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술독 뚜껑 덮는 것에 대하여</b>

조회 수 4828 추천 수 43 2006.11.06 07:46:10
술독 뚜껑 덮는 것에 대하여

오늘은 술독의 입구를 막는 것에 대한 글을 올리까 합니다.

우리가 술을 버무려서 술독(발효조)에 넣게 되면, 술독 내부에서는 서서히 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여기서 발생하는 열은 미생물의 증식과 함께 미생물의 활동이 많아져서 생기는 것으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간이 그렇지 않은 공간보다 따뜻한 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의 전통적 제조법에서 이와 관련된 기록들이 많이 남아 있는데, 그 중에서도 기름종이를 이용해서 술독의 입구를 막고 그 위에 베보자기를 덮어 단단하게 봉하라”는 기록들이 있습니다. 대부분은 ‘단단히 봉하라’란 의미로 남아 있는데, 이는 다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단단히 봉하다는 의미는 술독 입구를 막는다는 의미와 함께 술독 전체를 옷이나 이불 등으로 싸라는 두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술독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쉽게 밖으로 빠져 나간다면 쌀알이 삭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그러나 술독 입구를 단단히 봉해두면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밥알이 빠르게 삭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술독 전체를 이불이나 옷 등으로 덮지 않아도 술독 입구를 잘 막는 것 만으로도 술의 발효에 도움을 주게 됩니다. (물론, 술독 자체를 이불이나 옷 등으로 덮어 주는 것 또한 술을 빚는 한 방법입니다)

그래도 술독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서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지는 않습니다. 술독 주변의 온도와 술독 내부의 온도가 서로 열평형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지나친 온도 상승을 막을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술을 기록된 제조법에 따라 만들고 현재의 기온 변화에 맞게 술독을 관리해 주어야 합니다. 온도가 낮을 때는 술독 내부의 열이 쉽게 달아나지 않도록 술독입구를 단단히 봉하거나 두꺼운 이불이나 옷 등으로 술독을 덮어주고, 날씨가 더울 때는 얇은 천 등을 이용해서 발생하는 열이 잘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겨울철이나 물이 적게 들어가는 술의 경우는 술독 입구를 잘 막아 발생하는 열이 쉽게 빠져나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마치면서

오늘은 술독 입구를 막는 것에 대해 이야기 했는데요. 제가 글을 이렇게 써도 응용은 여러분께서 해야 합니다.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가 아닌 이런 방법, 저런 방법도 있으니 계절의 온도변화에 맞게 술빚기에 조금씩 변화를 주라는 것입니다.



우리술..."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81 [re] 고구마술 [4] 酒人 2009-01-16 6978
880 누룩에 벌레가 생겼습니다. [4] 갈매기 2009-12-11 6948
879 연습용으로 밑술 제작중인데 잘 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file [2] 한소리 2011-08-01 6926
878 입국의 당화력은 얼마나 되나요? [2] 오렌지컴 2015-02-05 6864
877 전통주 기초강의 4. 단발효와 복발효 酒人 2006-03-17 6862
876 술에 쓴맛은 어떤 요인떄문에 생기는건가요 ?? [2] 연필꽂이 2021-10-28 6845
875 가양주 막걸리 만드는법 피리피리 2014-11-04 6838
874 이양주(석탄주)질문드립니다. [2] 배꼭지 2021-03-03 6828
873 덧술이 끓지 않습니다. 막걸리를 살려주세요. file [1] 리볼트 2021-11-28 6767
872 삼양주 발효 5일차, 곰팡이 인가요? file [1] 쩡이님 2021-05-14 6766
871 달콤한 술 만들기? 의문점 [2] [75] 민속주 2012-07-05 6748
870 술덧 위에 이게 뭘까요?? file [3] 자두맛사탕 2023-05-23 6746
869 빚은 술의 유통기한이 궁금합니다~ [1] 레오몬 2021-02-20 6743
868 삼양주 2차덧술후 3주의 시간이 되었습니다. [2] 기분좋게한잔 2020-12-25 6660
867 삼양주 언제 걸러야 할까요? file [2] 준파파 2022-01-03 6655
866 <b>전통주 중급강의 6. 술 거르는 시기</b> [1] 酒人 2006-07-15 6642
865 밀가루나 전분을 어떻게 추가하나요. [3] 막걸남 2011-01-12 6617
864 <b>밀가루를 넣는 이유에 대하여....</b> [2] 酒人 2007-02-28 6609
863 처음으로 누룩을 만들었습니다! file [5] hedge 2011-04-08 6606
862 이번 여름에 누룩을 디뎠어요 file [2] 바나나메론 2021-10-11 6596
861 밑술 항아리 용량으로 적당한것이? [4] 창힐 2013-07-19 6560
860 술 증류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김상현 2006-05-10 6556
859 희석주 관련 질문입니다. [4] 김기욱 2006-06-14 6548
858 양조 과정 중 여러가지 여쭤봅니다! [3] 희진 2023-04-13 6544
857 단양주 발효 중 표면에 흰 곰팡이 file [2] 우리몽이씨 2021-07-05 6543
856 이양주 덧술 1일차 온도가 33도인데 [4] Blues 2020-12-30 6509
855 삼양주 밑술에 관하여 [1] mumu 2013-05-31 6509
854 석탄주 덧술을 설익은 고두밥으로 했는데, 고두밥을 추가해야 할까요? [2] 메밀우유 2021-08-06 6506
853 막걸리 담그기 file [1] [6] 오타와 저스튼 2012-12-15 6504
852 누룩 당화력에관련 질문좀 드릴게요 [1] 투덩잉 2013-07-19 6499
851 막걸리 제조와 판매 둘레길 2013-06-05 6483
850 입문자 몇가지 질문드리옵니다! [4] Jbjang 2021-02-23 6476
849 불패주 레시피를 보다가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2] 감초 2011-12-16 6469
848 맵쌀로만 빗은 삼양주--시험 file [1] 도사 2009-03-13 6464
847 <b>누룩만들기 제 8장 &#8211; '젖산' 이야기</b> [2] 酒人 2007-11-19 6459
846 삼해주 밑술에 장막이 생겼어요 [1] 랄랄라 2021-03-03 6412
845 백국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2] 두메 2011-01-20 6412
844 늙은 호박으로 호박주를 담그고 싶은데 알려주세요.. [1] 강술 2011-01-02 6392
843 [질문] 겨울에 술만들때 온도와 발효후 거르기 할때 궁금점이 있습니다. [4] 초초보 2014-02-13 6373
842 누룩 보관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1] 보리콩 2016-02-23 636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