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빚기 질문과 답변

삼백주에 대하여...

조회 수 4230 추천 수 73 2006.10.12 11:42:35
삼백주(三白酒)는  백출(白朮), 백복령(白茯 ), 백하수오(白何首烏)의 세 가지를 같은 분량(分量)으로 술항아리에 담가 두었다가 21일 만에 건져내고 난 술을 말하며, 양기를 돕는 데 매우 좋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재 삼백주는 우쩐의 꿍썽자오팡(公生糟坊)에서 양조한 삼백주가 있습니다.

제조 방법은 발효주를 증류한 40도 이상의 증류주에 약재를 넣어 만든 혼성주 입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약재를 이용하여 발효주로 만들어 본 것입니다.

친구중에 한명이 이 술을 한 모금  먹고 "불끈불끈" 했다고 합니다.(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옛 문헌에 기록된 바에도 삼백주는 양기를 돕는 데 매우 좋다고 기록되어 있으니 헛 말은 아닌 것 같습니다.

위에 있는 사진은 중국의 우쩐은 퉁썅시(棟鄕市)의 북부에 있고 시내와 17km 떨어져 있는 우쩐의 꿍썽자오팡(公生糟坊)에서 양조한 삼백주를 숙성시키는 모습입니다.


삼백주에 들어가는 약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목 : 백출(白朮, 흰삽주)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쓰며[苦] 달고[甘] 독이 없다. 비위를 든든하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고 습을 없앤다. 또한 소화를 시키고 땀을 걷우며 명치 밑이 몹시 그득한 것과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 허리와 배꼽 사이의 혈을 잘 돌게 하며 위(胃)가 허랭(虛冷)하여 생긴 이질을 낫게 한다.

○ 산에서 자라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그 뿌리의 겉모양이 거칠며 둥근 마디로 되어 있다. 빛은 연한 갈색이다. 맛은 맵고 쓰나[辛苦] 심하지 않다. 일명 걸력가(乞力伽)라고 하는 것이 즉 흰삽주이다[본초].

○ 『신농본초경』에는 삽주와 흰삽주의 이름이 없었는데 근래 와서 흰삽주를 많이 쓴다. 흰삽주는 피부 속에 있는 풍을 없애며 땀을 걷우고 트직한 것을 없애며 위(胃)를 보하고 중초를 고르게 한다. 허리와 배꼽 사

이의 혈을 잘 돌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위[上]로는 피모(皮毛), 중간으로는 심과 위, 아래로는 허리와 배꼽의 병을 치료한다. 기병(氣病)이 있으면 기를 치료하고 혈병(血病)이 있으면 혈을 치료한다[탕액].

○ 수태양과 수소음, 족양명과 족태음의 4경에 들어간다. 비(脾)를 완화시키며[緩] 진액을 생기게 하고 습을 말리며 갈증을 멎게 한다. 쌀 씻은 물에 한나절 담갔다가 노두를 버리고 빛이 희고 기름기가 없는 것을 쓴다[입문].

○ 위화(胃火)를 사하는 데는 생것으로 쓰고 위허를 보할 때에는 누른 흙과 같이 닦아 쓴다[입문].  


제목 : 하수오(何首烏)  - 백하수오

강원도에서는 은조롱이라고 하고 황해도에서는 새박뿌리라 하는데 성질은 평(平)하고 따뜻하며[溫] 맛은 쓰고 떫고[苦澁](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나력, 옹종과 5가지 치질을 낫게 하며 여러 해 된 허로로 여윈 것, 담벽, 풍허(風虛)로 몸이 몹시 상한 것을 낫게 한다. 부인이 몸푼 뒤에 생긴 여러 가지 병과 적백대하를 멎게 한다. 혈기를 보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정수(精髓)를 보충하며 머리털을 검게 한다. 또 얼굴빛을 좋게 하고 늙지 않게 하며 오래 살게 한다.

