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술독 뚜껑 덮는 것에 대하여</b>

조회 수 4843 추천 수 43 2006.11.06 07:46:10
술독 뚜껑 덮는 것에 대하여

오늘은 술독의 입구를 막는 것에 대한 글을 올리까 합니다.

우리가 술을 버무려서 술독(발효조)에 넣게 되면, 술독 내부에서는 서서히 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여기서 발생하는 열은 미생물의 증식과 함께 미생물의 활동이 많아져서 생기는 것으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간이 그렇지 않은 공간보다 따뜻한 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의 전통적 제조법에서 이와 관련된 기록들이 많이 남아 있는데, 그 중에서도 기름종이를 이용해서 술독의 입구를 막고 그 위에 베보자기를 덮어 단단하게 봉하라”는 기록들이 있습니다. 대부분은 ‘단단히 봉하라’란 의미로 남아 있는데, 이는 다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단단히 봉하다는 의미는 술독 입구를 막는다는 의미와 함께 술독 전체를 옷이나 이불 등으로 싸라는 두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술독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쉽게 밖으로 빠져 나간다면 쌀알이 삭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그러나 술독 입구를 단단히 봉해두면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밥알이 빠르게 삭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술독 전체를 이불이나 옷 등으로 덮지 않아도 술독 입구를 잘 막는 것 만으로도 술의 발효에 도움을 주게 됩니다. (물론, 술독 자체를 이불이나 옷 등으로 덮어 주는 것 또한 술을 빚는 한 방법입니다)

그래도 술독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서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지는 않습니다. 술독 주변의 온도와 술독 내부의 온도가 서로 열평형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지나친 온도 상승을 막을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술을 기록된 제조법에 따라 만들고 현재의 기온 변화에 맞게 술독을 관리해 주어야 합니다. 온도가 낮을 때는 술독 내부의 열이 쉽게 달아나지 않도록 술독입구를 단단히 봉하거나 두꺼운 이불이나 옷 등으로 술독을 덮어주고, 날씨가 더울 때는 얇은 천 등을 이용해서 발생하는 열이 잘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겨울철이나 물이 적게 들어가는 술의 경우는 술독 입구를 잘 막아 발생하는 열이 쉽게 빠져나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마치면서

오늘은 술독 입구를 막는 것에 대해 이야기 했는데요. 제가 글을 이렇게 써도 응용은 여러분께서 해야 합니다.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가 아닌 이런 방법, 저런 방법도 있으니 계절의 온도변화에 맞게 술빚기에 조금씩 변화를 주라는 것입니다.



우리술..."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81 문의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3-21 3311
880 술이 뻑뻑해요ㅠ.ㅠ [2] 술을 빚어보자 2018-07-20 3313
879 쌀가루를 낼때도 침미과정은 필수인지요 [1] KoreanBrewers 2019-04-03 3315
878 <b>겨울 술빚기의 기본</b> 酒人 2007-01-23 3316
877 발효중 끓어오를때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7-12 3317
876 오디주를 빚어보고 싶어요 [1] 선02 2017-09-18 3322
875 서태를 포함한 7곡으로 범벅하여 밑술하였는데.. 솔버덩 2010-04-10 3327
874 술 량이 적은것 같아서요~ [2] 두메 2010-02-05 3329
873 인녕하세요. [1] sul4u 2014-05-08 3329
872 감주에 대한 질문이요~ [1] 도리버섯 2016-05-26 3333
871 삼백주가 궁금합니다. [3] 허허술 2009-12-22 3338
870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원삼규 2006-12-21 3341
869 문의드립니다. [1] 나무그늘 2009-10-22 3351
868 질문) 초일주 만들고 있는데요^^ [3] 두메 2007-02-13 3359
867 고맙습니다 [1] yk 2014-02-06 3361
866 올 추석에는 [1] 애주가 2008-07-30 3362
865 酒人님께 여쭙니다. [1] 갈매기 2010-01-04 3362
864 또 질문합니다. [2] 고망고망 2009-08-18 3365
863 이양주 질문입니다. [1] 시골술쟁이 2018-06-26 3366
862 주인님이 못봐서 지나간 질문. 3 [2] 민속주 2012-06-24 3367
861 끓인물과 그렇치 않은 물의 차이가 있나요? [1] 잠자는뮤 2019-04-08 3367
860 안녕하세요. [2] sul4u 2014-04-02 3371
859 막걸리를 만들고싶어요 [1] 새벽바람 2010-02-14 3375
858 막걸리 산미 [1] 맑고달고시고 2024-04-24 3379
857 술은 담았는디 [1] 애주가 2007-05-08 3380
856 문의 드립니다 [1] 녹야 2009-10-14 3381
855 [re] 답변입니다. [1] 酒人 2006-10-31 3382
854 불패주 주방문 수정가능할까요...ㅠ [2] 케팔로스 2018-10-12 3384
853 항아리 내부가 너무 조용합니다 [1] 해난 2010-05-13 3388
852 진상주 문의 드립니다. [4] 술향 2010-01-27 3392
851 호산춘 처방 [1] yk 2014-04-03 3393
850 삼양주 방식 복분자주 비율이 고민입니다. [1] 술조앙 2024-03-29 3394
849 밑에 자료요청한사람입니다 [2] [1] 엄대장 2012-12-26 3397
848 날씨가 갑자기 더워져서 걱정입니다. [1] 랄랄 2012-05-02 3404
847 전통주의 기본적인 맛? 궁금합니다. 김정옥 2006-08-02 3409
846 소주를 어떻게 내리는지 ??(박수덕님) 酒人 2006-08-17 3409
845 막걸리 이양주 진행상황 검토부탁 드립니다. [1] Emiju 2020-05-24 3410
844 [re] 걱정했는데... 마중물 2008-12-17 3412
843 석탄주 빚을때... [2] 보리콩 2010-08-25 3413
842 하수오주? 강신규 2006-12-21 3414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