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술빚기 응용능력 키우기 1. 쌀 불리기</b>

조회 수 4757 추천 수 52 2006.11.07 01:32:30
술빚기 응용능력 시리즈는 여러분에게 고기를 잡아 주는 것이 아닌 고기 잡는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든 것입니다. 우리술은 어떤 한 가지 제조법으로 모든 술을 빚을 수 없으며 빚는 사람에 따라, 원하는 색과 맛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빚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 문헌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술빚기 사례를 예로 들면서 각각의 술이 지닌 특징들을 살펴보게 될 것입니다.


술빚기 응용능력 키우기 1 – 쌀 불리기

<수운잡방 1500년에 초>에는 “세신주”라는 술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멥쌀 10말을 여러 번 씻어서 아침 저녁으로 물을 갈아가며 3일간 미리 물에 담가 두었다가 찐다.” 같은 문헌 속 황금주에는 “여러 번 씻어서 하룻밤 물에 담가 두었다가..” 라는 기록이, 어떤 술은 단지 “깨끗이 씻어 가루를 내고” 라고 되어 있어 쌀을 물에 담가 놓는 시간이 정확히 나와있지 않은 술도 있습니다.

이러한 제조법은 <수운잡방> 만이 아닌 거의 모든 문헌 속 술빚기에 사용되고 있으며 제조법에 따라 쌀을 물에 담가 두는 시간을 달리하여 빚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앞에서 언급한 세신주와 같이 물에 담가 두는 것으로 부족하여 하루에 두번씩 담가 놓은 물을 갈아 주면서 3일간 물에 담가 놓는 술이 있는 반면에, 황금주와 같은 수 많은 술은 “하룻밤” 이라는 기록이 남아 있기도 합니다.

또한 <증보산림경제>의 작주부본법(주모만드는법)에는 <쌀 1말을 깨끗이 씻고 물에 담가 겨울에는 열흘, 봄 가을에는 닷새, 여름에는 사흘 동안 불린다. 쌀 속까지 물기가 배면..>이라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이것은 위에 언급한 술들과는 달리 계절마다 쌀을 물에 담가 놓는 시간이 달라졌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일전에 언급한 <2006 가양주법>에는 쌀을 물에 담가 두는 시간을 3시간 정도면 충분하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전체 전통주에 응용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3시간이란, 쌀이 물을 흡수할 수 있는 25-28% 정도의 흡수율(실제 1시간도 안걸림)이 되는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처음 술을 빚는 사람들을 위해 일정한 시간을 정한것으로 이해하시면 될 것입니다. 또한, 빚는 술 대부분을 “하룻밤” 정도 물에 담갔다가 술을 빚는 것 또한 정해진 것이 아닌 일반적인 술 제조법을 말하는 것으로 이해하셔야 합니다.

수 많은 문헌에 등장하는 술들을 보면 위에 언급한 것처럼 쌀을 불리는 시간도 계절에 맞게 또는 술 빚는 환경에 맞게 달리 해야 하며, 묵은 쌀인지, 햇쌀인지, 사용하는 물의 종류에 따라서, 같은 술을 빚어도 쌀을 불리는 시간을 달리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쌀을 물에 담가 놓는 시간을 달리 하는 것 만으로도 맛과 향이 다른 술을 만들 수 있으며 자신이 술을 빚는 환경에 맞게 응용하여 사용해야 할 것입니다.

그럼, 도대체 쌀을 얼마의 시간 동안 담가야 하는가.? 라는 질문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답은 1시간이 될 수도 있고, 3시간, 하룻밤, 3일, 심지어는 <1450년 산가요록>에 기록된 여가주와 같이 “찹쌀 1말을… 끓인 물 1동이에 넣어 온돌에 놓고 저고리로 싸둔다,. 3일 후에 꺼내면 그 맛은 썩는 맛이 나고 그 물맛은 시큼하다. 체로 쌀 물을 받쳐내어 데운다.”는 기록에 나와있는 것처럼 아주 독특한 방법도 있습니다. (우리술의 특징을 한 눈에 보여주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다양성을 단점으로 받아 들이고, 어떤 사람들은 다양성을 장점으로 받아 들이고 잘 응용하여 술을 빚기도 합니다. 전통주를 규격화 시키지 못하는 것을 단점으로 보는 것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장점으로 보는 것입니다.