○ 원래 이름은 야교등(夜交藤)인데 하수오(何首烏)라는 사람이 먹고 큰 효과를 본 데서 하수오라는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이 사람은 본래 몸이 약하였고 늙어서는 아내도 자식들도 없었다. 하루는 취해서 밭에 누워 있었는데 한 덩굴에 2줄기가 따로 난 풀의 잎과 줄기가 서너번 서로 감겼다 풀렸다 하는 것이 보였다. 마음에 이상하게 생각되어 마침내 그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려 짓찧은 다음 가루내어 술에 타서 7일 동안 먹었더니 그리운 사람이 있었고 백일이 지나서는 오랜 병들이 다 나았다. 10년 후에는 여러 명의 아들을 낳았고 130살이나 살았다.

○ 덩굴은 자줏빛이고 꽃은 황백색이며 잎은 마와 비슷한데 광택은 없으며 반드시 맞대서 난다. 뿌리가 주먹만하여 붉은 빛, 흰빛의 2가지 종류가 있는데 붉은 것은 수컷이고 흰 것은 암컷이다. 뿌리의 생김새가 아름다운 산처럼 생긴 것이 아주 좋은 것이다.

○ 늦은 봄, 초가을에 날씨가 맑은 날에 암컷, 수컷을 다 캐어 참대칼이나 구리칼로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얇게 썰어 쪄서 햇볕에 말린다. 일명 교등(交藤), 야합(夜合), 구진등(九眞藤)이라고도 하는데 이 약을 다룰 때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쇠를 대지 말아야 한다. 파, 마늘, 무, 돼지피, 양의 피, 비늘없는 생선을 먹지 말아야 한다. 법제하여 약을 쓸 때는 반드시 붉은 빛이 나는 것과 흰 빛이 나는 것을 합하여 먹어야 효과가 있다[본초].

○ 쌀 씻은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조각나게 썰어서 햇볕에 말려 짓찧어 부스러뜨린다. 알약을 지으려면 검정콩(흑두) 달인 물에 버무려 찐 다음 햇볕에 말려서 쓴다[입문].  


제목 : 복령(茯 , 솔풍령)  - 백복령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입맛을 돋구고 구역을 멈추며 마음과 정신을 안정하게 한다. 폐위(肺 )로 담이 막힌 것을 낫게 하며 신(腎)에 있는 사기를 몰아내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수종(水腫)과 임병(淋病)으로 오줌이 막힌 것을 잘 나가게 하며 소갈을 멈추고 건망증[健忘]을 낫게 한다.

○ 『선경(仙經)』에서는 음식 대신 먹어도 좋다고 하였다. 이 약은 정신을 맑게 하고 혼백을 안정시키며 9규를 잘 통하게 하며 살을 찌게 하고 대소장을 좋게 하며 가슴을 시원하게 한다. 또 영기(榮氣)를 고르게 하고 위(胃)를 좋게 하므로[理] 제일 좋은 약이며 곡식을 안 먹어도 배고프지 않다고 하였다.

○ 산 속의 곳곳에 있다. 송진이 땅에 들어가 천년 지나서 솔풍령이 된다. 소나무뿌리를 싸고 있으면서 가볍고 퍼석퍼석한 것은 복신(茯神)이다. 음력 2월과 8월에 캐서 다 그늘에서 말린다. 크기가 3-4되가 되며 껍질이 검고 가는 주름이 있으며 속은 굳고 희며 생김새가 새, 짐승, 거북, 자라 같은 것이 좋다[본초].

○ 흰 것, 벌건 것 등 두 종류가 있는데 흰 것은 수태음경, 족태양경, 족소양경에 들어가고 벌건 것은 족태음경, 수태양경, 소음경에 들어간다. 또한 빛이 흰 것은 신수[壬癸]로 들어가고 빛이 벌건 것은 심화[丙丁]로 들어간다[탕액].

○ 빛이 흰 것은 보하고 빛이 벌건 것은 사한다[본초].

