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re] 답변입니다.

조회 수 3352 추천 수 58 2006.10.31 11:26:18
이한수님 안녕하세요.

두 가지 방법으로 약전을 만드셨는데요. 첫 번째, 누룩을 만드는 방법은 밀기울이 섞였다 하더라도 관리를 잘 하지 못하면 몇 일 지나 딱딱해 집니다. 이것은 수분의 함유량과 상관없이 원료를 얼마나 오래 혼합해 주는가가 생명입니다. 즉, 원료에 물을 혼합하고 고루게 섞어 주는 것 만으로는 좋은 약전을 만들기 힘들구요. 고루게 섞어 주는 것을 오래 함으로서 원료에 들어있는(밀의 전분, 콩의 단백질 분해효소가 자람) 전분이나 단백질이 충분히 밖으로 빠져 나오게 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야 공기중에 있는 관련 균들이 잘 들어 붙게 되는 것입니다.

둘째, 수분을 많이 함유한 것은 검은 곰팡이가 피었다고 하셨는데요. 제 생각에는 누룩 방식이 쉽게 딱딱해 져서 두 번째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러나 수분이 많이 들어가는 방법은 반드시 검은 곰팡이가 핍니다. 꼭 수분을 많이 함유하지 않더라도 항아리 주변의 습도가 높다든지 하면 검은 곰팡이가 피고, 습도가 높을수록 검은 곰팡이가 많이 핍니다.

따라서 약전을 잘 만드는 방법은 이렇습니다.

첫째, 원료들을 혼합할 때 아주 오래 혼합해 준다. 원료를 혼합할 때, 끈적끈적한 것들이 많이 나올 때까지 혼합해 줘야 합니다. 그래야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관련 균들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둘째, 어느 정도는 수분을 유지해 주어야 합니다. 수분을 유지해 주는 장치가 없으면 수분이 쉽게 날아가 균이 피기도 전에 굳어 버립니다. 이렇게 되면 더 이상 균의 번식이 없습니다. 따라서 처음에는 수분이 날아가지 않도록 비닐 등을 이용하여 수분 증발을 막아주고 3-4일 후에 상태를 봐서 덮었던 비닐을 벗겨 줍니다.

위 두 가지 정도만 참고하셔서 만드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됐는지 모르겠네요. 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은 추가 질문해주시구요. 나중에 잘 되시면 저 조금만 주세요.^^

추신 :  약전의 원료가 어떤 것들인지, 크기는 어떤지 등을 말씀해 주시면 답변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한수

2006.10.31 16:29:58
*.1.108.12

제가 과정을 보지 못하고 결과만 보고 글을 올렸는 데
상세하게 답변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동의보감에 맟추어 고견을 따라서 시도해보고
글을 올리겠읍니다
whgdms gkfn ehltpd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부탄가스로 4kg 고두밥을 할수있을까요? [1]

막걸리 병입후에 4-5일후에 생기는 현상 궁금합니다. file [1]

신도주 질문입니다 file [1]

안녕하세요. 벌꿀주 미드를 만들어 보려 합니다! 궁금한 것 들 여쭤봐도 될까요? [1]

  • 봉슈
  • 2017-08-03
  • 조회 수 4299

친절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몇가지 더 여쭤 봐도 될까요? [1]

  • 봉슈
  • 2017-08-05
  • 조회 수 2719

담금주에 대해 여쭤봐도 될까요? [1]

  • 봉슈
  • 2017-08-05
  • 조회 수 3880

질문 드립니다. [1]

오디주를 빚어보고 싶어요 [1]

  • 선02
  • 2017-09-18
  • 조회 수 3024

반갑습니다

  • 비퀸
  • 2017-11-24
  • 조회 수 2944

누룩 대신 생막걸리를 써도 될까요? [1]

  • anakii
  • 2017-12-07
  • 조회 수 4538

소규모주류제조 면허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 글 올립니다. [1]

  • Heron
  • 2017-12-17
  • 조회 수 4456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증류주 보관법에 관해서 알고 싶습니다. [3]

알코올 향이 튀는 이유와 해결법이 어떻게 되나요? [1]

  • Heron
  • 2018-03-01
  • 조회 수 2769

보쌈이 무엇인가요 [1]

급합니다. 우리아이좀 살려주세요. file [1]

삼양주 술 거르는 시기? file [2]

이양주가 익는중 문제가 생겨 문의 드립니다! file [5]

이양주 질문입니다. [1]

술이 너무 달아요! [3]

발효에 관한 질문입니다! [2]

술이 뻑뻑해요ㅠ.ㅠ [2]

단양주 신맛 [1]

단맛과 도수가 높은 술 [1]

밑술을 고두밥으로 했습니다. [1]

단양주와 이양주 보관에 대하여.... (병과 플라스틱통) [2]

  • 서련
  • 2018-09-29
  • 조회 수 5070

전통주 빚을 때 알코올 도수 공식 좀 알려주세요. [1]

밑술,덧술 둘다 찹쌀써도 되나요?? [2]

불패주 주방문 수정가능할까요...ㅠ [2]

막걸리에 탄산이 없어요 [2]

  • 오씨
  • 2018-10-14
  • 조회 수 7263

이양주 질문입니다. 도와주세요.. [2]

덧술 후 과정... [1]

고두밥 나눠 넣기의 시기 [1]

누룩의 발효력 확인 [1]

막걸리의 걸쮹함 [2]

발효 온도 [1]

  • 상자
  • 2018-11-18
  • 조회 수 3987

당화 효소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1]

법적으로 이렇게 만든 술도 탁주일까요? [1]

  • 오씨
  • 2018-11-30
  • 조회 수 3346

약주 거름의 법적 기준.. [1]

  • 오씨
  • 2018-12-01
  • 조회 수 3667

술을 빚을때 과일을 첨가했을경우 [1]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