술 [1] 이반 2018-12-24 4020
275 <b>술의 양 크게 늘리는 방법</b> 酒人 2006-12-12 4019
274 초보 질문입니다. [1] 김경희 2007-01-15 4016
273 솔잎으로 누룩을 만들어도 되나요? [1] 새로미 2010-03-01 4013
272 단호박술 거르는 시기 궁금합니닷. file [2] 바다뜰 2019-11-11 4012
271 실패한것 같습니다. 오야봉 2009-03-14 4006
270 멥쌀술 질문이요 [1] [1] 반애주가 2012-08-13 4005
269 질문을 자주해서 죄송 [3] 우리술이좋아 2009-11-10 3998
268 궁금한 점 몇 가지... 김태원 2006-04-25 3986
267 급합니다. 우리아이좀 살려주세요. file [1] 치어스 2018-04-30 3984
266 <b>호산춘 2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31 3981
265 왜 그런가요? [2] mumu 2013-04-22 3976
264 [re] 꽃술 빚을 때, 꽃의 이용에 대하여.. 궁금한 점 [2] 민속주 2012-07-15 3972
263 이상한 맛과 향의 고구마 막걸리 질문입니다. 곡차 2022-10-02 3969
262 떡으로 술빚기질문이요 [2] 반애주가 2012-10-25 3968
261 삼양주 만들어보기 루시 2020-07-01 3967
260 빚은 삼양주를 먹으면 두통이 생기는데 ㅜㅡ [2] jiyoon88 2020-05-24 3965
259 문의드립니다 file [2] 瑞香 2016-02-13 3961
258 현재 삼양주하려고 밑술 만들었는데요 좀 이상해요 [2] 수오기 2014-09-26 3957
257 <b>만화 - 삼순이 소주에 빠지다. </b> [2] 酒人 2007-03-17 3954
256 [re] 술이 약간 매운듯 한데....중화시킬 방법이 없을지... [3] 윤승구 2006-07-15 3954
255 예쁘게 끓는 술 file [1] 제천인어공주 2012-11-10 3953
254 해외에서 전통주빚기! [1] 스투찌 2014-10-29 3947
253 누룩 속에 알코올이 있나요?? 酒人 2006-07-13 3947
252 산패한 술을 밑술 삼아 제조 중입니다. [1] 덕인주 2014-07-29 3946
251 삑삑한 술 고치기 [1] yk 2014-03-28 3939
250 초일주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3] synop 2015-05-07 3936
249 호산춘 오늘 잡는날.. [1] 창힐 2014-04-02 3932
248 동동주 무작정 따라하기 문의 [2] 술이조아 2010-03-29 3912
247 걱정했는데... [1] 마중물 2008-12-16 3912
246 국화주 만들어보는중... file [1] 창힐 2014-04-14 3911
245 호산춘에 대하여.. [1] [1] 민속주 2012-09-16 3906
244 <b>진상주(進上酒)에 대하여(수정)</b> 酒人 2006-08-21 3903
243 멋진 답변~~~ 떳다 2008-10-16 390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