○ 쓸 때에 껍질을 벗기고 가루내서 수비(水飛)하여 물 위에 뜨는 잡질을 버리고 햇볕에 말려 쓴다. 이렇게 해서 써야 눈이 상하지 않는다. 음이 허한 사람은 쓰지 말아야 한다[입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63 <b>기본기 키우기 - 술의 양 계산하는 방법</b> 酒人 2007-02-22 5281
562 &lt;포도막걸리&gt; 채주해도 될까요 file 빵순이 2010-11-22 5280
561 막걸리의 걸쮹함 [2] ilovetapuy 2018-11-06 5275
560 제가 정리한 레시피입니다. [1] 갈매기 2009-12-08 5275
559 송학곡자 박상근사장과 인터뷰 글 중에서 청주sam 2007-09-22 5274
558 누룩만으로 술이 될까? 酒人 2006-01-12 5267
557 <b>독한 술은 어떻게 만드나?</b> [6] 酒人 2006-06-01 5265
556 석탄주 덧술 시기좀 알려주세요 [1] 호박654 2020-04-18 5261
555 맑은술이 뜨지 않습니다..... [1] [8] 우기 2012-12-16 5261
554 오미자주를 담고 있습니다. file [2] 하제 2012-04-29 5258
553 쌀 누룩(이화곡)으로 삼양주를 빚어보려 합니다. [2] 민속주 2012-06-23 5255
552 제대로 되어가는 술맛은 어떻게 변해가나요? [3] 상갑 2008-12-23 5253
551 술에서 깨게 하고 취하지 않게 하는 것 酒人 2006-11-14 5253
550 곡물과 물의 비율 [1] 우리술이좋아 2009-10-30 5252
549 항아리 안에서 술이 익어갈때...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도수 차이가 나나요? [4] 선선 2020-10-02 5245
548 멥쌀주 담그는 법 [1] 행유 2010-08-18 5236
547 인사동 축제에 사용할 유리병 file [5] 酒人 2006-04-29 5236
546 검은색 나는 곰팡이 때문에 꺼림직합니다. 도와주세요 [2] cycyoo99 2014-08-25 5232
545 삼양주 방식 복분자주 비율이 고민입니다. [1] 술조앙 2024-03-29 5226
544 술을 사먹지 왜 만들어 먹어요?? 酒人 2006-01-13 5226
543 전통주에 있는 효소와 효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1] 민속주 2013-04-11 5223
542 효모실험에관해서 [1] [1] 고마선 2012-05-17 5218
541 통쌀죽 쑤는 방법에 대해 다시 여쭙겠습니다 [1] dnekaqkfk 2019-11-09 5215
540 술빚기 관련 질문은 아닌데 꼭좀 읽어주세요 [1] 곰술 2014-01-18 5215
539 <b>전통주 상급강의 1. 효모의 세대시간과 증식</b> [1] 酒人 2006-07-22 5203
538 향온주 좀더 두어야 할까요? [2] 보리콩 2011-02-07 5198
537 쌀누룩을 띄우는데 처음하는거라 ... 선배님들께 묻고싶습니다. file [2] 동강파 2019-03-07 5194
536 쌀에 호박을 넣어 막걸리를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3] 농월 2012-03-22 5183
535 발효 및 숙성 기간에 대하여.. [2] 김군 2009-12-20 5180
534 가양주 레시피 해석 문의 [2] 시작은 천천히 2012-04-17 5179
533 온도가 높아도 막걸리가 빚어지나요? [1] 랜스 2013-05-03 5174
532 용수박을 시기 문의 file [3] 투덜이 2012-05-30 5174
531 엿술을 빗었는데 정확한 도수를 모르겠습니다. [6] 농부의 아내 2009-10-28 5174
530 자주하는질문<<<>>> 미생물 굶겨 술빚기.... [1] 창힐 2013-05-24 5172
529 하얗게 피어난 것이 무엇인지 궁금 합니다. [2] 하늘지기 2012-02-09 5167
528 잘못 빚은 술 복구방법은요? [2] 쿡쿡 2013-04-30 5166
527 이런 경우도 가능할까요? [1] 둘레길 2013-07-19 5156
526 씨앗술 질문이요. [1] 산에살다 2015-06-16 5152
525 초록색 곰팡이 같은게 좀 보입니다. file [1] 김세용 2022-12-23 5148
524 <b>[re] 답변입니다. </b> 酒人 2007-01-07 5144
XE Login