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b>도정(搗精) 정도의 차이</b>

조회 수 4818 추천 수 42 2006.10.15 23:36:49
도정(搗精) 정도의 차이

술을 만드는 원료에는 쌀, 고구마, 옥수수, 보리, 밀 등 전분이 주성분인 것과 포도나 사탕수수 등의 당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과실이나 식물의 줄기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그 나라에 생산되는 가장 질 좋고 많은 양을 생산할 수 있는 원료들을 술 빚기에 이용하는데, 우리나라는 쌀을 이용한다.



현재 우리가 밥을 지을 때 사용하는 쌀은 ‘백미’로 쌀의 표면을 약 10% 정도 깍아 놓은 것이다. 또한, 벼의 외피를 벗겨낸 것을 ‘현미’라고 한다. 현미의 전분가는 보통 69% 정도이며 백미의 전분가는 약 73%정도가 된다. 즉, 현미와 백미의 전분가가 다른 것은 쌀의 표면을 얼마나 깍았냐에 따라 다른 것이다. 백미가 현미보다 전분의 양이 많은 것은 현미의 표면을 깍아내어 상대적으로 백미의 전분가가 높아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일본의 경우는 양조미(술 빚을 때 사용하는 쌀)의 도정 비율이 30% 정도가 되고 50% 도정을 하는 곳도 있다. 술을 빚을 때 도정을 많이 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고 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자.

쉽게 설명하기 위해 두 가지의 쌀을 준비한다. A는 10% 도정한 쌀로 전분 함유량이 70%, B는 30% 도정한 쌀로 전분 함유량이 90%라고 하자.

각각 1말(8kg)의 쌀을 이용했을 때, A의 전분가 보다 B의 전분가가 20%가량 많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20%의 차이는 술을 빚을 때 어떤 역할을 할까.

1. 술을 빚을 때 사용하는 원료가 전분의 양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당(當) 성분을 많이 만들어 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당을 많이 만들어 낸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양의 알코올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생산되는 알코올의 양은 한정되어 있기 대문에 알코올을 만들고 남은 잔당이 상대적으로 많이 남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잔당이 많이 남는 다는 것은 술이 단맛을 가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는 것으로 술을 적게(단양주, 이양주, 삼양주) 빚어도 맛 좋은 술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5. 술을 적게 빚으면서 맛 좋은 술을 빚을 수 있다는 것은 원료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과 도정을 많이 해야 한다는 단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게 되는 것이다.

6. 일반 가정에서 술을 빚을 때, 술을 맛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들이 있지만 동일한 쌀을 사용하는 것이 술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비결이다.

7. 쌀에 포함되어 있는 전분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생성되는 당과 알코올의 양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8. 따라서 술을 빚을 때 사용하는 쌀은 도정을 많이 한 것이 좋지만, 현재 그러한 쌀을 구입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좋은 품질의 쌀을 사용해야 한다.

9. 좋은 품질의 쌀이란, 쌀알이 굵고, 물을 잘 흡수할 수 있으며 잘 쪄지는 쌀을 들 수 있다. 특히 여기에서는 쌀알이 굵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10. 50% 도정을 했다는 것은 거의 쌀의 전분만으로 술을 빚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전분만 가지고는 술을 빚을 수 없다. 사람이 사랑만 가지고 살 수 없듯이^^ 미생물도 전분 이외에 미량의 영양물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위에서 보듯 원료의 전분가가 높다는 것은 다량의 당 생성과 당 생성에 따른 알코올과 잔당을 많이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신이 선택한 쌀이 다른 쌀 보다 전분가가 1%만 높아도 술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클 것이다.

앞으로는 술을 빚기 전에 쌀의 상태를 잘 확인해 봐야 할 것이다. 음식을 만들기 전에 시장에서 좋은 야채를 고르듯이 술을 빚기 전에는 항상 쌀의 상태를 점검하고 구입해야 할 것입니다.


대한민국 전통가양주 “술독” www.suldoc.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21 삼양주 질문 file [1] 맑고달고시고 2024-04-24 3437
120 이야기 마당 - 사진게시판 [2] 민속주 2012-06-20 3434
119 한 여름에 진상주를 - - - [2] 광이 2010-07-28 3433
118 발효에 대하여 궁금합니다.^^;; 이해력이 부족해서... [3] 김군 2009-12-19 3433
117 막걸리 이양주 진행상황 검토부탁 드립니다. [1] Emiju 2020-05-24 3431
116 석탄주 빚을때... [2] 보리콩 2010-08-25 3421
115 하수오주? 강신규 2006-12-21 3420
114 [re] 걱정했는데... 마중물 2008-12-17 3417
113 전통주의 기본적인 맛? 궁금합니다. 김정옥 2006-08-02 3415
112 호산춘 처방 [1] yk 2014-04-03 3414
111 불패주 주방문 수정가능할까요...ㅠ [2] 케팔로스 2018-10-12 3413
110 날씨가 갑자기 더워져서 걱정입니다. [1] 랄랄 2012-05-02 3412
109 소주를 어떻게 내리는지 ??(박수덕님) 酒人 2006-08-17 3412
108 밑에 자료요청한사람입니다 [2] [1] 엄대장 2012-12-26 3403
107 진상주 문의 드립니다. [4] 술향 2010-01-27 3398
106 항아리 내부가 너무 조용합니다 [1] 해난 2010-05-13 3397
105 안녕하세요. [2] sul4u 2014-04-02 3394
104 고맙습니다 [1] yk 2014-02-06 3391
103 문의 드립니다 [1] 녹야 2009-10-14 3389
102 끓인물과 그렇치 않은 물의 차이가 있나요? [1] 잠자는뮤 2019-04-08 3388
101 이양주 질문입니다. [1] 시골술쟁이 2018-06-26 3388
100 [re] 답변입니다. [1] 酒人 2006-10-31 3388
99 막걸리를 만들고싶어요 [1] 새벽바람 2010-02-14 3387
98 술은 담았는디 [1] 애주가 2007-05-08 3385
97 주인님이 못봐서 지나간 질문. 3 [2] 민속주 2012-06-24 3375
96 올 추석에는 [1] 애주가 2008-07-30 3371
95 또 질문합니다. [2] 고망고망 2009-08-18 3370
94 酒人님께 여쭙니다. [1] 갈매기 2010-01-04 3367
93 질문) 초일주 만들고 있는데요^^ [3] 두메 2007-02-13 3363
92 술에 과일껍질을 넣고 싶으면 언제 넣어야 하나요? [1] 청주조아 2024-04-23 3357
91 문의드립니다. [1] 나무그늘 2009-10-22 3355
90 오디주를 빚어보고 싶어요 [1] 선02 2017-09-18 3353
89 쌀가루를 낼때도 침미과정은 필수인지요 [1] KoreanBrewers 2019-04-03 3349
88 인녕하세요. [1] sul4u 2014-05-08 3349
87 감주에 대한 질문이요~ [1] 도리버섯 2016-05-26 3348
86 술이 뻑뻑해요ㅠ.ㅠ [2] 술을 빚어보자 2018-07-20 3348
85 고두밥과 술 발효와의 관계는? 원삼규 2006-12-21 3347
84 삼백주가 궁금합니다. [3] 허허술 2009-12-22 3344
83 문의드립니다. [1] 푸른별 2014-03-21 3338
82 발효중 끓어오를때 궁금합니다. [1] 푸른별 2014-07-12 333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