개인적인 생각

전통주는 ‘가양주’에서 시작한 것입니다. 흔히 가양주를 전통주라고 하기도 합니다. 가양주란 말 그대로 ‘집에서 빚는 술’입니다.

‘집’

여러분의 집집마다, 그리고 남의 집,  모두 생활 환경이 다르고 여러분의 손과  저의 손 크기도 다릅니다. 똑 같이 술을 빚어도 차이가 있게 마련입니다. 우리나라 가양주문화가 발전했던 이유는 이러한 다양성을 인정하고 각 가정마다, 술을 빚는 사람마다 술을 빚을 때 가장 맛 좋은 술을 빚을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했다는 것입니다.

정해진 시간, 정해진 양, 정해진 온도, 정해진 환경에서 나오는 균일한 맛을 가진 술을 빚으시려면 집 안에 최신식 양조장을 차려야 할 것입니다.

우리술사랑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81 문의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3-21 3246
880 백미로만.. 술을 담을 경우 [2] 산에살다 2016-06-01 3250
879 삼양주 제조 및 채주 관련으로 질문드립니다. [1] 꿈길 2024-02-28 3257
878 술이 뻑뻑해요ㅠ.ㅠ [2] 술을 빚어보자 2018-07-20 3258
877 오디주를 빚어보고 싶어요 [1] 선02 2017-09-18 3265
876 발효중 끓어오를때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7-12 3270
875 쌀가루를 낼때도 침미과정은 필수인지요 [1] KoreanBrewers 2019-04-03 3278
874 감주에 대한 질문이요~ [1] 도리버섯 2016-05-26 3283
873 혹시.. 전통주 배우는 프로그램은 없는지요...? 이선아 2008-10-01 3284
872 인녕하세요. [1] sul4u 2014-05-08 3285
871 훗~^^ 궁금증 좀 풀어주세요~ 어화둥둥 2007-06-02 3288
870 [선배님들 살려주세요] 첫 막걸지 제조 망한건가요? file [1] 시골필부 2024-03-15 3288
869 고맙습니다 [1] yk 2014-02-06 3293
868 <b>겨울 술빚기의 기본</b> 酒人 2007-01-23 3305
867 멥쌀 삼양주와 찹쌀 삼양주의 차이 file [2] 술빚기가좋아 2024-04-10 3305
866 서태를 포함한 7곡으로 범벅하여 밑술하였는데.. 솔버덩 2010-04-10 3307
865 이양주 질문입니다. [1] 시골술쟁이 2018-06-26 3313
864 술 량이 적은것 같아서요~ [2] 두메 2010-02-05 3319
863 안녕하세요. [2] sul4u 2014-04-02 3326
862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원삼규 2006-12-21 3327
861 끓인물과 그렇치 않은 물의 차이가 있나요? [1] 잠자는뮤 2019-04-08 3327
860 삼백주가 궁금합니다. [3] 허허술 2009-12-22 3330
859 불패주 주방문 수정가능할까요...ㅠ [2] 케팔로스 2018-10-12 3333
858 문의드립니다. [1] 나무그늘 2009-10-22 3342
857 호산춘 처방 [1] yk 2014-04-03 3344
856 질문) 초일주 만들고 있는데요^^ [3] 두메 2007-02-13 3348
855 주인님이 못봐서 지나간 질문. 3 [2] 민속주 2012-06-24 3348
854 또 질문합니다. [2] 고망고망 2009-08-18 3350
853 酒人님께 여쭙니다. [1] 갈매기 2010-01-04 3353
852 막걸리 이양주 진행상황 검토부탁 드립니다. [1] Emiju 2020-05-24 3354
851 올 추석에는 [1] 애주가 2008-07-30 3355
850 막걸리를 만들고싶어요 [1] 새벽바람 2010-02-14 3363
849 문의 드립니다 [1] 녹야 2009-10-14 3369
848 곰팡이가 맞나요? file [1] 고래고래솨악 2024-02-23 3369
847 항아리 내부가 너무 조용합니다 [1] 해난 2010-05-13 3372
846 진상주 문의 드립니다. [4] 술향 2010-01-27 3373
845 [re] 답변입니다. [1] 酒人 2006-10-31 3376
844 술은 담았는디 [1] 애주가 2007-05-08 3376
843 밑에 자료요청한사람입니다 [2] [1] 엄대장 2012-12-26 3387
842 이스트?효모영양제 사용방법및 시기 문의 [1] 호박654 2020-07-24 339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