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술독 뚜껑 덮는 것에 대하여</b>

조회 수 4833 추천 수 43 2006.11.06 07:46:10
술독 뚜껑 덮는 것에 대하여

오늘은 술독의 입구를 막는 것에 대한 글을 올리까 합니다.

우리가 술을 버무려서 술독(발효조)에 넣게 되면, 술독 내부에서는 서서히 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여기서 발생하는 열은 미생물의 증식과 함께 미생물의 활동이 많아져서 생기는 것으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간이 그렇지 않은 공간보다 따뜻한 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의 전통적 제조법에서 이와 관련된 기록들이 많이 남아 있는데, 그 중에서도 기름종이를 이용해서 술독의 입구를 막고 그 위에 베보자기를 덮어 단단하게 봉하라”는 기록들이 있습니다. 대부분은 ‘단단히 봉하라’란 의미로 남아 있는데, 이는 다 이유가 있는 것입니다.(단단히 봉하다는 의미는 술독 입구를 막는다는 의미와 함께 술독 전체를 옷이나 이불 등으로 싸라는 두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술독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쉽게 밖으로 빠져 나간다면 쌀알이 삭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그러나 술독 입구를 단단히 봉해두면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밥알이 빠르게 삭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술독 전체를 이불이나 옷 등으로 덮지 않아도 술독 입구를 잘 막는 것 만으로도 술의 발효에 도움을 주게 됩니다. (물론, 술독 자체를 이불이나 옷 등으로 덮어 주는 것 또한 술을 빚는 한 방법입니다)

그래도 술독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서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지는 않습니다. 술독 주변의 온도와 술독 내부의 온도가 서로 열평형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지나친 온도 상승을 막을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술을 기록된 제조법에 따라 만들고 현재의 기온 변화에 맞게 술독을 관리해 주어야 합니다. 온도가 낮을 때는 술독 내부의 열이 쉽게 달아나지 않도록 술독입구를 단단히 봉하거나 두꺼운 이불이나 옷 등으로 술독을 덮어주고, 날씨가 더울 때는 얇은 천 등을 이용해서 발생하는 열이 잘 빠져나가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겨울철이나 물이 적게 들어가는 술의 경우는 술독 입구를 잘 막아 발생하는 열이 쉽게 빠져나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마치면서

오늘은 술독 입구를 막는 것에 대해 이야기 했는데요. 제가 글을 이렇게 써도 응용은 여러분께서 해야 합니다.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가 아닌 이런 방법, 저런 방법도 있으니 계절의 온도변화에 맞게 술빚기에 조금씩 변화를 주라는 것입니다.



우리술..."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예쁘게 끓는 술 file [1]

호산춘...배우고나서 첫 실험 올겨울은 술을 두번 담구고 끝? 세번으로 ㄱㄱ [1]

  • 창힐
  • 2014-02-24
  • 조회 수 3804

연잎주 질문? [3]

[re] 꽃술 빚을 때, 꽃의 이용에 대하여.. 궁금한 점 [2]

맥주처럼 쌀 당화하여 쌀즙으로 만들 수 있을까요 [1]

맑은 술 증류 후 [3]

[re] 답변입니다. [2]

  • 酒人
  • 2009-03-14
  • 조회 수 3816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멥쌀술 질문이요 [1] [1]

전통주 청주와 탁주 사용법 [2]

보쌈이 무엇인가요 [1]

걱정했는데... [1]

멋진 답변~~~

  • 떳다
  • 2008-10-16
  • 조회 수 3833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 酒人
  • 2007-01-27
  • 조회 수 3836

약주 거름의 법적 기준.. [1]

  • 오씨
  • 2018-12-01
  • 조회 수 3844

이양주를 해보는 중입니다 궁금한것이 있어서요 [2]

<b>진상주(進上酒)에 대하여(수정)</b>

  • 酒人
  • 2006-08-21
  • 조회 수 3855

진상주를보면서......... [2]

책에 나와있는 "류가향" 은 어떤 술인가요? [2]

술빚을 때 알코올 도수

왜 그런가요? [2]

  • mumu
  • 2013-04-22
  • 조회 수 3876

밑술을 고두밥으로 했습니다. [1]

주안님에 맛이 독한 술 처리법을 읽어보고... [2]

<b>만화 - 삼순이 소주에 빠지다. </b> [2]

  • 酒人
  • 2007-03-17
  • 조회 수 3879

동동주 한번더 궁금합니다. [1]

잡곡밥 술이 될까요?? [1]

발효후 위에 고인 물에 대한 문의 [1]

실패한것 같습니다.

청주에 감미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1]

[re] 술이 약간 매운듯 한데....중화시킬 방법이 없을지... [3]

삼양주 냉장숙성을 야외에서 해도 되나요? [1]

궁금한 점 몇 가지...

쌀 종류에 따른 술맛이 궁금합니다. [2]

질문을 자주해서 죄송 [3]

<b>호산춘 2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 酒人
  • 2007-01-31
  • 조회 수 3902

밑술 문의 드립니다? [2]

  • 대암
  • 2007-02-04
  • 조회 수 3906

침출주 거르기 [1]

누룩 속에 알코올이 있나요??

  • 酒人
  • 2006-07-13
  • 조회 수 3909

솔잎으로 누룩을 만들어도 되나요? [1]

조하주에대해서 질문 [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