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피와 살이 되는 밑술법 2</b>

조회 수 5228 추천 수 45 2006.10.23 11:04:08
밑술법 1이 가루를 이용한 제조법 이라면, 이번에 소개하려는 밑술법 2는 생쌀을 가루내지 않고 밑술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음식디미방>과 <술 만드는 법> 등에 기록되어 있으며, 범벅으로 밑술을 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만들기 쉽고 효모 증식이 잘 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밑술이 쌀을 가루 내고 여기에 끓는 물을 부어 잘 혼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반해서 이번에 소개하려고 하는 밑술법은 생쌀에 물을 넣고 끓이는 방법입니다. 여러분도 집에서 누군가 아프거나 할 때 쌀 죽을 만든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바로 그 방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밑술 만들기

1. 쌀 2되(1.6kg)를 깨끗이 씻어 죽을 끓일 수 있는 큰 통에 담는다.
2. 물 9리터를 넣고 끓인다.
3. 거품이 통 밖으로 넘칠 것 같으면 불을 최대한 줄여 준다.
4. 약한 불로 오래 가열한다.
5. 밥알이 죽처럼 되면 주걱으로 잘 저어주고 식혀준다.
6. 식으면 누룩가루 1되를 섞어 술독에 담는다.


참고> 쌀을 씻고 물에 불리지 않고 바로 죽을 만듭니다.

술독 관리 - 봄, 가을인 경우

1. 가능한 시원한 곳에 둔다. (20-25도)
2. 36시간 후에 열어 본다.
3. 술에 이상이 없으면 다음날 덧술한다.


참고> 죽은 범벅보다 하루 정도 빨리 덧술을 해야 한다.

제가 술독을 놓는 위치는 방이 아닌 햇볕이 들지 않는 시원한 곳에 놓아 둡니다.

요즘 같은 온도에는 보통 48시간 후에 술독을 열어보면 술이 잘 되어 있을 것입니다. 죽을 만들 때, 물의 양으로 밑술 상태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기본 9리터에서 물의 양을 줄이면 된 죽이 되고, 9리터 그대로 사용하면 묽은 죽 처럼 됩니다.

가루로 범벅을 만드는 방법과의 차이점.

1. 가루를 빻기 위해 방앗간에 가지 않아도 된다.
2. 범벅을 만들기 위해 힘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
3. 언제라도 술을 빚고 싶을 때 응용할 수 있다.
4. 무엇보다도 만들기가 쉽고 효모 증식이 잘 이루어 진다.

주의 : 쌀을 끓여 거품이 많이 발생할 때, 불을 최대한 줄여주지 않으면 밑이 탈 수 있기 때문에 불 조절을 잘 해주어야 한다.

참고> 특별히 '보쌈'을 언급하지 않는 술은 '보쌈을 하지 않는다'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저 작 권 자(c)술 독 .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배병임

2006.10.27 23:18:07
*.159.132.16

맵쌀로 하는지요
또한 20도가넘는 거실에서한다면 2일째 덧술해야하는지요

酒人

2006.10.28 00:01:10
*.188.85.192

멥쌀로 하구요. 평균 2일 후, 늦어도 3일째는 덧술을 해야 합니다. 보통 범벅으로 하는 술 보다 하루정도 일찍 덧술을 해야 해요.~

오늘 - 내일(1일) - 모래(2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82 글을 읽다 궁금한점이 있어서 남깁니다 [1] 레오몬 2020-05-03 3981
281 쌀 누룩 질문 [5] 택현 2020-10-19 3976
280 솔잎으로 누룩을 만들어도 되나요? [1] 새로미 2010-03-01 3974
279 실패한것 같습니다. 오야봉 2009-03-14 3971
278 멥쌀술 질문이요 [1] [1] 반애주가 2012-08-13 3968
277 막걸리의 탁도조절 [1] 장셰프 2020-11-15 3963
276 질문을 자주해서 죄송 [3] 우리술이좋아 2009-11-10 3962
275 <b>호산춘 2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31 3954
274 궁금한 점 몇 가지... 김태원 2006-04-25 3954
273 호산춘 밑술 file [2] 창힐 2014-02-25 3952
272 왜 그런가요? [2] mumu 2013-04-22 3951
271 [re] 꽃술 빚을 때, 꽃의 이용에 대하여.. 궁금한 점 [2] 민속주 2012-07-15 3934
270 <b>만화 - 삼순이 소주에 빠지다. </b> [2] 酒人 2007-03-17 3931
269 [re] 술이 약간 매운듯 한데....중화시킬 방법이 없을지... [3] 윤승구 2006-07-15 3931
268 누룩 속에 알코올이 있나요?? 酒人 2006-07-13 3929
267 맑은술 [1] 이반 2018-12-24 3925
266 누룩양좀 봐주세요 [1] 쵸이 2019-02-11 3923
265 삼양주 질문 file [1] 맑고달고시고 2024-04-24 3922
264 떡으로 술빚기질문이요 [2] 반애주가 2012-10-25 3919
263 막걸리 공장에서 술재조 공정 궁금 [2] 오렌지컴 2014-06-14 3915
262 예쁘게 끓는 술 file [1] 제천인어공주 2012-11-10 3909
261 진상주를보면서......... [2] 배병임 2006-09-27 3894
260 단호박술 거르는 시기 궁금합니닷. file [2] 바다뜰 2019-11-11 3891
259 <b>진상주(進上酒)에 대하여(수정)</b> 酒人 2006-08-21 3887
258 이상한 맛과 향의 고구마 막걸리 질문입니다. 곡차 2022-10-02 3882
257 <b>호산춘 1차 덧술, 이렇게 돼야 합니다.</b> file 酒人 2007-01-27 3881
256 멋진 답변~~~ 떳다 2008-10-16 3874
255 삼양주 만들어보기 루시 2020-07-01 3871
254 동동주 무작정 따라하기 문의 [2] 술이조아 2010-03-29 3870
253 걱정했는데... [1] 마중물 2008-12-16 3870
252 물의 양이 궁금합니다.. [1] 아침이슬 2007-02-21 3869
251 빚은 삼양주를 먹으면 두통이 생기는데 ㅜㅡ [2] jiyoon88 2020-05-24 3866
250 급합니다. 우리아이좀 살려주세요. file [1] 치어스 2018-04-30 3862
249 문의드립니다 file [2] 瑞香 2016-02-13 3856
248 [re] 답변입니다. [2] 酒人 2009-03-14 3856
247 덧술발효에 대하여.. [2] 섬누룩 2010-02-10 3855
246 술에 과일껍질을 넣고 싶으면 언제 넣어야 하나요? [1] 청주조아 2024-04-23 3853
245 호산춘에 대하여.. [1] [1] 민속주 2012-09-16 3853
244 제대로 되어가는중인지 궁금합니다 [2] 우리술이좋아 2009-11-03 3849
243 <b>만화 &#8211; 달순이 술 빚기에 도전하다.</b> [3] 酒人 2007-03-15 3848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