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석탄주에 대한 답변입니다.

조회 수 4745 추천 수 58 2006.11.21 22:22:54
석탄주를 빚는 온도는 정확히 나와있지 않지만, 덧술하는 시기에 관한 내용이 나와있기 때문에 어떻게 술을 빚어야 하는지 짐작 가능한 술입니다.

문헌속에 등장하는 석탄주 제조법을 보면 다음과 같이 거의 비슷합니다.

“백미 두되 작말하여 탕수 한말 붓고 죽 쑤어 식거든 가루누룩 한되 섞어 넣었다가 봄.가을에는 4-5일, 여름에는 3일, 겨울에는 7일 만에 점미를 백세하여 담갔다가 익게 쪄서 그 밑술과 한 데 고루 쳐 넣고 7일 만에 용수질러 떠 먹으면 맛이 향기롭고 기특하고 입에 머금고 삼키기 아깝다. 첫 국 뜨고 나중은 물 부었다 먹어도 먹을 만 하다.”

여기서 주의깊게 봐야 하는 것은 “봄, 가을은 4-5일, 여름은 3일, 겨울은 7일 만에 덧술” 부분인데요. 이렇게 계절마다 덧술시기가 달라졌다는 것은 술독의 온도를 인위적으로 높이거나 낮추는 것이 아닌 계절의 온도에 맞게 술을 빚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기록은 지금으로부터 3-400년 전의 생활 환경에서 기록되어진 내용으로 그대로 적용하기 보다는 현재의 생활 환경과 온도에 맞게 술을 빚는 것이 중요하다 할 것입니다. 따라서 아주 오풍이 심한 집이 아니라면 집 안의 온도 차가 크지 않고 평균 20-25도 사이의 실내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여지기 때문에 대략 석탄주의 덧술 시기를 짐작할 수 있는 것입니다.

제가 원삼규님께서 빚으신 술의 상태를 보지 못한 상태에서 답변 드리는게 조심스럽지만 경험을 토대로 답변 드릴까 합니다.

원삼규님께서 20도 정도에서 밑술을 빚었다 하셨는데요. 석탄주 밑술을 죽으로 했기 때문에 짧게는 2일 길어도 3일 후에는 덧술을 해야 합니다. 만약 더 지체하게 되면 술 표면에 거품이 발생하고 산막효모가 번식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3일이 조금 지났다고 하셨는데 제 생각으로는 바로 덧술을 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만약 7일 후에 덧술을 빚고자 하시면 지금보다는 훨씬 서늘한 곳에서 술을 빚어야 할 것입니다.

박록담선생님께서 지으신 주방문에 대해 제가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한 것 같구요. 시간이 되시면 박록담 선생님이 계신 한국전통주연구소 www.ktwine.or.kr 홈페이지에 가셔서 질문하시면 더 좋은 답변이 있을 것입니다. 참고하시구요. 좋은 술 빚으시길 바래요. ~

원삼규

2006.11.21 23:37:25
*.13.66.73

답변 감사드립니다. 박록담 선생님의 주방문 내용도 아마 문헌을 참조한 듯 합니다. 계절에 따라 발효 시기가 다르다고 언급 되어 있었습니다. 아무튼 내일 바로 덧술을 해야 할 듯 하네요. 이번에는 잘 되어야 할텐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442 술빚는 항아리에 대한 질문입니다 [1] [1] 요롱이엄마 2012-11-12 3562
441 학교에서 알코올도수 측정법을 배웠는데요 ..... [2] [2] 바이브가부릅니다술이야 2012-11-14 6179
440 삼양주 물의 양에 대한 질문입니다 [2] [7] 요롱이엄마 2012-11-16 5017
439 예쁘게 끓는술 2탄 file [1] [3] 제천인어공주 2012-12-01 5038
438 예쁘게 끓는술 못본 동영상 file [1] [5] 제천인어공주 2012-12-01 3531
437 예쁘게 끓는술 3탄 file [1] [2] 제천인어공주 2012-12-10 4549
436 막걸리 담그기 file [1] [6] 오타와 저스튼 2012-12-15 6666
435 맑은술이 뜨지 않습니다..... [1] [8] 우기 2012-12-16 5025
434 자료 요청합니다. [1] [3] 엄대장 2012-12-17 3274
433 술찌게미량에 대하여 [1] [2] 강현윤 2012-12-21 3828
432 밑에 자료요청한사람입니다 [2] [1] 엄대장 2012-12-26 3452
431 불패주 거르는 시기 file 느루 2012-12-29 4866
430 산막일까요? file [3] [1] 제천인어공주 2013-01-11 5145
429 감향주3 만들기에 도전했습니다...주인님의 시간좀 뺏을게요.. [3] 바보 2013-02-02 4031
428 발효통 크기 정하는법 [1] 반애주가 2013-02-04 4387
427 숙성시기 [3] [1] 하제 2013-02-12 4826
426 저온발효/저온숙성 [2] 아리랑 2013-02-20 11068
425 알콜농도측정도구 빅툴 2013-03-04 5310
424 쌀과 누룩 질문 [1] 식초나라 2013-03-06 3721
423 누룩투입시기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3-08 4080
422 호산춘 도전중 .. [2] 장락 2013-03-10 4395
421 주정분표 (알코올 도수환산표) 파일 [1] AppleTree 2013-04-06 7705
420 전통주에 있는 효소와 효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1] 민속주 2013-04-11 4973
419 왜 그런가요? [2] mumu 2013-04-22 3975
418 첫 작품 호산춘 때문에 ....... ^^ [1] 장락 2013-04-25 4373
417 똑똑 똑 [2] mumu 2013-04-26 4188
416 누룩만들기 [1] 반애주가 2013-04-29 5193
415 잘못 빚은 술 복구방법은요? [2] 쿡쿡 2013-04-30 4927
414 막걸리와 동동주의 차이 [1] 나술퍼맨 2013-05-02 10653
413 너무 길어요 [1] mumu 2013-05-03 4163
412 온도가 높아도 막걸리가 빚어지나요? [1] 랜스 2013-05-03 4965
411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민속주 2013-05-05 5707
410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570
409 술빗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독대 2013-05-07 4205
408 덧술 질문이요 [1] 반애주가 2013-05-13 6426
407 밑에쓴 질문이요 반애주가 2013-05-20 4457
406 자주하는질문<<<>>> 미생물 굶겨 술빚기.... [1] 창힐 2013-05-24 4926
405 삼양주 밑술에 관하여 [1] mumu 2013-05-31 6639
404 석임의 활용에 대하여.. [1] 백수환동 2013-06-01 4876
403 막걸리 제조와 판매 둘레길 2013-06-05 662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