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피와 살이 되는 밑술법 2</b>

조회 수 5167 추천 수 45 2006.10.23 11:04:08
밑술법 1이 가루를 이용한 제조법 이라면, 이번에 소개하려는 밑술법 2는 생쌀을 가루내지 않고 밑술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음식디미방>과 <술 만드는 법> 등에 기록되어 있으며, 범벅으로 밑술을 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만들기 쉽고 효모 증식이 잘 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밑술이 쌀을 가루 내고 여기에 끓는 물을 부어 잘 혼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반해서 이번에 소개하려고 하는 밑술법은 생쌀에 물을 넣고 끓이는 방법입니다. 여러분도 집에서 누군가 아프거나 할 때 쌀 죽을 만든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바로 그 방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밑술 만들기

1. 쌀 2되(1.6kg)를 깨끗이 씻어 죽을 끓일 수 있는 큰 통에 담는다.
2. 물 9리터를 넣고 끓인다.
3. 거품이 통 밖으로 넘칠 것 같으면 불을 최대한 줄여 준다.
4. 약한 불로 오래 가열한다.
5. 밥알이 죽처럼 되면 주걱으로 잘 저어주고 식혀준다.
6. 식으면 누룩가루 1되를 섞어 술독에 담는다.


참고> 쌀을 씻고 물에 불리지 않고 바로 죽을 만듭니다.

술독 관리 - 봄, 가을인 경우

1. 가능한 시원한 곳에 둔다. (20-25도)
2. 36시간 후에 열어 본다.
3. 술에 이상이 없으면 다음날 덧술한다.


참고> 죽은 범벅보다 하루 정도 빨리 덧술을 해야 한다.

제가 술독을 놓는 위치는 방이 아닌 햇볕이 들지 않는 시원한 곳에 놓아 둡니다.

요즘 같은 온도에는 보통 48시간 후에 술독을 열어보면 술이 잘 되어 있을 것입니다. 죽을 만들 때, 물의 양으로 밑술 상태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기본 9리터에서 물의 양을 줄이면 된 죽이 되고, 9리터 그대로 사용하면 묽은 죽 처럼 됩니다.

가루로 범벅을 만드는 방법과의 차이점.

1. 가루를 빻기 위해 방앗간에 가지 않아도 된다.
2. 범벅을 만들기 위해 힘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
3. 언제라도 술을 빚고 싶을 때 응용할 수 있다.
4. 무엇보다도 만들기가 쉽고 효모 증식이 잘 이루어 진다.

주의 : 쌀을 끓여 거품이 많이 발생할 때, 불을 최대한 줄여주지 않으면 밑이 탈 수 있기 때문에 불 조절을 잘 해주어야 한다.

참고> 특별히 '보쌈'을 언급하지 않는 술은 '보쌈을 하지 않는다'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저 작 권 자(c)술 독 .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배병임

2006.10.27 23:18:07
*.159.132.16

맵쌀로 하는지요
또한 20도가넘는 거실에서한다면 2일째 덧술해야하는지요

酒人

2006.10.28 00:01:10
*.188.85.192

멥쌀로 하구요. 평균 2일 후, 늦어도 3일째는 덧술을 해야 합니다. 보통 범벅으로 하는 술 보다 하루정도 일찍 덧술을 해야 해요.~

오늘 - 내일(1일) - 모래(2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61 밑술에서 쌀죽과 범벅에 가수량? [1] 오렌지컴 2014-09-14 5666
760 술 쉰내 [2] mekookbrewer 2021-06-02 5651
759 밑술의 적정온도와 포도주빚기입니다. [4] 酒人 2006-09-15 5642
758 밑술과 덧술시 재료에 대하여 [2] 우리술이좋아 2010-01-27 5638
757 삼양주 고두밥 덧술 후 22일 째 강한 알콜향 [1] 감금중 2020-12-20 5630
756 발효기간? 궁금합니다. [4] 김정옥 2007-05-18 5624
755 술 다 익은 정도 확인 방법 [1] 난소녀다 2023-02-14 5612
754 <b>울릉도 호박막걸리 제조법 </b> [1] 酒人 2008-09-18 5608
753 이양주를 제조중입니다. file [3] aladinn 2015-02-26 5606
752 요구르트 제조기로 누룩을 만들 순 없을까요? [2] 원삼규 2006-12-27 5602
751 층분리가 안되는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file [1] 주미 2023-05-30 5593
750 안녕하세요 전통주 초보자인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2] 마늘이 2022-05-26 5575
749 씨앗술 만들기. [2] 창힐 2012-08-14 5571
748 이화곡 가루를 이용해서 입국을 만들려면.. [1] 민속주 2013-05-05 5565
747 식히는 시간과 발효와의 관계가 있나요? [1] 얄리야리 2021-02-09 5552
746 쌀누룩과 막걸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9-03 5535
745 1되의 정의~ [3] 김창준 2007-02-08 5515
744 단양주 물의 양을 어느정도 해야하나요? file [1] 이탁배기 2019-05-30 5501
743 술독의 진정성...밥으로 만드는 술은? [4] 아리랑 2012-03-04 5482
742 담금주에 대하여 궁금한게있답니다.?? 아이다호 2018-02-06 5477
741 발효와 온도 [2] 포수 2013-06-24 5468
740 누룩 보관기간 [1] 파랑보라 2023-05-31 5463
739 찹쌀 고두밥으로 2차 덧술을 했습니다 [11] 두메 2007-02-15 5454
738 전통주 기초강의 2. 에탄올과 메탄올 酒人 2006-03-17 5444
737 향온주 빚을때... file [2] 보리콩 2011-02-01 5440
736 저온숙성중 맛의 변화 [2] Kimeric 2023-06-29 5433
735 청주 떠 내고 남은 침전물(?) 처리 방법 file [2] 원삼규 2007-02-07 5427
734 제맘대로 단양주? [2] 오야봉 2009-03-20 5409
733 쑥술만들기 [1] 꼬롱꼬롱 2013-05-05 5405
732 누룩구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2] 비설 2008-12-05 5402
731 주정계 사용법??? 두메 2007-03-07 5402
730 술거르는 시기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2] 나이스박 2012-03-13 5400
729 복분자주나 딸기주 담그는 법. 석탄주 2008-09-22 5398
728 효모에 대해... [2] sul4u 2013-06-28 5394
727 2021년 돼지날들이 언제인가요? [2] mekookbrewer 2021-01-19 5391
726 시루째 고두밥을 식히는 이유 酒人 2006-03-08 5381
725 술거르는시기가 언제쯤인가요? file [3] 우리술이좋아 2009-12-01 5378
724 술거르는 시기? file [2] 나이스박 2014-04-03 5377
723 범벅에 사용하는 쌀가루 습식? 건식? [3] 연필꽂이 2020-09-29 5366
722 석탄주 밑술 문의입니다. [4] 웃는구야 2012-08-29 5360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